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겨울밤 한 여행자가 이탈로 칼비노 전집 10
이탈로 칼비노 지음, 이현경 옮김 / 민음사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회사의 연수교육에서 책을 왜 읽는가?’라는 제목으로 교양강좌를 준비하면서 이탈로 칼비노의 <왜 고전을 읽는가>를 읽고 많은 도움을 받은 적이 있습니다. 그런 인연은 <보이지 않는 도시들>, <반쪼가리 자작>, <존재하지 않는 기사> 등으로 이어졌습니다. 특이한 인물들의 기이한 행적들을 읽으면서 현실감이 없다는 생각이 들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민음사에서 출간한 이탈로 칼비노의 전집 가운데에서 <어느 겨울밤 한 여행자가>라는 작품이 눈에 띄어 읽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미 읽은 그의 다른 작품들을 생각했더라면 한번쯤을 고민을 해보았을 것 같습니다. 어떻든 읽게 되었고, 읽는 내내 뜬구름을 잡는 듯 떠다녔다는 느낌이 남았습니다.


책장을 펼치자 숫자 1을 제목으로 하여 시작한 글에서 화자가 등장하여 이 책을 읽으려는 독자를 향하여 늘어놓은 너스레가 생소하게 느껴졌습니다. 더구나 이 작가에게서 기대했던 것과는 별개로 책 자체가 흥미롭다. 뿐만 아니라 잘 생각해보면 당신은 이런 책, 아직 잘 모르는 어떤 것을 마주하는게 좋다.”라는 마무리 역시 독자에 대한 도전 같은 느낌이 들었습니다.


어떻거나 어느 겨울밤 한 여행자가라는 제목으로 소설은 철도역에서 시작된다.”라고 이야기가 시작됩니다. 그런데 책 제목이 다시 글 제목으로 달아놓은 것을 보면서 단편소설집인가?’하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이야기가 끝나고서는 숫자 2를 제목으로 한 글에서 다시 화자가 등장하여 어느 겨울밤 한 여행자가라는 책의 내용의 시작부분이 반복되는 것을 발견했다는 것입니다. 그리하여 서점으로 가서 따져보았더니 제본의 실수로 인하여 말보르크 마을을 벗어나라는 폴란드 소설과 제본이 뒤섞이는 오류가 발생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같은 이유로 따지러 온 아가씨가 있다고 알려줍니다.


결론을 미리 말씀드리면 <어느 겨울밤 한 여행자가>어느 겨울밤 한 여행자가라는 소설을 비롯한 열 개의 이야기가 액자소설처럼 삽입되고 화자와 아가씨가 나서서 열 개의 이야기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셈입니다. 그저 열 개의 단편소설을 묶은 단편소설집과는 전혀 다른 구성이지만, 각각의 이야기는 단편소설로 읽어도 무방하다는 느낌입니다. 가끔은 화자와 아가씨를 제외하고도 액자 이야기의 작가가 조연으로 등장하기도 합니다.


이야기 중에는 책읽기에 대한 저자의 철학이 드러나는 부분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화자와 함께 이야기를 끌고 가는 루드밀라가 독서는 이제 막 생겨나려고 하지만 아직은 아무도 뭔지 모르는 어떤 것을 만나러 가는 거예요.() 지금 제가 읽고 싶은 챌은 아직 분간이 잘 안 되는 천둥소리처럼 이제 막 시작한 이야기라고 생각되는 소설이에요. 개인의 운명과 함께 역사적인 이야기가 담긴 이야기, 아직 이름도 없고 형태도 없는 격변을 겪고 있다는 느낌을 주는 소설 말이에요(93-94)”라고 말하는 부분입니다.


이 책에 담긴 열 개의 이야기는 천일야화의 정신을 이어받은 것으로 제목을 이어붙이면 어느 겨울밤 한 여행자가, 말보르크 마을을 벗어나, 가파른 해변에서 몸을 내밀고, 바람도 현기증도 두려워하지 않으며, 어둠이 짙어지는 아래를 내려다본다. 그물망처럼 연결되는 선들 속에, 그물망처럼 교차되는 선들 속에, 달빛이 환히 비추는 은행잎들 위에, 텅 빈 구덩이 주위에서, 저 아래에서는 어떤 이야기가 결말을 기다릴까, 그는 초조하게 이야기를 듣고 싶어 하며 묻는다.”라는 문장이 완성됩니다. 마지막 그는 초조하게 이야기를 듣고 싶어 하며 묻는다라는 제목의 이야기는 없지만 앞으로 탄생할 이야기가 될 수도 있습니다


두 화자는 이야기가 마무리되는 순간 부부가 되어서는 침대에 누워 책을 읽게 되었으니 행복한 마무리가 된 셈일까요? 열 개의 이야기들이 전혀 다른 이야기라는 점을 본다면 다양하지만 불연속적이며 단편적인 이야기들을 문학이 연결하여 생명력을 부여할 수 있다는 점을 담아냈다고 옮긴이는 적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