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의 기원, 단일하든 다채롭든 - 상상과 과학의 경계에서 찾아가는 한민족의 흔적 ㅣ 내 인생에 지혜를 더하는 시간, 인생명강 시리즈 10
강인욱 지음 / 21세기북스 / 2022년 12월
평점 :
흔히 우리민족은 단일민족이라고 이야기합니다. ‘상항과 과학의 경계에서 찾아가는 한민족의 흔적’이라는 부제가 달린 <우리의 기원, 단일하든 다채롭든>은 유라시이 대륙의 동쪽 끝, 한반도에 사는 우리가 어디에서 왔는가를 찾아가는 여정입니다. 하지만 제목을 보면 우리민족이 단일민족이라는 가정을 세워놓지 않았다는 뜻으로 읽힙니다. 오히려 다채로울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는 느낌입니다.
경희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있는 저자는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에서 학부와 석사를 마치고 러시아과학원 시베리아분소 고고민족학연구소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습니다. ‘한민족의 기원을 찾아가는 여정’이라는 제목의 서문에서 ‘한국인은 유라시아 초원 어딘가에서 내려왔을까?’와 ‘한국인이 정말 그렇게 먼 곳이랑 관련이 있을까?’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고 있다고 고백합니다. 하지만 자신의 관심이 한민족의 기원이라는 문제에서 다소 벗어나 있다고도 했습니다.
저자에 따르면 이 책은 모두 네 개의 주제를 다루었다고 합니다. 1. 고조선으로 대표되는 만주의 청동기시대, 2. 유라사이 초원의 유목문화, 3. 동해안을 따라 이루어진 교류의 루트, 4. 최근에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DNA연구입니다. 하지만 이야기는 결국 우리의 기원에 관한 생각으로 돌아갑니다. “세상에 순수한 단일민족은 없고 우리의 고향은 한 곳으로 특정할 수 없다. 수만년 간 이 땅에 새로운 사람들이 들어오고 떠나면서 다양한 문화가 유입되고, 뿌리내리고, 한반도에 살던 사람들은 여러 이웃과 함께 했다. 즉, 한민족의 기원은 다양한 지역과 교류하면서 이 땅에 적응한 사람들의 모습이다. 많은 사람들과 어울리며 서로의 장점을 받아들이고 경험을 공유하면서 지금까지 살아온 것이다.”라고 이야기합니다.
우리민족이 단일민족이라는 주장은 주로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언어의 특성이나 중국 사서에 남아 있는 우리 민족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저자는 유라시아 곳곳에서 발굴된 고고학적 성과와 한반도에서 발굴된 고고학적 성과를 비교하여 유사점을 찾아가는 방식으로 접근한 것입니다.
돌이켜 생각해보면 학교에서 배운 역사책에서는 대한민국은 고구려, 백제 그리고 신라에 더하여 가야에 뿌리를 둔다고 하였습니다. 고구려와 백제는 뿌리가 같으나 신라와 가야와는 다른 것으로 배웠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남아있는 역사서라는 것도 기록한 이의 주관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민족의 기원을 밝히는 근거로 보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점에서 본다면 고고학이나 고생물학의 연구 성과는 상당한 근거가 될 수도 있겠습니다.
압록강 너머에 있던 고구려나 그로부터 갈라진 백제가 한반도로 이주해왔을 때 남한 지역에는 마한 변한 진한의 세력이 흩어져 있었다고 했습니다. 한반도의 동남쪽에서 출발한 신라와 북방에서 내려온 백제가 이들 세력을 차례로 통합하면서 통일된 왕국이 성립되었던 것을 보면 만주와 한반도에는 다양한 사람들이 흩어져 살고 있었고 이들 또한 어디로부터인지 이주해왔으리라는 추정이 가능합니다.
저자가 제시하는 청동기 유적을 보면 우리민족은 중국의 한족과는 뿌리가 다른 것은 분명한 듯합니다. 한민족의 뿌리가 되는 고조선의 청동기문화는 유라시아 평원의 그것과 흡사하다는 것, 신라시대의 황금 유물 역시 유라시아 평원의 그것과 흡사한 것을 보면 유라시아 초원에서 살던 무리들이 동쪽으로 이주하여 한반도에 거주하던 선주민들과 합류했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겠습니다.
최근에 개발된 DNA검사는 유골을 비롯한 고대인들의 신체가 있어야 가능한 작업인데 한반도의 지질이 산성이라는 특성 때문에 고대인의 유골이 발견되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연구 성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제한점이 있다고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광활한 유라시아 곳곳에서 발굴되는 고고학적 성과와 우리의 뿌리가 묻혀있는 한반도의 고고학적 성과를 비교하는 고고학적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우리의 뿌리를 밝혀내기를 기대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