캉길렘의 의학론 - 자연, 질병, 건강, 치유, 유기체와 사회에 대하여 철학의 정원 50
조르주 캉길렘 지음, 여인석 옮김 / 그린비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보건의료 분야의 누리망 신문에 독후감을 연재할 때 인문학, 특히 의철학 분야에 관심을 두었습니다. 아직 읽어보지는 못했습니다만, 저의 전공을 살려서 조르주 캉길렘의 <정상과 병리>를 읽었더라면 좋았겠다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조르주 캉길렘은 20세기 프랑스의 의철학을 대표하는 철학자입니다. 고등사범학교의 철학교사 자격시험에 합격한 뒤에 의학을 공부하였고, 고등학교에서 철학을 가르치다가 1955년부터는 소르본 대학에서 철학교수로 봉직했습니다.


그는 생전에 다섯권의 책을 펴냈을 뿐인데 의학박사 학위논문 <정상적인 것과 병리적인 것> 그리고 철학박사 학위온문 <17, 18세기 반사 개념의 형성>을 제외하고는 발표된 논문들을 비슷한 주제로 묶어서 펴낸 것이라고 합니다. 미리 기획한 책이 없었던 것은 생전에 너무 바빴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캉갈렘의 의학론> 역시 비공식적이거나 지금은 절판이 되어 만날 수 없는 다섯 개의 글을 모아 엮은 것입니다. 다섯 개의 글은 모두 의학의 역사 혹은 철학에 관한 글로서 <과학사과학철학 연구>에서 의학이라는 표제 아래 있는 세 개의 글과 함께 의학에 관한 글 모음이 될 것이라고 합니다.


첫 번째 글 의학 이론과 실천에서 자연 관념에서는 질병의 자연치유력을 주제로 합니다. 의학이 첨단으로 향하고 있는 요즈음에도 인정받고 있는 자연치유력에 관한 개념은 일찍이 히포크라테스 시대에 전개된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자는 현대의학이 히포크라테스를 찬양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더 이상 그를 내세우지 않는 것이며, 그의 유기체 개념이 가진 근사적 정확함을 기리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그의 관찰법과 관망법을 거부하는 것이다(28)’라고 잘라 말하였습니다.


두 번째 글 질병은 의학에 대한 철학적 성찰에서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한 질병에 대한 사유를 담았습니다. 질병 개념에 대한 역사적 변천과정을 개괄합니다. 현대의학에서는 건강을 위협하는 질병을 극복해야 할 대상으로 여기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과거에는 부정한 이에 대한 초자연적인 힘의 징벌로 간주되었습니다. 저자는 질병의 실존적 의미를 추구하여, “질병은 생명체가, 혹은 인간이 죽음을 면할 수 없는 존재임을 시인하게 강제하는 생명의 도구다라고 적었습니다.


세 번째 글 건강: 통속적 개념과 철학적 질문에서는 건강의 의미를 정의하였습니다. 르리슈는 건강은 장기들의 침묵 속에서 누리는 삶이라고 정의하였습니다. 한편 캉길렘은 “(건강은) 규범의 위반을 허용하고, 새로운 상황에서는 새로운 규범을 확립할 수 있는 가능성이라고 정의하였습니다. 건강이란 늘상 같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불확실한 환경의 변화를 수용해낸 결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나는 나의 의사를 치료자로 보기 이전에 내 몸에 대한 주석가로 본다.(57)”라는 구절을 새겨봅니다.


네 번째 글 치유에 대한 교육은 가능한가에서는 치유라는 개념을 두고 환자와 의사의 시각이 다를 수 있다는 점을 일깨웁니다. 치유에 대한 성찰에 머물지 않고 치유에 대한 개념을 어떻게 교육시킬 것인가로 확대해나간 이유를 설명합니다. 일반적으로 환자는 질병이 생기기 이전의 건강상태로 완전히 회복되는 것을 기대합니다. 하지만 100% 완벽하게 이전 상태로 되돌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적정한 선에서 수용하는 것이 나을 수있습니다.


마지막 글 유기체와 사회에서 조절의 문제는 유기체와 사회의 관계를 설명하는 글입니다. 생명체는 세포라고 하는 기본 단위가 집적되어 형성합니다. 마찬가지로 사회 역시 구성원들이 모여 구성되는 것이고, 그 기능 역시 유기체와 사회 사이에 닮은 점이 많습니다. 하지만 캉길렘은 유기체와 사회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고 봅니다. , 유기체는 이상적인 상태가 분명함에 비하여, 사회는 이상적인 상태에 대한 합의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캉길렘은 사회는 유기체라기보다는 도구에 가깝다고 본다고 하였습니다.


다양한 주제들에 대하여 고금의 생각들을 두루 살펴 비교하고 새로운 생각을 뽑아 올린 것을 읽을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