걷다 보니 마음이 편해졌습니다 - 나에게 힘이 되는 마음챙김 걷기
애덤 포드 지음, 최린 옮김 / 페이퍼스토리 / 2020년 3월
평점 :
절판


걷기에 관한 글을 써보려 자료를 모으고 있습니다. 영국 성공회 목사로 활동하던 애덤 포드가 쓴 <걷다보니 마음이 편해졌습니다>도 그래서 읽게 되었습니다. 저자는 인도 종교를 공부해 석사학위를 받은만큼 불교, 힌두교에 관심이 많고 강의도 해왔다고 합니다. 제목에서 느끼는 것처럼 불교에서 이야기하는 마음챙김에 대한 이야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습니다. 그래서 나에게 힘이 되는 마음챙김 걷기라는 부제를 달아놓은 것 같습니다.


글을 쓰다보면 글의 성격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글제목을 정하는 것이 참 어렵다는 생각을 많이 합니다. 그런데 이 책의 목차를 보면 소제목을 참 잘도 지었구나 싶었습니다. ‘걸을 때는 그저 걷기만 하라는 서문의 제목을 비롯하여 마음의 짐 내려놓기’, ‘느긋한 마음으로 서두르지 않기’, ‘침묵의 소리를 들어라’, ‘가을의 향기를 들이마시다’, 등 어떤 느낌으로 걸어야 할 것인지를 참 잘도 표현했습니다. 그런가 하면 마음챙김 호흡과 마음챙김 걷기코끼리가 걷는 방식처럼 어떻게 걸을 것인지에 관한 내용임을 암시하는 제목도 있습니다.


저는 책을 읽으면서 눈에 띄는 대목이 있으면 표시를 해둡니다만, 이 책의 경우는 표시를 별로 해놓지 못했습니다. 아마도 표시를 해야 할 대목이 너무 많았던 듯합니다. 저는 요즈음 암수술을 받고 요양 중인 까닭에 적당한 정도의 걷기를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그런 까닭에 서문에 첫머리에 나오는 걷는다는 신체 운동은 우선 마음에 생기를 불어놓어 줍니다.’라는 대목에 공감할 수 있었습니다.


그런가 하면 마음챙김이라는 용어의 뜻도 정리해두었습니다. 아마도 선()을 영어로 옮긴 ‘mindfullness’를 우리말로 옮긴 듯합니다. 저자는 마음챙김이란 현실과 지속적으로 닿아 있기 위한 방법이라고 말합니다. 요즈음 멍때림이라는 마음상태가 떠오르고 있다고 합니다. 심지어는 멍때림 대회 같은 것도 열리니 말입니다. 멍때림 대회는 그저 아무 생각 없는 상태를 오래 유지하는 사람이 우승을 하는 듯합니다.


하지만 마음챙김을 얻기 위한 명상은 멍때림과는 다는 상태를 이야기합니다. 저자도 이 점을 분명히 하고 있습니다. “그는 명상에 잠겨 있지만, 그렇다고 자신의 머릿속에 존재하는 마음의 궁전 어딘가로 멀리 떠나 있는 것이 아닙니다. 물질세계와 정신세계에서 현재의 순간을 비추는 안내자처럼 땅에 맞닿아 있습니다.” 그래서 마음챙김을 실행하는 좋은 방법이 바로 잘 걷는 것이라는 것 같습니다. 다만 걸을 때는 그저 걷기만 하라라는 붓다의 단순한 가르침에 따르라고 권합니다.


수많은 마음의 짐과 싸우며 걸어서는 안되므로 우선 생각의 짐을 내려놓으라고 합니다. 한 발자국, 한 발자국 걷다보면 문젯거리나 일들이 자연스럽게, 굳이 노력하지 않아도 스스로 정리되기 시작할 것이라고 합니다. 마음의 짐에 몰두를 하다보면 스스로의 의지가 나서서 해결방법을 찾게 되고 그러다보면 자신의 뜻에 맞는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생각을 놓아버리면 무의식중에 문제해결방안이 떠오르기 때문에 최선의 방법이 도출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마음챙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호흡이라고 합니다. 숨을 쉬는 것이 어려울 게 무엇이냐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만, ‘리듬을 발견하는 것이라는 작은 글제목처럼 신체활동이 일정한 양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데 호흡이 마음챙김의 첫걸음이라는 것입니다. 일정한 방식으로 호흡을 하다보면 자연스럽게 무언가에 몰두를 할 수 있게 됩니다. 저자는 탁닉한이 <걷기 명상>에서 추천한 몇 가지 방법을 제시합니다. 하지만 우리 몸은 제각각 달라서 자신이 본능적으로 느끼는 좋고 편안한 방법을 찾아내라고 권합니다. 책을 읽고 나면 편안한 마음을 만들어내는 걷기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개념을 정리할 수 있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