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아 연출의 사회학 - 일상이라는 무대에서 우리는 어떻게 연기하는가
어빙 고프먼 지음, 진수미 옮김 / 현암사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을 등지고 사는 사람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세상을 살아간다는 것은 다양한 집단 속에서 어울려 살기 마련이고, 집단의 구성원들과 관계를 맺을 수밖에 없겠습니다. 관계를 맺는 과정은 다양한 형태의 의사소통을 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스스로를 표현하는 행동을 하기 마련입니다. 그 과정에서 타인이 자신을 잘 보아주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을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자신을 어떻게 연출할 것인가를 나름대로 고민할 것입니다. 의사표현에는 말로써 하는 명시표현과 행동으로 보이는 암시표현을 모두 포함합니다.

스스로를 연출하는 행태에 대한 이야기를 정리한 <자아연출의 사회학>은 미시사회학 분야를 개척한 어빙 고프만이 쓴 책입니다. 고프만은 자아연출을 개인의 관점에서 본다면, “개인은 다른 사람들이 자기를 좋게 봐주기를, 자기가 그들을 높이 평가한다고 여겨주기를 바랄 것이다. 그들에 대한 자기의 실제 느낌을 그들이 감지하기를 바라거나 그저 모호한 인상만 받기를 바랄 수도 있다. 그는 상호작용이 유지될 수 있도록 다른 이들과 잘 화합하기를 원할 수도 있고, 다른 이들을 따돌리고, 헷갈리게 하고, 적대시하고, 모욕하려 할 수도 있다. 개인이 염두에 둔 목표와 동기가 무엇이든, 그의 관심사는 다른 이들의 행동, 특히 자기를 대하는 다른 이들의 반응을 통제하는데 있다.(14)”라고 하였습니다.


그런가하면 개인이 집단 속에서 어떻게 행동하는가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개인 참여자의 구체적 내용이나 사회체계의 작동에 상호 의존적 행동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는 다루지 않는다. 이 책은 개인이 남들 앞에서 행동할 때 택하는 극적 연출의 문제만 다룬다. 연출 기법과 무대 관리는 사소하지만 사회생활에서 매우 보편적이어서 사회학적 분석이 필요한 문제다라고 하였습니다. 그와 같은 사회학적 분석을 연극무대를 빌어서 설명을 한 점이 특이하였습니다. 대학 다니던 시절 연극동아리에서 활동하면서 제작에 참여한 바 있기 때문에 저자의 설명이 비교적 쉽게 이해되었습니다.


연극은 사회적 관계가 모종의 약속에 의하여 이루어진다는 점을 설명해줄 수 있습니다. 연극은 배우들이 무대에서 상호간에 주고받는 명시표현과 암시표현을 관객들이 지켜보고 이해하는 장()입니다. 그런가 하면 무대에서 한편의 연극을 공여하기 위하여 무대 뒤에서 많은 제작진들 사이에 많은 소통이 이루어집니다. 제작진 이외의 사람들 역시 무대 뒤의 사람들과 접촉을 할 수도 있습니다.


저자는 연극무대를 빌어서 사회적 관계의 이론을 펼침과 동시에 다양한 집단에서의 사례를 인용하기도 하는데, 특히 영국의 셰틀랜드 섬의 공동체의 사례를 많이 인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국립정신병원의 연구원으로 활동핮 적이 있는 까닭인지 병원사회의 경우도 적지 않게 인용합니다. 저의 경험에 비추어 간혹 공감되지 않는 대목이 없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면, “의과대학생들은 이상주의적 지향성을 지는 신입생에게 그 거룩한 포부를 한동안 제쳐놓으라고 말한다. 2년 동안 의대생은 시험에 통과하는 방법을 배우는데 시간을 보내느라 의학적 관심사는 포기할 수밖에 없다. 다은 2년은 질병에 관한 공부를 하느라 너무 바빠 정작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관심을 보일 겨를이 없다. 의학공부가 끝난 후에야 그들은 비로소 그들이 처음에 지녔던 일 활동의 이상을 되새길 수 있다.(35)”라는 대목이 그렇습니다. 모든 의대생들이 꼭 같지는 않다는 것을 알기 때문입니다.


옮긴이에 따르면 1959년에 발표된 이 책은 미국 사회작계는 물론이고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고전으로 평가받았고, 대중적 명성을 누렸다고 합니다. 그런가하면 추천사를 뜬 김광기교수는 어빙 고프만을 사회학게의 영원한 이단자이자 이방인이라고 했습니만, 미국 사회학회 회장을 지낸 이를 이방인이라 하는 것이 옳을까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