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로 보는 수메르 신화 한빛비즈 교양툰 23
멍개 지음 / 한빛비즈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류 문명이 발전해온 과정을 거꾸로 찾아가는 여행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스를 거쳐 이집트를 찾았고 이들과 겨루었던 페르시아를 비롯하여 바빌로니아의 근거지 이란을 찾아갈 계획이었지만, 국제정세가 여의치 않아서 기회를 놓쳤고, 다시 코로나사태로 기약 없이 미루고 있습니다.


<만화로 보는 수메르 신화>는 고대문명 찾아가기라는 숙제에 도움이 되는 만화읽기였습니다. 수메르 문명은 기원전 5천년 경에 시작된 지금까지 알려진 문명 가운데 가장 오래된 문명입니다. 이보다 오래된 문명이 밝혀지지 않은 관계로 인류 최초의 문명이라는 왕관을 쓰고 있습니다. 아마도 아직까지 밝혀진 바로는 최초의 문자를 발명하여 기록을 남길 수 있었기 때문에 얻은 영예가 아닐까 합니다.


우리에게도 단군신화가 있듯이 세계 각지에는 다양한 형태의 신화가 전해옵니다. 특히 그리스-로마 신화의 경우는 유럽문화의 근본이 될 정도로 영향력이 큽니다. 인류 최초의 문명이라는 수메르에서도 문명의 기원 등에 관한 신화가 전해 내려왔을 터이나 우리들에게는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지역적으로 보아 수메르 문명은 이집트를 비롯한 중동 지역에서 명멸했던 다양한 인류 집단을 통하여 전해졌을 터이라서 이집트, 그리스, 로마 등의 문명에도 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만화로 보는 수메르 신화>는 인류 최초인 수메르에 전해오던 신화를 만화로 소개하면서 이집트, 그리스, 유대 등의 신화 등을 수메르 신화와 비교했습니다. 1최초의 문명을 찾아서를 시작으로 모두 24화에 이르는 다양한 주제로 수메르 사람들의 삶과 그들의 신화를 살펴보았습니다. 작가는 신화학뿐만 아니라 천체물리학 등 다양한 영역의 앎을 바탕으로 수메르 문명의 뛰어난 점을 소개합니다. 수메르 문명은 천체물리학의 영역에서도 놀랄 정도로 발전해있었다고 합니다.


우주에 대한 관심은 근거를 바탕으로 설명할 수 없는 영역에서는 외계인으로부터 발전된 문명을 받아들였을 것이라는 가정을 세우면 쉬울 수도 있겠습니다. 지역적으로는 수메르와 무관한 중남미의 마야문명 과 잉카문명, 그리고 이집트의 피라미드 역시 외계인이 건설한 것이라는 주장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수메르 문명이 외계에서 비롯되었다는 주장 역시 고대로부터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없지는 않겠지만, 태양계 이외의 외계 행성이 태양계로 진입하였다는 해석은 근대에 들어서 만들어진 것이 아닐까 생각도 해봅니다. 도구의 도움 없이 맨눈으로 밤하늘의 별들을 관찰하여 그 움직임을 모식화하는 것이 당시로서는 가능할까 싶기도 합니다.


이집트 시대에도 중동지방과 교류와 충돌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은 것을 보면 수메르 신화가 이집트, 유대, 그리스 신화 등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생각에는 충분히 공감할 수 있습니다. 신 혹은 신들이 인류를 창조했다는 생각은 구약의 창세기에서 비롯되었는데, 수메르 신화에서도 신과 원숭이의 배아이식을 통하여 창조되었다는 설명은 당시의 기술수준으로 가능했을 것 같지 않기 때문에 현대의 기술로 신화를 해석하려는 무리수가 엿보이기도 합니다. 작가가 시도한 수메르 신화의 해석이 학술적인 접근이 아니므로 충분히 상상 가능한 일이라는 생각도 해봅니다.


개인적으로는 단군 신화를 비롯하여 그리스 신화 등에서 등장하는 신이라는 존재는 선진문물을 가진 이주민이라고 설명하는 것이 타당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결국 신이라고 믿었던 존재들이 또 다른 인간이었다고 보는 것이 옳지 않을까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미지의 영역이었던 수메르 신화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만화로 설명하려는 생각은 기발한 것 같습니다. 수메르 문명에 관심을 가지는 계기가 되었을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