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가 사랑하는 쓰고도 단 술, 소주 ㅣ 소소 1
남원상 지음 / 서해문집 / 2021년 10월
평점 :
갑자가 한 바퀴 도는 세월을 술과 함께 보냈지 싶습니다. 그야말로 다양한 술을 마셨지만 역시 가장 많이 마신 술은 소주일 듯합니다. 제 나이쯤인 분들은 대체로 막걸리를 처음 마셔보게 될 듯합니다. 저도 그랬던 것 같구요. 소주는 대학에 들어와서 처음 마셔보았던 것 같습니다. 막걸리나 약주보다 훨씬 늦게 마시기 시작했지만 어느새 주로 마시는 술이 되고 말았습니다.
대상이 무엇이든 간에 역사를 챙겨보는 편입니다. 그런데 소주의 역사를 자세히 정리한 책은 처음 만났습니다. 언론인을 거쳐 지금은 홍보관련 일을 하시는 남원상 소장님은 집에서 주류도매업을 하는 인연이 있었다고 합니다. 저 역시 비슷한 가정환경에서 자랐습니다. 막걸리와 약주를 만드는 양조장 사택에서 살기도 했습니다. 막걸리와 약주는 도수가 약해서 비교적 일찍 마실 수 있었지만, 아무래도 소주는 독하고 쓰기까지 해서 가까이 하기엔 먼 당신이었습니다. 당시만 해도 요즘과는 비교도 되지 않는 30도까지 소주가 유통되던 시절입니다.
<우리가 사랑하는 쓰고도 단 술 소주>에서는 소주의 기원으로부터 우리나라에 전해진 시기를 비롯하여 소주에 얽힌 선조들의 다양한 사건사고들을 다루었고, 근대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소주와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들을 들춰냈습니다.
소주 역시 중동에서 기원했다고 합니다. 8-9세기 아랍의 연금술사 자비르 이븐 하이얀이 고도의 증류장치를 개발하면서 와인을 증류하여 만든 포도소주를 약으로 사용하였던 것입니다. 아랍에서 개발된 포도소주의 이름은 땀이라는 의미를 가진 아라크(araq)라고 불렀습니다. 이 증류기술은 세계각지로 전해지면서 원료에 따라서 소주, 고량주, 보드카, 위스키, 브랜디, 럼과 같은 증류주들이 탄생했습니다.
우리나라의 소주는 포도소주의 증류기술을 전해받은 원나라에서 말젖으로 만든 아르히(arcki) 제조기술이 전해진 것이라고 합니다. <지봉유설>에는 “소주는 원나라 때 생긴 술인데, 이것은 오직 약으로만 쓰고 함부로 마시지는 않았다”라고 기록되어있다고 합니다. 몽고군이 주둔하던 개성, 안동, 제주 등지에서 전통 소주가 만들어졌고, 개성지방에서는 소주를 ‘아락주’라고 했다는 것입니다.
지금은 서민의 애환을 달래는 술이지만 과거에는 부자나 권세가들이나 즐길 수 있었던 것입니다. 일제의 침탈이 시작되면서 일본인이 들어와 소주를 만들기 시작하면서 서민들이 즐기던 막걸리 약주 등 가양주에 막대한 세금을 물리기 시작했습니다. 결국 집에서 술을 담가마시기 보다는 소주를 사마시는 것이 쉽게 만들었습니다. 소주는 원래 ‘燒酒’라고 적던 것을 燒酎로 적게 되었던 것입니다.
소주는 원래 쌀이나 잡곡 등 곡물을 쪄서 누룩과 혼합하여 발효시킨 뒤에 소줏고리에서 증류하여 제조하는데, 3공화국 출범 직후에 쌀 생산이 줄어들면서 곡물을 소주의 원료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였습니다. 사탕수수의 찌꺼기인 당밀로 주정을 만들다가 그것마저도 고구마로 대체하여 만든 주정을 희석하여 소주를 만들도록 하였습니다.
저도 그 과정을 기억합니다. 주정회사로부터 배정받은 주정을 희석하여 제조한 소주가 드럼통에 담겨서 배달되어 오면 1되짜리 유리병에 나누어 담고 세무서에서 찍어온 인지를 붙여서 출고하는 방식이었습니다. 과거에는 지역별로 소주제조업체가 난립하여 있었습니다. 제가 살던 군산에서는 임옥소주를 주로 마셨는데, 70년대 들어 시도별로 통폐합되면서 보배소주에 흡수되었습니다. 시도별로 팔리는 소주 이름은 진로(서울,경기), 보해(광주,전남), 금복주(대구,경북), 무학(경남), 대선(부산), 보배(전북), 경월(강원), 선양(대전,충남), 한일(제주), 충북(충북), 삼원(광주전남) 등이었습니다. 대부분은 마셔본 듯합니다만, 지방에서 팔리는 상표보다는 전국적으로 팔리는 진로를 선호했던 것 같습니다. 세상이 다시 바뀌어 소주시장은 진로와 처음처럼으로 양분되어 있습니다만, 취향도 세월 따라 바뀌는 것 같습니다. 내역을 알고 마시는 것이 좋을 듯하여 읽은 책읽이였습니다만, 흥미로운 점이 많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