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색들
오르한 파묵 지음, 이난아 옮김 / 민음사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에 소개된 터키 작가 오르한 파묵의 작품의 전작읽기에 도전한 적이 있습니다. 전작 읽기를 마친 뒤에도 여러 책들이 나왔지만 바로 읽지 못했던 것을 요즈음 다시 시작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하고 있는 일이 있는 만큼 책읽기에 시간을 많이 낼 수 없기 때문입니다. 파묵은 전업 작가인 만큼 많은 글을 쓰고 있다고 합니다. 이 책에서 이야기하기를 하루 열 시간 이상 글을 쓰고 있다고 합니다. 책으로 발표된 원고를 기준으로 하면 하루에 0.75장을 썼다고 합니다. 아무리 글을 쓰는 직업이라고 해도 대단한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다른 색들>에는 파묵의 다양한 글쓰기와 생각들을 담았습니다. 출판사에서는 딸과 가족이 함께한 소소하고 아름다운 일상, 어린 시절을 장식한 낡고 소중한 추억들, 아침부터 저녁까지 작가의 삶을 지배하는 문학과 집필 같은 지극히 내밀한 이야기에서부터 터키 국내 인권의 현실, 정부 비판으로 인해 겪은 소송, 대지진을 통해 새롭게 깨달은 사회적 문제점, 유럽 내 터키의 현주소 등 자신을 둘러싼 세상을 향한 날카로운 시선, 나아가 파리 리뷰 인터뷰와 노벨 문학상 수상 소감 등 그의 작가 인생을 빛낸 순간들까지담겨있다고 정리하였습니다.


1부에서 9부까지로 나누어 놓은 글들은 살면서 겪는 근심과 걱정으로부터 책읽기에 관한 글, 정치 및 국제 정세에 관한 글, 중요한 부분으로 보입니다만 자신의 작품에 대한 이야기도 있습니다. 파묵의 소설을 보면 색깔과 관련된 제목이 적지 않습니다. 아마도 그런 이유로 이 책의 제목을 <다른 색들>로 정한 것 아닐까 싶습니다. 소설에 나오는 색들은 대체로 하양, 검정, 빨강 등 단색으로 표현되어 있지만, 그밖에 자신의 삶에는 여러 가지 색들이 섞여 있다는 의미가 아닐까 싶습니다.


나이가 들어가는 탓인지 지금까지 살아온 날들을 정리해보아야 할 것 같다는 생각에 일단 시작은 했습니다만, 기억도 가물거리는 탓에다가 요약하는 글쓰기에 익숙한 탓인지 지나치리만큼 건조한 느낌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파묵은 옛날이야기를 참 맛깔나게 적는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아마도 혼자만의 공간에서 글쓰기에 집중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표현을 찾아낼 여유가 있는 것 아닌가 싶습니다.


터키도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나라라는 사실을 2015년에 터키를 여행할 때는 몰랐습니다. <다른 색들>에는 지진에 대한 터키 사람들의 두려움을 잘 적었습니다. 아마도 지진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대책 마련에서부터 지진이 발생하였을 때 피해를 최소하기 위한 구호작업 등에 대한 정부의 준비가 부실한데서 기인하는 것 아닐까 싶습니다. <다른 색들>에 적은 지진은 1999년 이즈미트에서 발생한 지진은 만5천명이 사망하고 25천명이 부상을 당하는 엄청난 피해를 입혔다고 합니다. 피해 현장의 분위기를 마치 TV로 중계하듯 실감나게 적어 내려갔습니다.


터키는 오스만제국 시절의 황금기를 구가하면서 오스트리아의 빈을 포위한 적도 있습니다. 하지만 오스트리아-헝가리제국과 독일제국의 동맹국과 대영제국, 프랑스 그리고 러시아제국 등 협상국 사이에 벌어진 제1차 세계대전에서 동맹국 편에 섰다고 패전하면서 영토가 축소되는 등 국세가 기울고 말았습니다. 1차 세계대전은 신흥 제국들이 기존의 제국들과 힘겨루기 한 판으로 응축력이 쌓여가던 가운데 벌어진 것이지만, 내막을 들여다보면 게르만족과 슬라브족의 충돌이 부싯돌 역할을 한 셈입니다. 2차 세계대전에서는 막판까지 중립을 지키면서 연합국과 추축국 사이의 힘의 균형을 제다가 막판에 연합국에 가담하여 승전국이 되었습니다.


전후 터키의 사정은 그리 녹녹치는 않았던 모양입니다. 1980년까지 군사혁명이 일어나는 등 정치불안으로 침체에 빠져있다가 1980년대부터 경제성장이 시작되었습니다. 터키는 발칸반도의 끝에 영토의 한 자락을 걸치고 있습니다. 오스만제국 시절 발칸반도의 대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유럽의 일원이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만, 지금은 상황이 바뀌고 있기는 합니다. 유럽국가들에게 터키는 위협적인 존재였던 과거가 잊혀지지 않는 듯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터키 사람들은 유럽에 대한 관심은 여전한 듯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