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듦과 죽음에 대하여 - 몽테뉴 수상록 선집
미셸 에켐 드 몽테뉴 지음, 고봉만 옮김 / 책세상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학평론가이자 프루스트 전문가인 앙투앙 콩파뉴의 <인생의 맛>을 읽고서 미셀 드 몽테뉴의 <수상록>을 읽었습니다. <인생의 맛><수상록>에서 고른 40개의 주제에 대한 역사성과 현대에서도 통하는 바를 재해석한 내용입니다. <수상록>의 곳곳에서 의사에 대한 불신을 읽을 수 있다는 콩파뉴의 귀띔으로 <수상록>을 읽기로 했습니다. 처음에는 사무실에서 시간이 날 때마다 읽을 요량을 하였던 것이 완독하는데 까지 몇 년이 걸렸습니다.


<수상록>에는 제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죽음에 대한 이야기가 많습니다. 당시 유럽을 휩쓴 페스트와 전쟁으로 속절없이 죽어가는 사람들을 지켜보아야 했기 때문인 듯합니다. 그래서 죽음이란 임의로 연습해서 준비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평범한 백성들의 무심함이야말로 참된 지혜를 이루며 기꺼이 독배를 받아든 소크라테스의 무심함만큼이나 고귀하다고 깨달았던 것 같다라고 적을 수 있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수상록><인생의 맛>과 같은 수많은 2차 저작물을 낳았다고 합니다. 불어불문학을 전공하신 고봉만교수의 <나이 듦과 죽음에 대하여>도 그런 책이라고 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수상록>에서 나이 듦죽음에 관한 글을 뽑아 엮은 책이니 엄밀하게 말하면 2차 저작물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우아하게 늙어가기품위 있는 죽음이 저의 관심사이니만큼 <나이 듦과 죽음에 대하여>을 읽고서 뭔가 손에 잡힐 듯한 느낌이 들어왔습니다. 고봉만교수님은 불문학을 전공하신 만큼 <수상록>의 원본에서 가려 뽑은 대목을 직접 번역하셨지만, 불어를 배우지 않은 저는 이미 번역된 <수상록>에서 가려 뽑을 글들에 대한 저의 생각을 정리해보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물론 몽테뉴의 사유의 깊이와는 비교가 되지 않겠지만, 시대와 문화적 배경이 다른 시각에서 생각해볼 여지는 있지 싶습니다. 특히 몽테뉴가 소장한 자료를 통하여 고대 그리스 혹은 로마 시대에 살았던 사람들의 금언을 인용하고 있는 점도 좋은 자료가 될 수 있겠다 싶습니다.


저자는 1나이 드는 것은 죄도 벼슬도 아니다에서 나이 듦과 관련된 7가지 주제에 해당하는 글들을, 그리고 2죽음의 철학에서 삶의 철학으로에서는 죽음과 관련된 2가지 주제에 해당하는 글들을 뽑았습니다. 3부에서는 <수상록>26장에 실려 있는 훈련에 대하여32장에 실려 있는 후회에 대하여를 담았습니다. 이어지는 해설-몽테뉴, 죽음에서 삶으로에서는 몽테뉴가 <수상록>에서 다룬 노화와 죽음에 대한 저자의 생각들을 정리했습니다.


예를 들면, “몽테뉴는 자연이 우리에게 죽음을 학습할 수단을 마련해주다고 말한다. 그것은 노화다. 청춘에서 노년으로, 그리고 죽음으로 이러지는 과정이 단절 없이 계속 진행되는 노화를 통해 우리는 서서히 죽음을 준비할 수 있는 것이다.(287)”라고 하였습니다. 그리고 죽음이 어디서 우리를 기다리는지 알 수 없으니, 어디서든 죽음을 기다리자. () 죽는 법을 알면 모든 예속과 속박에서 벗어난다(119)”라는 <수상록>의 대목을 인용합니다.


읽어가다 보면 이런 글이 나이 듦과 관련이 있을까 싶은 대목이 없지도 않습니다. 하지만 태어나서 살아가는 과정이 어찌 보면 나이 듦이라고 한다면 살아가는데 필요한 좋은 말씀이라고 생각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사실은 <수상록>에 적힌 모든 대목이 살아가는데 도움이 될 만한 내용이라고 생각해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