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 세트 - 전3권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지음, 김연경 옮김 / 민음사 / 201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전독서회에서 11월에 읽기로 한 도스토예프스키의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을 미리 읽었습니다. 412편이나 되는 방대한 이야기를 1653쪽에 이르는 3책에 나누어 담았습니다. 오랫동안 읽지 못하던 책을 고전독서회 덕분에 읽게 된 셈입니다. 이야기는 기승전결의 구성에 따라서 4부로 구성된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4책으로 나누었더라면 좋지 않았을까 생각했습니다.


1부에서는 이기적이고 탐욕스러운 중년의 지주 표도르 파블로비치 카라마조프의 가족들을 소개합니다. 두 명의 아내 사이에서 드미트리미챠, 이반, 알렉세이 등 세 아들을 얻었지만 아들이 장성하는 동안 제대로 돌봐주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표도르의 비사교적인 성품은 하인 그리고리 바실리예비치와 그의 아내 마르파 이그나치예브나 두 사람과 파벨 표도르비치 스메르자코프를 하인 겸 요리사로 함께 지내고 있지만 별채에서 지내도록 하는 것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스메르자코프는 마을의 떠돌이 백치여인 리자베타 스메르쟈쉬야의 아들로 표도르의 사생아인 것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아들들보다 오히려 사생아를 곁에 두고 신임하는 형국입니다. 두 아내도 일찍 세상을 떠나고 홀로 사는 표도르는 과거 삼소노프의 정부이자 사업가인 그루센카를 두고 큰 아들 드미트리미챠와 삼각관계를 이룰 만큼 비정한 호색한이기도 합니다. 이런 성품이 결국 목숨을 잃는 결과를 낳기도 합니다.


그런가하면 드미트리미챠와 이반은 카체리나 이바노브나 베르호프체바라는 미모의 여성과 삼각관계를 이루기도 합니다. 부자들 사이에 두 여인까지 끼어서 복잡하게 엮이는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쉽지않습니다. 사생아를 포함하여 네 아들 가운데 수도사의 길을 걷다가 환속하는 알렉세이만이 유일하게 정상적인 모습입니다. 아마도 이들 사이에 얽힌 복잡한 관계를 정리하기 위한 역할을 부여한 것 같습니다.


작가는 모두에서 이 이야기의 구성을 설명합니다. 이 복잡한 이야기를 두 편의 소설로 구성되었다는 것입니다. 첫 번째 소설을 13년 전에 일어난 일을 다루고 있는데, 본편이라 할 두 번째 소설을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소설이라고까지 할 수도 없는 것이라고 합니다. 책을 읽다보면 첫 번째 소설이 없었더라면 두 번째 소설의 내용을 이해하는 것이 불가능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복잡하게 구성된 가족들, 특히 부자지간의 갈등이 결국 존속살인을 낳는 과정을 보면 19세기의 러시아 사회의 모습이 즉물적이고 충동적이기도 한 오늘날의 우리사회와 닮았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반면 드미트리미챠를 부친살해의 범인으로 몰아가는 법집행 구조는 미숙하기만 합니다. 드미트리미챠를 기호한 검찰은 사망한 표도르의 사체에 남은 상처를 엄밀하게 검증하였더라면 드미트리미챠의 혐의를 의심하기에 충분하였을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변 인물들의 의식적인 혹은 분명치 않은 상황진술을 토대로 혐의를 입증하려 하였고, 재판부 역시 이를 인용하여 드미트리미챠를 범인으로 단정하고 말았습니다. 또 다른 유력한 용의자인 스메르자코프가 자살한 만큼 사건을 재구성하는데 어려움이 있었기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이야기의 배경과 사건 전후의 상황은 미주알고주알 설명되어 있지만 기승전결의 마지막 단계는 깔끔하게 정리되지 못한 느낌입니다. 본편의 이야기가 전개되는 과정에서 우연히 불거진 지엽적인 사건에 등장하는 소년 일류샤의 장례식이 대단원의 마지막 장면으로 삼은 이유는 그저 불화를 빚던 아이들이 화해과정을 거쳐 소년의 죽음을 애도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미래를 지향한다는 설정으로 보입니다만 부당하게 살인의 누명을 쓴 당사자와 오심에 영향을 미친 인물들의 뒷이야기는 뒤편으로 밀려난 느낌이 들었습니다. 알렉세이를 중심으로 스승인 조시마 장로의 죽음에 관한 이야기나 마지막부분에서 죽음을 맞는 일류샤와 아이들의 갈등을 시시콜콜하게 적은 것은 사족에 가깝지 않을까 싶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