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로 라이프 - 우리가 꿈꾸는 또 다른 삶
쓰지 신이치 지음, 김향 옮김 / 디자인하우스 / 2005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최근 들어 느리게 살기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슬로 라이프>는 한국계 일본인으로 문화인류학자이며 환경운동가인 쓰지 신이치교수가 썼습니다. 영어에는 없는 표현인 슬로 라이프는 저자가 처음 제안한 단어로 이제는 나름 용례가 많아지고 있다고 합니다. 슬로 푸드, 슬로 시티 등에서 영향을 받아 만든 개념으로 날로 황폐해져가는 인간의 삶과 지구를 되살리기 위하여 슬로 라이프는 그저 여유로운 생활을 의미하지 않고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한 생활로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저자는 현대사회의 특징이라 할 경쟁에서 탈피해야 하는 이유를 조목조목 따지고 있습니다. 그가 이야기하는 슬로우 라이프에는 걷기, 방랑, 게으름, 슬로 푸드, 자작농, 슬로 러브, 슬로 머니, 슬로 워터, 스몰, 슬로 타운, 있는 것 찾기, 머물기, 비폭력, 슬로 폴리틱스, 분발하지 않기, 놀기, 에코 이코노미, 비전화, 자전거, 친환경 주택, 슬로 비즈니스, 뺄셈, 지역 통화, 공정 무역, 슬로 카페, 슬로 섹스, 빈둥거리기 등 다양한 슬로 라이프의 사례를 들어 설명합니다.


개인 적으로는 걷기에 관심이 있었습니다만 생각보다는 걷기에 대한 설명이 피상적이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또한 이 책은 도서관이나 서재가 아닌, 현장 운동을 하는 가운데서 태어났다라고 맺음말에서 밝혔습니다만, 책을 읽어보면 상당히 많은 글이 다양한 자료를 인용하여 말문을 열고 있는 것을 보면 도서관 혹은 누리망에서 건져 올린 자료의 도움을 받았을 것이라는 추측이 가능합니다. 물론 환경운동의 현장에서 보고 들은 바를 가져온 것도 적지 않은 듯하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걷기에 대한 설명에서도 걷기의 종류를 그저 이동산책두 가지에 불과한 것도 적절할까 싶습니다. 요즈음에는 다양한 바를 이루기 위하여 걷기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아무 생각 없이 걷기, 체중을 줄이기 위한 운동, 자연과 교감하기 위한 걷기, 치유 목적의 걷기, 사유하면서 걷기 등이 생각나고, 그밖에도 다른 이유가 있을 듯합니다.


공포-안심이란 제목의 글을 읽다보니 저자가 말하는 슬로 라이프의 정의라 할 만한 대목이 있습니다. “슬로 라이프란 바로 이러한 안심을 회복하는 것을 의미한다. 근대사회의 삶으로 돌아가자는 뜻도 포함됩니다. 저자가 인용하는 기시다 에리코(岸田衿子)의 시 <남쪽의 그림책>의 한 대목이 바로 그런 의미를 담았습니다. “서두르지 않아도 괜찮단다. / 씨앗을 뿌리는 사람이 걷는 속도로 / 걸어서 가면 된단다.(82)”


그런가 하면 모호크 족의 엘렌 가브리엘이 인용한 인생에 있어 가장 긴 여행. 그것은 머리에서부터 마음에 이르는 여행(152)”이라는 호피족의 격언이 무엇을 뜻하는지 쉽게 이해되지 않는 대목도 있었습니다.


에코 투어리즘에 대한 저자의 생각에 공감합니다. 관광사업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관광은 외부로부터 시간을 들여오는 일이다. 특히 대규모 관광객은 자신의 시간을 여행지로 들여와서 분주히 움직이며 돌아다니다가 자신의 시간을 가지고 그대로 돌아간다. 관광객에 이해 유입된 시간은 관광과 관련되어 생계를 꾸려가는 현지 사람들에게도 침투되면서, 그 장소에 본래 존재했던 시간들을 무너뜨려 간다. 1년 중 절기마다 벌어지는 수많은 축제와 행사들도 관광의 도구로 전락하기 쉽다. 그렇기에 관광 사업은 어디까지나 부수적인 것이어야지, 그 자체가 주가 되어서는 안된다.(261)”


자연과 더불어 전통문화와 유장한 시간을 소중히 하는 투어리즘이 에코 투어리즘이고, 따라서 슬로 투어리즘이라는 것입니다. 짜맞춘 일정에 따라 여기저기 쫓아다니다가 결국 지쳐서 돌아가는 패스트 투어리즘이 아니라 지역 특유의 유유자적한 시간에 빠져 보기를 권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