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달콤 쌉싸름한 초콜릿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08
라우라 에스키벨 지음, 권미선 옮김 / 민음사 / 2004년 10월
평점 :
멕시코 작가 라우라 에스키벨의 <달콤 쌉싸름한 초콜릿>은 김탁환 작가의 <읽어가겠다>에서 이어진 책읽기였습니다. 김탁환 작가는 이 소설의 소제목은 일월부터 십이월까지 열두달에 어울리는 요리들이 소개된다고 했습니다. 식욕과 성욕은 통하는 바가 있지요. 주인공 티타가 조리한 음식을 먹은 사람들이 성욕이 발동해서 걷잡을 수 없는 혼란을 초래하기도 합니다. 그래서인지 표지 뒤에 숨겨진 부제를 ‘식탁과 침대로의 단 한 번의 초대’라고 적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소제목에는 요리가 아닌 것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6월에 만든 전통성냥입니다. 당연히 성냥은 요리가 아닙니다만, 이야기의 마지막에서 주인공이 먹고 온몸을 불태워 사랑하는 이를 따라가는데 사용한다는 점에서 본다면 또다른 의미의 먹을거리라고 할 수도 있겠습니다.
김탁환 작가와 다르게 읽은 부분은 데 라 가르사 가문에 전통으로 전해온다는 막내딸은 결혼을 하지 않고 어머니가 죽을 때까지 보살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 전통이 마치 멕시코의 전통인 것처럼 소개하였는데, 모든 멕시코 가정의 전통이었는지는 분명치 않습니다.
이야기의 주인공은 데 라 가르사 가문의 막내딸 티타입니다. 그런데 티타는 페드로라는 청년과 사랑에 빠지게 되었습니다. 티타의 어머니 마마 엘레나는 청혼하러온 페드로에게 티타 대신 둘째 언니 로사우라와 결혼하라고 요구합니다. 페드로는 티타의 곁에 머물러 있으려고 이 제안을 받아들입니다. 두 사람의 비극적인 사랑은 어떻게 되었을까요?
두 사람의 암묵적인 약속은 지켜졌을까요? 결국 마마의 고집으로 두 사람은 떨어져 살아야 했고, 티타는 집에서 쫓겨나게 되었습니다. 그런 티타를 구원해준 사람은 상처를 하고 혼자된 의사 존입니다. 존의 지극한 사랑으로 페드로와의 관계에서 상처를 티타는 마음을 추스릴 수 있게 되고, 존의 청혼을 받아들이게 됩니다. 티타는 존과 결혼하여 행복하게 살 수도 있었을 것 같습니다만, 작가는 물 흐르듯 두지 않았습니다. 약혼자 존이 이모를 모시러 간 사이에 티타를 범한 것입니다. 그리고는 존으로 마음이 기운 티타를 비난하는 지경에 이릅니다. 새로운 사랑을 발견한 티타를 축복해주는 것이 옳지 않을까 싶었습니다.
페드로와의 예기치 못한 관계가 생기면서 티타는 존에게 파혼을 선언하게 됩니다. 티타와 페드로의 사랑은 페드로가 잘못된 결혼을 선택하면서 어긋났다고 해야 할 것인데도 어긋난 사랑을 굳이 이어 이어 붙이려다보니 세상에서 볼 수 없는 정황을 만들어내야 했는지도 모릅니다. 마마 엘레나가 죽은 뒤에도 유령처럼 등장해서 티타와 페드로 사이를 감시한다거나, 이야기의 마지막에 성냥을 먹고서는 불을 붙여 인신공양을 하는 장면과 같은 것입니다.
김탁환 작가는 낄낄 웃으면서 이 책을 통독했다고 합니다만, 저는 불편한 심경 가운데에서도 전통 멕시코 요리를 일상에 잘 녹여낸 작가의 역량에 놀랐습니다. 요리법이 이야기 속에 뒤섞여서 정리가 잘 되지 않기도 했습니다.
책을 열면 1월의 요리로 나오는 크리스마스 파이를 만드는 법이 소개됩니다. “양파는 아주 곱게 다진다. 양파를 다지면서 눈물을 흘리고 싶지 않다면 자그마한 양파 조각을 머리 위에 얹는다.(11쪽)”라고 시작하는데, 1월에는 티타가 눈물을 흘릴 일이 많았습니다. 눈물에 관심이 많은 저로서도 흥미로운 달이 아닐 수 없었습니다. 매달 소개되는 요리 제목은 계절과는 전혀 무관한 것 같습니다. 이야기의 전개상 필요해서 만드는 요리라는 생각이었습니다.
이 작품의 시대적 배경은 오랜 식민지 시대에서 벗어나려는 멕시코 혁명의 시기라서 세상은 뒤숭숭한 가운데 가문의 전통을 지키려는 마마 엘레나의 뚝심도 어쩔 수 없는 것 같습니다. 큰 딸은 혁명군의 장군이 되었고, 막내 딸은 마마의 방침을 정면으로 거부하는 상황인 것입니다. 변하는 세상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도 있었지만, 오랫동안 감추어두었던 마마의 비밀을 알고보면 이해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