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체를 보는 식물학자 - 식물의 사계에 새겨진 살인의 마지막 순간
마크 스펜서 지음, 김성훈 옮김 / 더퀘스트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변사사건, 특히 범죄의 희생물인 사체를 두고 사건을 재구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힘을 합쳐 일하고 있습니다. 저 역시 지방에서 근무할 적에는 변사체를 부검하여 범행현장을 재구성하는 일을 한 적이 있습니다. 그 당시에는 죽은 이는 자신의 죽음을 암시하는 흔적을 반드시 남긴다고 믿었기 때문에 그 흔적을 찾아내기 위하여 애를 썼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그 흔적들을 토대로 죽음의 순간을 재구성하고 범인을 특정함으로써 수사에 도움을 주는 그런 사건들이 여럿 있었습니다.


<시체를 보는 식물학자>는 식물학을 전공하는 저자가 자신의 전공분야인 식물학을 토대로 하여 살인의 마지막 순간을 증거하는 작업을 소개합니다. 수사관들과 함께 사건 현장으로 출동하여 증거물을 채취하기 위하여 많은 시간을 보내야 하는 어려움도 있다고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고 있는 일에 대한 자부심이 곳곳에서 느껴집니다.


저자는 런던 자연사박물관에 있는 식물표본실의 학예사입니다. 어느 날 걸려온 한 통의 전화가 저자의 일상을 바꾸어 놓았다고 합니다. 심하게 부패된 남성의 시체가 강가에서 발견되었는데, 식물들에 덮인 사체가 그곳에 얼마나 오래 있었는지 확인해줄 수 있겠느냐는 것입니다. 저도 익사로 추정되는 사체를 부검한 적이 있습니다만, 익사 후 시간이 많이 경과하지 않은 상태였음에도 불구하고 부패가 시작된 사체로부터 나오는 냄새가 오랫동안 몸에 배어있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자연에 방치된 사체는 동물을 물론 식물 그리고 미생물까지 간여하여 훼손이 되기 마련입니다. 따라서 사인은 물론 사망 시각을 추정하기 위해서 다양한 분야의 전문적 지식이 동원되어야 합니다. 실제로 미국의 테너시에는 사체를 다양한 조건으로 자연에 방치하여 사체에 일어나는 변화를 시간대별로 관찰한다고 합니다. 법의학 분야의 전문적인 자료를 얻기 위하여 사후 신체를 기증하신 분들의 뜻에 따른 것이라고 합니다.


한때 법의부검을 해보았던 터라 <시체를 보는 식물학자>가 관심을 끌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어쩌면 이 책을 계기로 하여 우리나라에서도 법의 식물학에 관심을 가지는 분들이 생겨나게 될 지도 모르겠습니다. 법의 식물학이 자리를 잡으려면 우리나라 자연에 존재하는 토종 식물은 물론 도래종 식물에 관한 많은 사실들이 체계적으로 수집되어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그런 자료들이 법의학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가 있어야 할 것입니다. <시체를 보는 식물학자>에 나오는 다양한 사례들에 등장하는 식물들은 대부분 영국의 자생종이거나 도래종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도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시체를 보는 식물학자>를 읽다보면 사체가 발견된 장소에 있는 식물들과 사체와의 관계를 보면 사체가 그 장소에 위치한 시간을 가늠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사체가 발견된 장소의 식생들을 고려한다면 범인이 그 장소에 있었다는 것을 입증할 수도 있다고 하는데, 예를 들면 그 장소에만 있는 나무의 잎이라거나 꽃가루, 심지어는 미생물에 이르기까지 완벽하게 털어낼 수는 없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저자가 인용한 사건들 가운데는 아직도 미해결인 사건들이 있어서 사건에 관한 자세한 내용을 담아낼 수는 없었다고 합니다. 저자는 법의식물학자로서 자신이 자문을 한 사건에 관한 이야기뿐 아니라 자신이 식물학을 전공하게 된 계기도 적고 있습니다. 어렸을 적부터 식물에 관심을 두었다고 합니다. 굳이 적었어야 하나 싶습니다만, 자신이 동성애자라는 사실도 감추지 않습니다. 그런 점에서 본다면 이 분의 일에 대한 신뢰가 생기는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