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한 하루
마르탱 파주 지음, 이승재 옮김, 정택영 그림 / 문이당 / 2005년 10월
평점 :
품절


대중적이고 감각적이면서도 깊이 있는 글이라는 평가를 받는 프랑스 작가 마르탱 파주의 두 번째 소설입니다. 대학에서 심리학, 언어학, 철학, 사회학, 예술사, 인류학, 음악을 전공했다고 하는데, 이게 가능한지는 모르겠지만 작가의 관심사가 다양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완벽한 하루>에서는 자살을 꿈꾸는 스물다섯 살인 젊은 남자 회사원의 24시간을 그려낸 작품입니다. ‘한국의 독자들에게라는 서문에서 “<완벽한 하루>는 내 첫 소설 <나는 어떻게 바보가 되었나>가 출간되기 8개월 전에 써둔 작품이다.”라고 밝히고 있는 것을 보면 <완벽한 하루>는 등단 전에 써보았던 무수한 습작들 가운데 하나였던 것 같습니다. 강의실에서 원고를 쓰고 출판사에서 거절한 원고들을 들여다보던 학생시절을 거쳐 중학교의 야간 경비원, 축제의 안전요원, 기숙사의 사감 등 먹고살기 위한 직업을 전전하였다고 합니다.


작가가 어려운 시절을 견딜 수 있었던 것은 친구 두 명과 함께 만든 실패자들의 모임덕이었다고 합니다. <우울한 하루>의 주인공이 자살을 꿈꾸는 것처럼 자칫 극단적인 선택을 할 수도 있었던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스스로를 지키고 세워낼 수 있었던 동력이었고 합니다. 대체적으로 극단적 선택을 하는 사람들은 비관적인 성향이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비관적이라는 성향은 낙천적 성향과 대치되는 개념으로 생각하기 쉽습니다만 작가는 두 성향이 공존한다고 믿고 있습니다.


결국 스스로를 어떤 방향으로 밀고 가는가에 달려있다는 것입니다. 자전적 소설 <우울한 하루>의 주인공처럼 작가는 자명종이 울리며 눈을 뜨는 그 순간부터 매일 죽고 싶었다. 하지만 그 쓰디쓴 절망 속에서 나는 광기에 가까운 아이디어, 번뜩이는 아이디어로 가득 찬 이야기들을 얻어낼 수 있었다. 그렇게 나는 우울한 일상과 정면으로 싸워 나갔다. 하루를 보내는 동안 머릿속으로는 온갖 비관적인 상상을 하면서도 남들과 더불어 지냈고, 토론을 하고 이야기도 하며 농담까지 주고받았다. 그 덕에 많은 힘을 얻을 수 있었다.”라고 고백합니다. 삶이 힘들어 비관적인 생각에 사로잡히더라도 혼자만의 세계로 스스로를 몰아넣지 않고 타인과의 관계를 적극적으로 유지함으로써 낙천적인 생각을 떠올릴 수 있었다는 것입니다.


책을 읽어가면서 자살을 꿈꾸는 주인공이 기막힌 상상을 하는 천재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세들어 살고 있는 집의 세간살이 골프채로 흠집을 내고 부식성 화학약품을 사용해서 고풍스러운 분위기를 만들어내는 상상도 모자라서 카펫과 마루판을 뜯어내고 바닥에 구멍을 파 부식토를 채우고 토마토나 딸기 등 제철 채소류를 심고 심지어는 사과나무와 등나무, 장미와 팬지를 심어 실내 정원을 만드는 상상도 합니다. 이 부분을 읽다보니 고인이 된 저의 사수께서 저와 함께 쓰던 사무실에 화분을 들여 밀림처럼 만들었던 시절이 생각났습니다.


평소 달고 살던 통증이 심해진 듯하다는 느낌은 회사 동료가 폐암으로 진단받았다는 소식을 듣고서 생긴 증상이 아닐까 싶습니다. 병원에 가서 검사를 받았는데 몸 안에 길이가 5.2미터에 달하는 백상아리가 살고 있다는 진단을 받았습니다. 이런 진단을 내려주는 의사가 있다는 사실도 신기합니다. 백상아리는 낚아 몸밖으로 내보내려는 싸움이 치열하게 전개되었지만 결국은 실패하고 공존하기로 합니다. 즉 소소한 잔병과 굳이 싸울 필요도 없다는 생각이겠지요. 일종의 자가치료법인데, 끔찍한 사회에 적극적으로 동참하려는 노력의 일환입니다. 요일 별로 자신의 기분 상태를 부여한 것도 그런 노력의 일환이라는데 참고할 만합니다. "월요일은 행복하고 긍정적이다, 화요일은 우울하고 지친다. 수요일은 공격적이다, 목요일은 순진한 척한다. 금요일은 냉소적이고 지루하다, 토요일은 어리벙벙하다, 그리고 일요일은 똑똑하고 유머러스하다.(61)"


날이 밝으면서 구토가 일고 몸안에 있던 백상아리가 빠져나와 거리로 헤엄쳐나갑니다. 자살충동으로 고통스러웠던 하루가 행복하게 마무리되었다는 의미인지, 아니면 1993년작 영화 <사랑의 블랙홀>에서처럼 하루의 일상이 반복된다는 것인지는 분명치가 않습니다. 제목으로 보아서는 우울한 일상에서 해방되는 길을 찾아낸 것으로 보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