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느 시골 신부의 일기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10
조르주 베르나노스 지음, 정영란 옮김 / 민음사 / 2009년 6월
평점 :
역시 뤼방 오지앙의 <나의 길고 아픈 밤>에 인용된 것을 보고 읽게 된 책입니다. 오지앙은 조루주 베르나노스의 <어느 시골 신부의 일기>에서 신부가 위암이라고 통보받는 대목을 인용합니다. 조루주 베르나노스의 <어느 시골 신부의 일기> 377~378쪽의 “암… 위암…. 이 단어 자체가 생경하게 들렸다. (…) 나는 깊은 생각에 골몰한 나머지 얼굴이 창백해지지도 않았던 것 같다. (…) ”얼마나 더 견딜 것 같습니까?“ 내 목소리가 떨리지 않았기 때문에 의사는 내가 충격받지 않았다고 오해한 것 같다. 아아, 나의 침착함은 그저 실성에 가까운 멍함에 지나지 않았건만!”의 대목을 인용했습니다.
그리고는 독자가 일기를 읽는 것 같은 느낌으로 주인공의 생각, 욕망, 감정을 꿰뚫어보면서 죽을병을 선고받는 순간 감정적 혼란, 만감이 교차하는 기막힌 기분을 접하길 원했다.(<나의 길고 아픈 밤> 73쪽)라고 설명합니다. 하지만 신부님은 “그렇다. 나는 울고 있었다. 나는 조금도 흐느끼지 않은 채 울고 있었다. 한숨 한 번 쉬지도 않았던 것 같다. 나는 두 눈을 크게 뜬 채 울고 있었다.(380쪽)”라고 속마음을 토로하였습니다.
조루주 베르나노스의 <어느 시골 신부의 일기>는 20세기 가톨릭 문학의 정수로 평가받고 있고, 프랑스 소설 중 최고 걸작의 하나로 꼽는다고 합니다. 옮긴이의 학부 전공과목 교수님께서도 ‘프랑스어로 된 가장 아름다운 작품’이라고 소개하였다고 합니다. 그리하여 옮긴이는 베르나노스를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받는 인연을 맺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베르나노스가 활동하던 1030년대 무렵의 프랑스 사회는 반교권주의와 무신론이 확산되던 시기였습니다. 베르나노스는 그 시대 교회의 부패와 관료주의를 앞장서 비판했다고 합니다. 이야기는 프랑스 북쪽에 위치한 아르트와 지방의 한 촌락인 앙브리쿠르에 있는 가톨릭교회의 본당신부로 부임한 신부가 배타적이고 폐쇄적인 마을사람들이 신앙에서 멀어지고 여러 가지 죄악에 빠져드는 모습을 보고 이들은 하나님 안으로 인도하려 노력하는 모습을 그려냅니다.
세상물정 모르는 순박함과 타협을 모르는 곧은 성격을 가진 신부님은 마을사람들과 쉽게 어울리지 못하는데, 마을사람들은 그런 신부님을 비난하고 곤경에 빠트리기까지 합니다. 그럼에도 신부님은 좌절하지 않고 마을 사람들의 비뚤어진 생각을 바꿀 여지는 없는지 살펴보고, 자신의 처지를 짚어보기 위하여 일기쓰기를 시작합니다. 이야기의 후반에 가면 마치 일기장이 실재했던 것처럼 몇 장이 뜯어지고 일부 문장은 펜으로 마구 그어 지워진 상태라고 소개되기도 합니다.
마을 사람들과 거리를 좁혀가지 못하기 때문에 신부님의 생활도 윤택하지 못하여 먹는 것도 시원치 않습니다. 형편없는 포도주와 딱딱한 빵으로 끼니를 때우는 생활은 스스로를 학대하는 수준이지만 신부님은 그마저도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이 본당에 부임하고서 3개월 만에 말기 위암으로 진단을 받은 것을 보면 신부님의 암은 이곳에서의 생활로 인하여 생긴 것으로 보기는 어려울 듯합니다. 실제로 위암을 의심할만한 증상을 처음 느낀 것은 6개월 전이었다고 합니다.
위암이 생겼다는 의사의 말에 망연자실하던 신부님은 “하느님께서 나의 임종을 하나의 모범, 하나의 교훈으로 만드실 지도 모른다. 나는 그것이 사람들에게 측은지심을 일으킬 수 있다면 좋겠다.(405쪽)”라는 생각도 합니다. 하지만 어쩐지 신부님의 희망사항에 불과할 것이라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1930년대 만해도 말기가 되어서야 암이 발견되는 경우가 많았고, 방사선치료가 태동하게 된 것도 1030년대 중반이라서 수술 이외에는 치료방법이 없을 때입니다. 결국 신부님은 수술을 받아보지 못하고 친구의 집에서 쓸쓸하게 죽음을 맞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