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친절한 죽음을 원한다 - 삶의 완성으로서의 좋은 죽음을 말하는 죽음학 수업
박중철 지음 / 홍익출판미디어그룹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래 전에는 전공 탓에 주검과 관련된 일을 했습니다. 그때부터 죽음을 이해하고 좋은 죽음을 맞는 방법을 찾기 시작했습니다.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죽음을 이야기는 것을 기피하여왔습니다. 어쩌면 누구든 피할 수 없는 죽음이지만, 생각하지 않는 것으로 피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 것 같습니다.


근래들어 죽음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를 두고 좋은 생각들이 많이 나오는 것 같습니다. <나는 친절한 죽음을 원한다>는 죽음에 관한 좋은 책입니다. 가정의학과를 전공하고 병원에서 호스피스를 담당하고 있는 저자는 특히 환자가 편안한 죽음을 맞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호스피스는 우리나라에서 이제 겨우 걸음마를 뗀 단계에 머물고 있습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하여 한국 사회의 비참한 죽음의 현실을 냉정하게 드러내고, 좋은 죽음이 삶의 궁극적 목표가 되어야 하는지를 설명하고자 했다고 말합니다. 제가 수련의 과정을 밟을 때만해도 병원에 왔던 환자도 임종에 이르면 퇴원하기를 희망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전통적으로 객사는 피해야 한다고들 했기 때문입니다. 그런 환자들이 퇴원할 때는 수련의가 인공호흡 주머니를 쥐어짜며 집에까지 환자를 모시고 가야 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임종에 가까워진 환자들이 병원에 입원을 합니다. 연명치료에 매달리려는 환자도 있고, 병원에서 죽음을 맞아야 병원의 영안실에서 장례를 치를 수가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병원에 입원하게 되면 대부분의 의료진들은 끝까지 환자의 생명을 연장하려 애를 씁니다. 갑자기 심정지라도 오면 심폐소생술을 시행하고 수액줄이나 감시 장치들을 주렁주렁 매달고 연명을 하다가 죽음에 이르러서야이것들을 제거합니다.


의료진들이 환자의 생명을 연장하는데 주력하는 이유는 최선을 다해달라는 보호자들의 요청에 따르는 경우고 있고, 혹여 치료를 태만히 하여 의료사고라고 문제제기를 하는 보호자들이 없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최선을 다했으나 어쩔 수 없었다는 변명 같은 설명으로 한 사람의 죽음을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모두 7장으로 구성된 이 책에서는 우리나라 의료계가 환자의 죽음을 바라보는 시각이나, 국민들의 죽음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해왔는지를 상세하게 추적하였습니다. 또한 의사조력자살을 비록하여 안락사와 존엄사 등의 개념과 세계적인 현황도 소개합니다. 특히 의료계에서 임종에 가까운 환자에게 연명치료를 유지하도록 만든 보라매사건의 전말로부터 연명치료를 중단할 수 있게 된 김할머니 사건의 개요도 충분히 설명합니다.


이어서 자연스러운 죽음의 형태를 설명합니다. 필자 역시 환자를 인위적으로 죽음에 이르도록 하는 적극적인 안락사는 반대하는 입장입니다만, 연명치료를 중단하고 자연스럽게 죽음에 이르도록 하는 소극적 안락사는 찬성하는 입장입니다. 나이가 들면 기력이 쇠하게 되고, 먹지 못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죽음에 이르게 됩니다. 집에서 가족들이 모인 가운데 죽음을 맞는 것이 자연스러울 터인데, 사회적 요인에 의하여 집에서 죽음을 맞고 장례를 치르는 것이 어려운 상황입니다. 그런 점에서 본다면 이 책에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습니다만, 최대한 집에서 독립적인 생활을 하다가 임종에 즈음하여 시설을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수도 있겠습니다.


저자는 모두가 편안한 죽음을 맞을 수 있도록 우리사회에서 변해야할 다섯 가지를 제안합니다. 첫째는 종합병원에 임종실을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하고, 둘째는 연명의료결정법에 규정된 물과 영양공급 의무조항을 삭제하며, 셋째는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적극적인 확대, 넷째는 간병 등 생애 말기 돌봄에 대한 사회적 대책 마련, 마지막으로 의과대학 교육과정과 병원 수련과정에서 죽음 교육을 의무화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죽음에 대하여 관심을 가진 분들이라며 읽어볼만한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