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위 있게 나이 드는 법 - 일상에 유쾌하고 소소한 행복을 선사하는 32가지 노년의 지혜
버나드 오티스 지음, 박선령 옮김 / 검둥소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에 받은 건강검진에서 이상소견이 발견되어 상세한 진찰을 받는 중입니다. 나이가 들어가니 이곳저곳이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데 이번에는 조금 심각할 수도 있겠습니다. 건강에 문제가 생기기 전부터 쥐고 있던 화두가 우아하게 나이 드는 것이었습니다. <품위 있게 나이 드는 법>은 그런 화두에 걸 맞는 책읽기였습니다.


일상에 유쾌하고 소소한 행복을 선사하는 32가지 노년의 지해라는 부제가 눈길을 끌었습니다. 저자는 65년에 걸쳐 식품 공급시설 기획과 홍보 관리를 하면서 자문도 하는 버나드 오티스씨입니다. 부인이 별세한 뒤에는 요양원에 거처하면서 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돕는 일을 해오고 있습니다.


머리말 같은 헌사에서는 아내 안나에 대하여 감사하는 뜻을 절절하게 담았습니다. ‘시작합니다에서는 여든다섯이 되어 이 책을 쓰게 된 사연을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내가 바라는 대로 이 일을 잘해낸다면, 여러분은 내가 인생 여정이라고 부르는 노화 과정에 대해 유용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을 거이다. 이 통찰력을 이용하면 졺은 독자들은 적절한 미래 계획을 세울 수 있고, 좀 나이가 든 독자들은 노화와 관련된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얻을 것이다.(15)”


그는 독자들에게 몇 가지 당부하는 것들을 나열하고는 이 책을 재미있게 읽어주기 바란다. 내 얘기가 매우 유익하고 고무적이라는 걸 알게 될 것이다.’라고 장담했습니다. 실제로 책을 읽는 이에게 노년을 행복하게 사는 비법을 조언하는 데 있어 가르치려들지 않고 농담을 섞어가면서 조곤조곤 속삭이듯 이야기를 풀어놓고 있어 책읽기에 저절로 빠져드는 느낌입니다.


중간 중간에 유명 인사들의 금언을 인용해놓았고, 적당한 지점에 만담들을 늘어놓아 숨을 돌릴 여유도 만들어놓았습니다. 예를 들면 마흔은 청춘의 노년이고, 쉰 살은 노년의 청춘이다라는 빅토르 위고의 말을 인용하였는데, 지은이 자신의 나이를 고려한 듯 그렇다면 쉰 살 이후의 모든 순간은? 시간과의 싸움이다라는 대응구를 붙이고 싶다고 하였습니다. 생각해보니 제 처지가 바로 이와 같을 듯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과로사라는 사인을 흔히 볼 수 있습니다만, 미국의 경우는 부고 기사 중에 과로사로 사망했다는 사람은 한 명도 없다고 해서 의아했습니다. 저는 아직 현업에서 일을 하고 있습니다만, 직장에서 은퇴했다고 해서 삶에서 은퇴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건강하자는 내용의 글에 크게 공감하면서도 제 현실이 조금은 답답해지기도 했습니다.


그런가 하면 셰익스피어의 희곡 <뜻대로 하세요>에 나오는 인생의 일곱 가지 단계는 제가 알고 있는 것보다 훨씬 길어서 의아해졌습니다. 아무래도 저가가 원전에 나오는 대목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놓은 것은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오늘 독후감을 쓰기 위하여 목차를 뒤적이면서 찾아낸 구절이 크게 마음에 와 닿았습니다. ‘가족들은 당신이 아프다는 사실에 상처받는 것이 아니라, 고통을 자신과 나누지 않으려고 하는 것에 상처받는다는 대목입니다. 저는 오늘 검진에서 이상소견이 나왔다는 사실을 형제들에게 알렸습니다. 그리고 이상소견이 나온 검사를 해볼 것을 권했습니다. 물론 아내에게도 알렸고, 정밀검사를 할 계획도 알렸습니다. 아이들에게도 알릴 생각입니다.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해놓았던 일들을 조금씩 정리해두곤 했습니다만, 바쁘다는 핑계로 미뤄놓았던 것들을 빨리 정리해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저자가 지금 해야 할 일이라고 조언한 유산상속 계획, 의료기록의 통합 정리, 가족들의 병력 정리 등의 일을 서둘러야 하겠습니다.


저자가 정리해놓은 32가지나 되는 노년의 지혜를 품위 있게 나이 드는 방법일 뿐 아니라 우아하게 죽음을 맞는 방법이라는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