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외로운 도시 - 뉴욕의 예술가들에게서 찾은 혼자가 된다는 것의 의미
올리비아 랭 지음, 김병화 옮김 / 어크로스 / 2017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도심 걷기라는 주제에 맞을까 싶어 고른 책읽기였습니다. 영국의 일요판 잡지 옵저버의 부편집장을 지낸 올리비아 랭이 30대 중반 사랑하는 이를 따라 뉴욕으로 이주했다가 하루아침에 실연을 하고 혼자가 되면서 겪어야 했던 힘든 시절을 버틸 수 있었던 힘이 무엇이었던가를 이야기합니다.
하지만 <The Lonely City>라는 원제목의 의미를 그대로 옮긴 <외로운 도시>는 도시가 외롭다는 것인지, 아니면 도시에서 사는 사람이 외롭다는 것인지 모호하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뉴욕의 예술가들에게세 찾은 혼자가 왼다는 것의 의미’라는 부제를 보면 거대도시에 뚝 떨어진 이방인이 느껴야 했던 외로움을, 혹은 거대도시에서 외로움을 느끼면 살았던 예술가들의 삶을 살펴보겠다는 의미로 읽히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의 서울도 거대도시입니다만, 그래도 옛날부터 이리저리 맺어진 인간관계 속에서 부대끼면서 살아왔습니다. 뉴욕이나 LA는 가족이나 친구와 함께 찾아간 적은 있습니다. 시카고에서 열린 학회에 참석한 경험이 미국의 거대도시에 혼자 뚝 떨어진 경험이었습니다. 그때는 두려움 때문에 숙소 밖으로 나가보지 못했었고, 그 뒤로 학회 사람들과 함께 떼거리로 참석하였을 때는 밤거리도 두려워하지 않고 돌아다닐 수 있었습니다.
“한밤에 빌딩 6층이나 17증, 아니면 43층 창가에 서 있다고 생각해보라. 도시는 세포의 집합처럼 보인다.(…) 아주 사교적인 사람에게도 고독의 전율을, 격리와 노출이 복합된 불편한 감각을 전해준다.(13쪽)”라고 시작하는 대목을 읽다보니 거대도시에서 홀로 밤을 맞을 때 느낄 수 있는 보편적인 현상으로서의 외로움이 절로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저자는 이런 느낌을 극복하기 위하여 고독에 시달리거나 그것을 표현해내는 것으로 보이는 예술잡품을 모아 보았는데, 특히 에드워드 호퍼, 앤디 워홀, 헨리 다거, 그리고 데이비드 워나로위츠 등 네 명의 미술가들의 작품이었다고 합니다. 그밖에도 클라우스 너미, 조시 해리스, 조 레너드, 피터 후자, 벨러리 솔라나스, 래리 크론 등의 예술가들에 대한 이야기가 차례로 등장합니다. 물론 그들 모두가 고독을 영구히 붙들고 산 것도 아니고, 바라보는 시각과 접근하는 각도도 저마다 달랐지만, 그들 모두는 사람들 사이에 놓인 간극에, 군중 속에서 고립된다는 것이 어떤 기분인징 극도로 예민한 사람들이었다고 했습니다.
저자가 인용한 예술가들 가운데 에드워드 호퍼나 앤디 워홀은 그래도 익숙한 편이었지만 나머지 예술가들은 전혀 생소하였습니다. 저자는 이 책에서 인용하는 예술가들의 삶과 작품들에 대하여 상당한 자료를 섭렵하여 소개하였습니다. 그래서 이미 알고 있다고 생각한 호퍼나 워홀에 대해서도 새롭게 알게 된 사실들이 적지 않습니다.
도심 걷기와 관련된 대목도 찾아낼 수 있었습니다. “호포에게는 언제나 상상력을 자극할 실제의 어떤 계기가 필요했기 때문에, 어떤 장면이나 공간이 자신을 붙들 때까지 시내를 돌아다녔고, 그런 다음에 그것을 기억 속에 자리 잡게 했다.(63쪽)” 저처럼 평범한 사람들은 그럴 일이 없겠습니다만, 사실 창작하는 분들은 소재를 구하기 위하여 다양한 장소를 찾아다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작가 개인적인 체험도 있습니다. “특정한 상황에서 외부인이 되고 적응하지 모사는 것이 만족감, 심지어 쾌감의 원천이 될 수도 있다. 고독으로부터 휴식을 얻는, 치유가 아니더라도 휴가 정도는 종류의 고독이 있다. 때로 나는 걸었고, 윌리엄스버그 다리의 철골 아래를 이리저리 돌아다니거나 이스트 강을 따라 걸어가사 은색으로 빛나는 유엔본부까지 내려가기도 했다. 그러는 동안 한심한 나 자신을 잊을 수 있었고, 안개처럼 푸석푸석하고 경계선 없는 상태로 도시의 흐름에 실려 유쾌하게 흘러갈 수 있었다.(75쪽)”
아마도 그냥 지나쳐보기는 했겠지만, 내려서 걸어보지 못한 타임광장이 꽤나 조심해야 하는 장소라는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