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뜨기 전이 가장 어둡다 - 폐허의 철학자 에밀 시오랑의 절망의 팡세
에밀 시오랑 지음, 김정숙 옮김 / 챕터하우스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에 읽은 여러 책에서 소개된 바 있어 에밀 시오랑의 책을 찾아 읽게 되었습니다. 폐허의 철학자라는 별칭으로 불리는 그는 절망을 겪고 있는 사람을 어설피 위로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오히려 절망을 절망 자체로 응시함으로써 절망을 넘어서려 하였다는 것입니다. <해뜨기 전이 가장 어둡다>의 첫 번째 글 서정적인 너무나 서정적인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죽음에 대한 끈질기고 두려운 생각을 의식 속에 두면 인간은 파멸한다. 죽음을 이야기하면서 자신 속의 무언가를 구해내지만, 그와 동시에 자신 속의 무언가를 잃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는데, “견딜 수 없는 상태와 인간을 괴롭히는 그 같은 집요한 생각들을 고백하는 것은 구원이 될 수 있다.(8)”이라고 하였습니다.


그래도 살고 있는 것은 끝없는 긴장을 객관화하면서 진정시켜주는 글쓰기 덕분이다. 창작은 죽음의 마수에서 우리를 일시적으로 구원한다.(14)”라는 글쓰기와 관련된 대목도 있습니다. 세상을 살아가면서 겪을 수 있는 우울, 고독, 슬픔, 죽음 등 온갖 부정적인 요소들을 천착하고 그 가운데서 긍정적인 의미를 찾아내려 노력한 것 같습니다.

삶을 고통스럽게 만드는 요인들을 겪을 때는 세상이 답이 없을 것 같지만, 시간이 지나고 보면 별거 아니더라는 생각이 들게 됩니다. 그저 이 또한 지나가리라라는 생각으로 고통을 견디다보면 다시 살아갈 힘을 얻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인간, 잠 못 이루는 동물은 불면으로 고통 받는 분에게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전체 동물 세계에서 잠을 이루지 못하면서도 잠을 자기 원하는 동물은 인간밖에 없다.(152)’라는 명제를 생각해보면 모든 동물은 신체의 요구에 따라 잠이 들 시간이 되면 잠을 자는데, 인간만이 잠을 자야 할 시간에 잠들지 않는 유일한 동물일 수도 있겠다 싶었습니다.


하지만 수면은 망각이라는 주장은 오히려 역설적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무래도 삶의 비극, 그 뒤엉킴과 집요한 생각들은 잠자는 동안에 잊히기 때문에 나온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과학적으로 수면은 기억을 완성하는 과정이기도 합니다. 깨어있을 때 경험한 것들은 잠을 자는 동안 기억으로 정리된다고 알려져 니다.


기독교에 관한 이야기도 놀랍기만 합니다. 기독교에서는 예수를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믿고 있습니다. 하지만 시오랑은 자신이 신의 아들이라고 알고 있었던 한 인간은 마지막 순간에 이르러서야 의심을 품게 되었다라고 말합니다. “예수 그리스도가 진실로 망설였던 적이 단 한 번 있었는데, 산 위에서가 아니라 십자가 위에서 였다. 나는 예수가 바로 그 때 이름 없는 인간의 운명을 부러워했을 것이며, 할 수만 있었다면 이 땅에서 가장 외진 구석에 숨어서 아무도 자신에게 희망을 걸지도 속죄를 요구하지도 않기를 바랐을 것이라고 확신한다라고 했습니다. 과연 기독교 쪽에서 보면 황당할 수 있는 이런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는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시오랑은 스스로에 대해서도 인색하였던 것 같습니다. ‘아무 것도 중요하지 않다에서는 내가 나 자신을 괴롭히든 고통스러워하든 혹은 뭔가를 생각하든 무슨 상관인가라고 시작합니다. 그리고 세상에서 나는 아무 것도 아니라고 굳게 믿지만, 또한 동시에 나의 존재만이 유일한 현실이라고 느낀다라고 하였습니다. 지금의 내가 있게 하기 위하여 누군가의 희생이 있었다는 사실을 받아들일 수가 없었다고도 했습니다. 그 이유는 나는 내 삶을 죽은 사람들의 묘지 위에 세우고 싶지 않다라고 하였습니다.


옮긴이는 죽음, 허무, 절망, 고독. 시오랑의 단상에서 늘 마주치는 이 단어들의 의미를 우리는 잘 알고 있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 희망, 미래와 같은 기분 좋은 환상 대신에, 고통, 번민, 우수와 같은 삶의 본질적인 문제들을 정면으로 마주하는 순간 차가운 전율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고 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