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의 방식 - 서로 기여하고 번영하는 삶에 관하여
베론다 L. 몽고메리 지음, 정서진 옮김 / 이상북스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올 봄에는 모처럼 새로 화분을 사들이고 기왕에 있던 화분들은 분갈이도 했습니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몇 개는 분갈이 뒤에 시들시들하더니 죽어버렸습니다. 잘되는 화분도 없지는 않습니다만 이렇게 소멸한 화분이 몇 개가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안타까운 마음에 <식물의 방식>이 눈에 띄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미시간 주립대학에서 분자생물학과 분자유전학을 전공하는 베론다 몽고메리교수는 어렸을 적부터 식물에 관심이 많았다고 합니다. 성장환경이 식물학에 매료될만한 것은 아니었지만 어머니께서 식물을 키우는데 탁월한 재능이 있었다고 합니다. 저의 어머님 역시 화분에 돌보는데 일가견이 있어서 시들시들하던 화분을 보내드리면 금세 쌩쌩하게 활기를 회복하곤 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식물에 관한 것들은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에 이르는 동안 배운 것이 전부일 정도입니다. 하지만 학문의 발전은 식물학 분야에서도 괄목할만해서 새로운 사실들이 많이 발견되었다는 것입니다. 저자는 식물을 연구하면서 배운 것들을 세상에 알리기 위하여 이 책을 썼다고 합니다. 예를 들면, ‘식물의 개별적이고 집단적인 전략과 행동이 어떻게 적응에 능숙하면서 생산적인 삶으로 이어지는지, 그리고 우리가 어떻게 식물에게 배울 수 있을지를 전하고자 했다는 것입니다. 결국 식물에 대한 이해와 교감을 통해 우리는 인간으로서 우리 자신과 우리 주변의 다른 생물을 더 잘 지탱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쉽게 말하면 이 책을 통하여 식물에 대한 인식을 높이되 잠재적 편견을 완화하고, 식물의 지혜와 식물이 우리에게 가르쳐 줄 수 있는 것을 소개하려 했다는 것입니다. 서론에서는 식물이 살아남아 번성하는 방식을 소개하고, 이어서 본문에서는 이 방식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환경에 맞추어 스스로를 조절하고, 경쟁과 협력을 적절하게 유지함으로서 번성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그저 주의를 조금 기울이면 된다는 것입니다.


책을 읽다보면 식물이 일종의 기억력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는 이야기가 나와 놀랐습니다. 기억력은 신경세포를 가지고 있는 동물의 특징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는 후성유전학적 변화에 영향을 받는다고 설명합니다. 유전자, 후성유전학은 DNA의 염기서열이 변화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기전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변화가 일어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기전이 유전자에 새겨져 후대로 이어질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어찌되었거나 식물에서의 기억력을 후성유전학으로 설명한다고 한다는 것은 동물에서의 기억과 다른 기전으로 일어나는 현상이라 할 것이므로 기억이라는 용어보다는 다른 용어를 채택하는 것이 옳을 것 같습니다.


운동성이라고는 전혀 없을 것 같은 식물도 일정부분 움직일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부로부터의 위험이 닥쳤을 때 동물처럼 싸우거나 피해 달아날 수는 없기 때문에 식물은 동물에 의한 손상이나 외부 식물의 침입에서부터 홍수와 화재 방사선 등 독성 물질로 인한 손상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위험에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저자는 식물이 감각을 통해 주변 환경을 감지하고 위험 상황을 판단하면서 그때그때 상황에 맞게 의사결정을 내려 각기 다르게 생장하는 방식으로 행동한다는 것을 이야기합니다. 자신만의 방식으로 행동할 뿐만 아니라 주변식물은 물론 다른 유기체들과 소통하면서 환경을 변화시키기까지 한다는 것입니다. 식물들이 생존하기 위하여 서로 소통하고 협력하는 것처럼 우리 인간도 소통과 협력을 바탕으로 개인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결론에 이르는 것입니다.


좋은 선택과 올바른 결정을 내리는 우리의 능력과 의지는 유전자에 새겨져 있지 않다. 그것은 학습된 기술이고, 식물은 훌륭한 선생이 될 수 있다라는 대목은 기억해둘만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