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극론 범우문고 328
칼 야스퍼스 지음, 황문수 옮김 / 범우사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비극은 카타르시스를 일으켜 마음의 응어리를 풀어내는 효과가 있습니다. 사람들이 슬픈 이야기에 빠지는 이유도 다양할 것입니다. <비극론>은 칼 야스퍼스가 비극을 어떻게 평가하는지 배우는 책읽기였습니다.


실존철학의 기초를 닦은 야스퍼스가 비극을 통하여 인간의 참모습을 밝히려 한 것은 실존철학의 정수라고 옮긴이는 평가했습니다. 야스퍼스는 서문에서 진리의 근저(根底)를 통찰하려는 것은 인간의 본성에 속하는 일이다(11)”라고 하였습니다. 또한 인간에게는 형상, 행위, 역사 등의 형태로 진리를 전달하는 근원적, 정신적 직관이 간직되어 있다고 하였습니다. 철학적 사색은 이러한 직관 자체를 타자로 이해하면서도 자극하고 고양(高揚)시키는 등 직관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고도 하였습니다. 직관은 근원적으로는 포괄적인 전체이며 인간의 생활을 형성하고 충족시키는 분리할 수 없는 일자(一者)라고 했습니다.


직관이 발전하는 과정에서 종교,예술,문학이 갈라진다고 보았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자는 일관되어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종교는 자체의 제한점으로 철학적 사유의 목표가 되는 인간은 무엇인가 하는 근본적인 물음을 논하기 어렵다고 할 것입니다. 조형예술 역시 초월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것인 만큼 형이상학적인 것의 계기가 되지 않는다 할 것이라고도 하였습니다.


진리가 언어를 통하여 존재하는 것인 만큼 언어를 요소로 하는 문학이야말로 가장 자연스럽고 가장 자명한 방식으로 세계 공간과 우리들의 본성의 모든 내용을 파악하는 도구라고 하였습니다. 야스퍼스는 <비극론>에서 비극적인 것구제를 연결하였습니다. 먼저 호머 등 서양으로부터 중국에 이르는 모든 민족의 영웅전설로 시작하여 아이스킬로스, 소포클레스, 에우리피데스 등의 그리스 비극, 셰익스피어, 칼레론, 라시누 등의 근대 비극, 레싱과 실러 등의 독일 비극을 거쳐 키에르케고르, 도스토예프스키, 니체 등에 이르는 비극적 지식을 살펴보았습니다.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서 기쁨에 대한 부분을 인용한 야스퍼스는 비극은 이보다 더 많은 것을 요구한다. 곧 영혼의 카타르시스(淨化)라고 말합니다. 아리스토텔레스도 분명하게 설명하지는 못했지만 카타르시스는 인간의 자기 존재(存在)에 접하는 사건이라고 했습니다.


앞서 종교는 자체적인 제한점이 있다고 하였는데, 그 제한점을 이렇게 설명합니다. “그리스도교적 구원은 비극적 지식에 대립된다. 독자적인 구원 가능성이 벗어날 길 없는 비극성을 소멸시킨다(32).” 그리스도교적인 비극은 존재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비극적인 것의 근본적인 성격을 보면, 존재는 좌절속에서 드러난다고 합니다. 그런데 존재가 좌절 속에서 상실하는 것이 아니라 완전하고 결정적으로 감지된다는 것입니다. 초월 없는 비극은 없다는 것입니다. 문학작품에 나타나는 비극적인 것의 의미는 결코 한 가지 공식으로 나타낼 수는 없다고 했습니다.


비극적인 것에 대한 지식은 구원에 대한 충동과 결합되어 있어 인간은 현존재로서는 소멸하면서 자기 존재의 행위 가운데에서 구원적 해방을 발견한다고 했습니다. 이러한 해방은 첫째, 무지, 순수한 인내력, 확고부동한 의기로써 감내해 가는 힘으로부터 생기며, 둘째 비극적인 것을 비극적인 것으로 직시하는데에서 생기며 이때 비극적인 것은 스스로를 해명함으로써 정화작용을 하고, 셋째, 비극적인 것이 이미 직관 앞에 나타나 있을 때에는 해방은 비극적인 것의 직관에 앞서서 달성된다고 했습니다.


특히 오이디푸스와 안티고네를 인용하여 그들의 비극적 숙명을 설명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오이디푸스에게 지워진 운명이 이해되지 않았습니다만, 오이디푸스의 좌절은 알 수 없는 운명의 참모습을 알고 끝없는 초월의 길을 더듬은 끝에 해탈의 경지에 이를 수 있었다고 해석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