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인 이야기 1 - 로마는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았다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 1
시오노 나나미 지음, 김석희 옮김 / 한길사 / 199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오노 나나미의 <로마인 이야기>을 읽기로 했습니다. 무려 전질이 무려 15권이나 되는 방대한 분량인데다가 전통역사서가 아니라는 점에서 오랫동안 읽기를 망설여왔습니다. 아내가 소장하던 것을 이번에 사무실 도서로 내놓기로 했기 때문에 읽기로 한 것입니다. 유럽과 아프리카, 소아시아를 여행하면서 단편적으로 로마 역사를 공부하기도 했지만, 통사적 접근을 해본 적이 없기 때문에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하였습니다.


저자는 독자 여러분께라는 글에서 지성, 체력, 기술력, 경제력 등의 관점에서 보면 여타 민족보다 나을 게 없는 로마인들이 대제국을 건설하여 광대한 영역을 그토록 오랫동안 경영할 수 있었던 이유가 무엇일까 생각해보기 위하여 쓰게 되었다고 합니다. ‘왜 로마인만이 그럴 수 있었는가를 짐작해보기 위한 글쓰기였다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역사를 사건 중심으로 기록하기보다는 인물 중심으로 기록하게 된 셈입니다.


작가에 따르면 로마는 하루 아침에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제목을 단 <로마인 이야기1>에서는 로마의 건국부터 시작하여 제2차 포에니 전쟁 직전까지의 500년을 다루었다고 합니다. 로마와 카르타고가 맞붙은 포에니전쟁이 기원전 264년부터 146년까지 벌어졌으니 대체적으로 로마는 기원전 8세기 중반이라고 보는 것 같습니다.


로마인들은 트로이가 그리스와의 전쟁에서 패하여 함락될 때 탈출한 아이네이아스가 로마 근처의 해안에 정착하였고, 로물루스는 아이네이아스의 후손이라고 믿어왔다고 합니다. 로물루스가 로마를 건국한 것이 기원전 753년이라고 합니다.


작가는 일리아드에서 인용한 트로이 전쟁의 마지막 장면에서 이야기를 시작하여 로물루스가 로마를 건국하기에 이르는 과정을 간략하게 요약합니다. 그리고 로물루스의 로마 건국에 즈음하여 이탈리아의 상황을 두루 살펴보았습니다. 하지만 로물루스의 로마건국은 전해온 이야기일 뿐 근거가 분명한 것은 아니어서 작가 역시 “~ 것이다라는 식으로 추정할 수밖에 없는 듯합니다.


어떻든 로물루스가 건국한 로마왕국은 기원전 6세시 말로 종말을 맞고 공화정으로 전환되었습니다. 대체로 왕국은 왕가의 가계로 이어지는 것이 일반인데 로마왕국은 그렇지 못했던 모양입니다. 로물루스가 라틴민족을 이끌고 에트루리아민족들과 경합을 벌인 끝에 로마왕국을 건국하였지만, 왕국에 끌어들인 에트루리아 사람들 가운데 로마를 지배한 왕이 배출되기도 했던 것을 보면 이미 공화정으로 이행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왕국시기에는 왕이 종신제 였던 것이 공화정에서는 민회에서 선출된 두 명이 집정관의 임기가 1년에 불과하였다고 하니 정책의 영속성이 있었을까 싶기도 합니다.


루키우스 유니우스 브루투스의 주도로 공화정이 탄생한 뒤로 그리스에 시찰단을 파견하게 되었는데, 작가는 이 시점에서 기원전 5세기 무렵에 이르기까지 그리스 문명의 변천사를 살펴보았습니다. 트로이 왕자 파리스의 유혹에 끌려 트로이로 건너간 스파르타의 왕비 헬레네를 되찾기 위하여 그리스의 도시국가들이 연합하여 일으킨 전쟁이 트로이전쟁이라고 알고 있습니다만, 실상은 그리스인이 무력에 의지하여 트로이의 부를 빼앗으려 일으킨 전쟁이라는 것이 진상과 가까운 역사적 사실을 것이라고 작가는 추정합니다. 이어서 기원전 390년에 켈트족의 침입으로 시련을 겪고 난 뒤에 로마는 본격적으로 지배구조를 개혁하여 장기간에 걸친 번영의 토대를 닦았다는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