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기여 잘 있어라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79
어니스트 헤밍웨이 지음, 김욱동 옮김 / 민음사 / 2012년 1월
평점 :
<무기여 잘 있어라>는 학생 때 헤밍웨이 전집을 독파하면서 읽은 적이 있습니다. 지난해 가을 스위스를 여행하면서 들렀던 몽트뢰가 이 작품에 등장한다고 해서 다시 읽었습니다.
제1차 세계대전에서 오스트리아와 이탈리아는 맞서 싸웠습니다. 전투는 두 나라 국경선의 동쪽과 중서부에서 벌어졌습니다. 헤밍웨이는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이탈리아에서 적십자의 구급차 운전사로 일한 경험이 있습니다.
미국출신 프레데릭 헨리 중위는 이탈리아 군에 소속되어 동부전선에서 의무중대의 후송담당 업무를 맡았습니다. 전투가 소강상태인 시작부에서는 술을 즐기고 위안소를 방문하는 등 이런 부대가 있을까 싶을 정도로 풀어진 분위기였습니다. 그런 와중에 헨리 중위는 같은 방을 쓰는 외과 군의관 리날디의 소개로 영국 출신 간호사 캐서린 버클리를 만나게 됩니다. 헨리 중위는 가볍게, 버클리는 신중하게 관계를 이어가던 중에 전선에 투입되었던 헨리 중위가 포격을 받아 부상을 입게 됩니다. 헨리 중위가 밀라노에 신설된 야전병원으로 후송되었을 때 버클리 역시 같은 병원으로 지원을 나와 재회를 하게 됩니다. 수술을 받고 재활치료를 받는 동안 두 사람은 깊은 관계에 빠지고 버클리가 임신을 하게 됩니다.
재활치료가 끝나고 헨리는 전선으로 복귀하게 되는데, 전선이 뚫리면서 부대가 갑작스럽게 후퇴를 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헨리는 그만 탈영을 해야 하는 상황에 처합니다. 후퇴하는 장교를 즉결처분하는 헌병대에 체포가 된 것입니다. 강물에 뛰어들어 위기상황을 벗어났지만 헨리의 마음 속에는 이미 전쟁에 참가할 명분을 잃고 말았습니다. 버클리를 찾아 밀라노로 향한 헨리는 스트레사로 갔다는 그녀의 뒤를 쫓는데, 스트레사에서도 헌병대의 추적을 받게 됩니다.
헌병대의 추적을 피해 버클리와 함께 마조레 호수에 배를 띄우고 스위스로 향합니다. 밤을 도와 30여㎞를 항해한 끝에 스위스에 무사히 도착해서 세관원에게 체포되어 로카르노로 이송됩니다. 이탈리아 전선에 투입되었다는 사실을 숨긴 두사람은 임시사증을 받아 스위스 체류가 가능해졌습니다. 두 사람은 몽트뢰로 가서 겨울을 보내지만, 버클리의 분만이 가까워지면서 로잔으로 옮겨갑니다. 로잔의 큰 병원에서 분만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문제가 생겨 사산을 하고 버클리 역시 산후출혈로 죽음을 맞는 비극으로 이야기가 마무리됩니다.
이 작품에 등장하는 이탈리아 사병들이 전쟁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를 보이는 점으로 반전소설로 분류하는 경향도 있지만, 전쟁 속에 피어나 스러진 슬픈 사랑이야기라고 보는 것이 맞겠습니다. 발칸을 여행하고 밀라노에서 귀국 비행기를 타느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지난 슬로베니아와 이탈리아의 국경 지대를 비롯하여 이탈리아 여행 때 들렀던 밀라노, 학회가 열린 스트레사를 비롯하여 스위스 여행에서 들렀던 몽트뢰등 이 작품의 배경이 되는 지역이 배경이 되고 있는 작품이라서 다시 읽을 때는 소설 속 장면을 그려볼 수 있었습니다.
요즘에도 출산이 만만한 것은 아닙니다만, 당시에는 출산과정에서 목숨을 잃는 경우가 허다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버클리의 경우는 골반이 작아서 태아의 체중을 줄이라는 의사의 권고가 있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분만 당시 진통이 오기 전부터 제왕절개수술을 고려했어야 하지 싶습니다. 자연분만을 오랫동안 시도하는 과정에서 탯줄이 목에 감긴 태아도 죽고, 피로 상태에 빠진 자궁은 분만 후에 수축이 제대로 되지 않아 산후출혈이 이어지면서 과다출혈로 죽음에 이르렀다는 것인데, 요즘 같으면 의료사고로 간주될 수도 있는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