-
-
바깥 일기
아니 에르노 지음, 정혜용 옮김 / 열린책들 / 2023년 9월
평점 :
2022년에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아니 에르노의 작품으로는 처음 읽는 책입니다. 1993년에 발표되었지만 2023년에 우리나라에 소개된 것은 노벨상 효과가 아닌가 싶습니다. 작가는 서문에서 이 책을 쓰게 된 배경을 설명합니다. 작가는 이 책이 나오기 20년 전부터 파리에서 40㎞ 떨어진 신도시 세르지퐁투아즈에서 살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과거 노태우 대통령 시절, 분당, 일산, 평촌, 산본 등지에 신도시를 건설하였습니다. 그야말로 상전벽해가 따로 없는 건설현장이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작가는 신도시에 들어가게 된 것을 이렇게 표현합니다. “고작 몇 년 만에 무(無)에서 솟아났고, 그 어떤 기억도 갖고 있지 않고, 거대한 영토 여기저기에 건축물들이 흩어져 있으며, 경계선이 불명확한 장소로 들어간 것은 충격적인 경험이었다.(7쪽)” 그런데 그곳에서는 다양한 장소에서 살다 들어온 사람들과 어우러져 살아가는 것이 좋아졌다고 했습니다.
사는 곳에서 그리고 파리로 가는 길에 이용하는 수도권 고속 전철에서 만난 사람들이 사는 모습을 지켜보다가, “다시 보지 못할 장면, 말, 이름 모를 사람들의 몸짓, 벽에 그리자마자 곧 지워질 그라피티 들을 그대로 기록하고 싶어졌다”고 합니다. 그것들이 마음속에 어떤 감정, 동요 혹은 반발을 촉발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1985년부터 1999년까지 보고 들은 것을 일기의 형식으로 남겼고, <바깥 일기>와 <밖의 삶>으로 묶어냈다고 합니다.
<바깥 일기>를 읽다보면 작가는 보고 들은 것을 최대한 객관적으로 적으려 한 것으로 보입니다. 상황에 대한 작가 나름의 판단이나 생각을 더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일기’라고 하면 흔히 자신과 관련된 일과 그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담아내기 마련입니다만, 아니 에르노의 <바깥 일기(Journal du dehors)>는 독특한 형식의 일기가 아닐 수 없습니다.
옮긴이의 말에서 흥미로운 대목을 발견했습니다. 작가 자신이 밋밋한 글쓰기(écriture plate)라고 명명한 건조한 글쓰기가 에르노의 문체로 자리 잡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이와 같은 글쓰기는 저학력의 부모에게 소식을 전할 때 사용했던 문체로 사실을 있는 그대로 적으려 노력한 결과라는 것입니다. 저 역시 문체가 건조한 편이라서 이 대목에 공감할 수 있었습니다.
언젠가 작가와의 만남에서 김용택 시인은 제가 쓴 간단한 글을 읽고서 지나치게 건조한 느낌이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아마도 건강이나 여행에 관한 정보를 요약하는 글을 많이 쓰다 보니 그런 경향이 생긴 것 같습니다.
옮긴이는 에르노의 문장에서는 정련된 느낌을 넘어서 거의 금욕적인 느낌이 난다고 했습니다. 끊임없이 덜어내는 작업을 거친다는 것입니다. 즉 적확한 수식어를 더해가는 것이 아니라 수집한 정보에서 불필요한 요소들을 깎고 또 깎아내는 수정작업을 통해 정련된 글을 완성해냈다는 것입니다. “차를 몰고 생드니 근처를 지나감. 초고층 건물 프레엘. 그 건물에 사람이 사는지, 아니면 사무실만 있는지 알 수 없음. 멀리서, 그 건물은 텅 비고, 시커멓고, 해로워 보인다.(49쪽)” 등의 대목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언젠가 저도 주변에 있는 사람들이 주고받는 이야기를 정리해보면 재미있겠다는 생각을 한 적이 있습니다. 지금 하고 있는 글쓰는 작업이 끝나면 <바깥 일기>의 작가처럼 저의 주변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글로 써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구체화되어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