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으면 해결된다 Solvitur Ambulando - 불안의 시대를 건너는 철학적 걷기
우석영.소병철 지음 / 산현재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위스 여행길에 읽은 책입니다. 걷기와 여행에 관한 철학적 사유를 정리했다는 책소개가 눈길을 끌었습니다. 사회학을 전공하고 환경철학을 연구하는 우석영 작가와 순천대학교 철학과의 소병철 교수가 함께 쓴 <걸으면 해결된다>기가 어떻게 (인간의) 모멸감과 불안감과 두려움을 잠재우고 자신력과 자존감을 키울 수 있는지, 왜 걷기가 자기에 대한 앎과 철학적 사유와 창의성을 촉발하는지, 왜 걷기가 야외 온동이라기보다는 특별한 삶의 실천인지를 탐구했다.(24)’라고 머리말에 기획의도를 밝혔습니다.


필자 역시 동네산책과 여행을 통하여 걷기를 즐겨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저자들처럼 걸으면서 거창하게 철학을 사유한다거나 하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글쓰기를 비롯하여 생활에서 부딪히는 다양한 문제들에 대한 답을 걸으면서 얻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그러니까 <걸으면 해결된다>는 이 책의 제목을 실천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편이기도 합니다.


우선 두 저자는 걷기에 관한 선각자들의 깨우침을 다양하게 인용하고 있습니다. 한편으로는 이 책에서 인용하고 있는 걷기에 관한 다양한 자료들을 찾아서 읽어볼 생각입니다. 저 역시 걷기에 관한 글을 쓸 때가 있기 때문입니다. 흔히 누군가의 생각을 인용하다보면 그 생각에 매몰되는 경우도 있어 조심스럽기도 합니다. 비판적 책읽기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유입니다.


이 책에서 발견한 여행사의 상품을 따라가는 단체여행을 “‘주마간산의 여행에는 통과의 의례만 있고 발견의 흥분은 없다. ‘촬영의 득의만 있고 관조의 시선은 없다. 사진이나 얼른 찍고 떠나기를 반복하는 사람은 놀랍게도 풍경은 풍경사진보다 아름답다는 진리를 까마득히 잊은 듯 보인다.(172-72)”라고 평가절하하는 듯합니다. 하지만 어쩌면 작가는 여행사 상품으로 단체여행을 해보았을까 싶고, 해보았더라도 여기 적은 그런 분들을 주로 만난 것 아닐까 싶습니다.


단체여행에서도 저자가 생각하는 그런 여행을 하는 사람을 만날 수 있습니다. 제한된 시간이지만 대상을 찬찬히 관조하고, 차로 이동하는 시간에 깊이 생각하며, 훗날 여행에서 찍은 사진들을 다시 꺼내보며 여행당시의 감동을 다시금 느껴보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는 것입니다. 물론 자유여행을 하면 원하는 장소에서 원하는 시간만큼 머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교통과 숙소를 직접 해결해야 하는 문제를 비롯하여 표를 구해야 하는 박물관이나 미술관, 교통편을 구하기 위하여 긴 줄을 서야 하는 문제고 있습니다. 즉 여행에 투자해야 하는 시간과 비용을 고려하였을 때 비용효과적이지 못한 경우도 많다는 것입니다.


굳이 인솔자를 따돌리지 않아도 주어진 자유 시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저자가 말하는 경이와의 조우하는 망외의 소득을 기대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자동운동장치 위에서 뛰는 것과는 달리 오솔길을 걷는 것이 반드시 모색과 발견의 길이 될 가능성은 높겠지만, 반드시 그런 결과를 얻는 것도 아닐 수 있습니다.


저자는 미국의 철학자 조지 산티아니의 수필집 <여행철학>의 한 대목을 인용하였습니다. “현명한 여행자는 자신의 도시로 돌아와 그 이름을 높이 찬양하게 될 것이다.(194)” 혼자 걷는 여행이건 여행사의 단체관광여행이건 간에 여행에서 돌아온 현명한 이라면 자신의 이름을 드높일 무언가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걸으면 해결된다>를 읽은 것이 이번에 다녀온 스위스 여행기를 정리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합니다. 또한 말미에 정리해놓은 참고문헌을 따로 챙겨서 읽어볼 계획을 세웠습니다. 읽어본 책도 적지 않아보입니다만, 아직 읽어보지 못한 책들도 적지 않은 듯합니다.


이 책과 함께 읽은 데이비드 빈센트의 <낭만적 은둔의 역사> 역시 스위스 여행길에서 좋은 동반자가 되었습니다. 역시 여행길은 책과 함께하는 것이 좋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