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명론자 자크와 그의 주인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11
드니 디드로 지음, 김희영 옮김 / 민음사 / 201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밀란 쿤데라의 <자크와 그의 주인>은 드니 디드로의 <운명론자 자크와 그의 주인>을 각색한 희곡이라고 했습니다. 무대에 올리기 위한 대본이었기 때문에 내용이 함축되어 있어, 아무래도 원전을 읽어봐야 의미를 제대로 알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에 읽어보게 되었습니다.


기본적으로는 자크와 그의 주인 그리고 여인숙의 여주인이 전하는 포므레 부인의 사랑에 관한 이야기가 교차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쿤데라의 희곡이 세 사람의 전도된 사랑이야기에 집중하고 있는데 반하여 디드로의 소설은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하면서 자크와 그의 주인 사이에 오가는 이야기들이 단절되고 있습니다. 그만큼 이야기의 전개가 난삽하다는 느낌을 받게 됩니다.


디드로의 작품에서는 세 사람의 사랑이야기는 부수적인 느낌이고 자크와 그의 주인 사이의 관계설정이 아주 중요하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분명 자크가 하인인 듯하나, 어떤 장면에서는 두 사람이 친구인 듯, 심지어는 주종의 관계가 역전되는 느낌도 들었습니다.


사실 자크와 그의 주인은 분명 여행하는 과정에서 심심풀이로 자크의 사랑에 관한 이야기를 듣기로 하였습니다만, 그들이 어떻게 만났고, 어디에서 어디로 여행을 하고 있는지는 전혀 언급되지 않습니다. 다만 자크의 전 주인인 대위가 여기 우리에게 일어나는 모든 좋고 나쁜 일은 저기 높은 곳에 씌어있다.”고 한 말을 자크가 신봉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그러니까 자크는 운명론자가 된 셈입니다.


실제로 자크가 하는 행동은 상황에 따라서는 적절하다고 보기 어려운 것이지만, 상황이 전개되면서 긍정적인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을 보면, 자크에게는 어떤 일을 하더라도 긍정적인 결과를 낳게 되는 것 같습니다. , 옳다고 생각하면 행동에 옮겨야 한다는 것을 이야기하는 것 같습니다.


벨라벨이라는 분은 자크가 결정론자가 아닌 운명론자다라고 했다는데 결정론과 운명론의 차이가 무엇인지 모호한 느낌입니다. 옮긴이는 운명론과 결정론은 그것이 다만 신이야 물질이냐 하는 차이를 떠나, 운명론이란 일체의 자유의지를 부정하나, 결정론이란 만약 우리가 원인의 유희에 개입할 수만 있다면 그에 따라 결과를 수정할 수 있다(456)”라고 설명하였습니다. 하지만 제 생각에는 자크가 운명론자라기보다는 매사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긍정론자라고 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디드로의 작품에서 보는 특징은 작가가 나서서 이야기가 어떻게 전개되는지, 혹은 등장인물의 처지를 설명한다는 것입니다. 그리스 비극에 등장하는 코러스와 같은 역할을 작가가 하고 있는 셈입니다. 그렇다면 쿤데라 역시 사회자를 두어 관객들의 이해를 도울만한 설명을 해주었더라면 어땠을까 싶습니다.


두 사람의 여행이 모호한 점은 <고도를 기다리며>의 주인공들이 고도를 기다리며 의미 없는 이야기를 주고받는 장면을 떠올리게 만들었습니다. 다만 다른 점이 있다면 이러저러한 사건들이 끊어질 듯 이어지던 자크의 사랑이야기가 마지막 부분에서 급물살을 타면서, 반전을 이루어 행복한 결말을 맞는 것입니다. 하지만 쿤데라는 세 사람의 사랑이야기에 방점을 찍은 탓인지 열린 상태로 결말을 짓는 차이고 있습니다.


한 가지 더 짚어보자면, 코러스의 역할을 하는 작가가 독자의 눈치를 보아 이야기를 끌고 가는 듯한 암시를 준다는 점입니다. 자크의 사랑이야기가 끊어지는 상황에서도 잠시 기다리면 이야기가 이어질 것이라고 독자를 달래기를 마다하지 않는 것입니다.


작가에 따르면 우연한 일들이 일어나 자크의 사랑이야기를 끊어놓지만, 그의 주인은 끈질지게 자크의 사랑이야기를 요구하고, 끊어진 부분을 이어줍니다. 그런 점에서 보면 작품해설에서 이야기하는 우리가 운명을 이끌고 간다고 믿지만, 실은 운명이 우리를 이끌고 가는 것이다.(437)”라는 명제를 증명해가는 과정이라고 보았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동의하기 어렵다는 생각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