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하의 소녀시대 지식여행자 1
요네하라 마리 지음, 이현진 옮김 / 마음산책 / 2006년 11월
평점 :
품절


꼬리를 무는 책읽기였습니다. 요네하라 마리의 <프라하의 소녀시대>는 얼마 전에 읽은 이희인의 <여행자의 독서 두 번째 이야기>에서 다룬 책입니다. 체코의 수도 프라하를 여행하면서 읽을 만한 책들은 적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자가 동유럽 여행길에서 이 책을 읽은 이유가 무엇이었는지는 가물거립니다.


<프라하의 소녀시대>는 일종의 추억여행입니다. 저는 옛 추억을 되살리는 정도에 머물고 있습니다만, 이 책의 작가는 잊고 지냈던 친구들을 찾아가는 적극적인 추억여행을 하고 그 결과를 정리했습니다. 작가는 열 살 때부터 열네 살 때까지 프라하에 있는 소비에트 학교를 다녔습니다. 프라하의 소비에트 학교는 소련 외교부가 직접 운영하였는데, 외국 공산당 간부들의 자녀들만 수학할 수 있었고, 50여국 출신의 학생들이 다녔다고 합니다.


작가는 프라하에 있던 각국 공산당의 이론 정보지인 <평화와 사회주의 제문제>에 일본 공산당을 대표하여 편집위원으로 참여하면서 가족들과 함께 프라하에 갔다고 합니다. 작가는 러시아어로 하는 수업을 듣게 되면 훗날 러시아어를 전공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아 소비에트 학교에 들어갔다고 합니다. 처음에는 수업을 따라가는 것이 힘들었지만, 결국 러시아어 동시통역가로 활동할 수 있는 토대를 닦은 셈입니다.


아버지가 <평화와 사회주의 제문제>의 근무를 마치고 귀국함에 따라 일본에 돌아온 뒤로는 소비에트의 친구들과 연락도 잦아들면서 종국에는 소식이 끊어졌던 모양입니다. 1980년대 후반 동유럽의 공산 정권들이 차례로 무너지고 1991년에는 소련이 해체되는 상황이 되면서 옛 친구들의 근황이 궁금해졌다고 합니다만, 그들의 행적을 찾아 나선다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은 아니었을 것 같습니다. <프라하의 소녀시대>에서는 소비에트 학교 시절 특히 친했던 그리스인 리차, 루마니아인 아냐, 유고슬라비아인 야스나를 찾아 나섰다고 합니다.


소비에트 학교에서 동무를 만나 친하게 지내던 기억으로부터 그 동무를 찾아가는 과정을 꼼꼼하게 기록하였습니다. 특히 유고슬라비아의 친구 야스나를 찾아 나선 시기는 1991년 시작하여 2001년에 종료된 유고내전이 한창일 때라서 위험했을 것 같습니다. 작가의 세 동무는 독특한 면이 있습니다. 책을 읽다보면 작가를 비롯한 네 명의 동무들이 함께 어울렸던 것 같지는 않습니다. 아무래도 학생들이 여러 나라에서 모이다보니 작은 무리를 이루기보다는 개별적으로 친소관계가 만들어졌던 모양입니다.


표지를 보면 이데올로기에 휩쓸린 소녀들을 통해 동유럽 현대사를 그렸다라고 요약했습니다만, 책을 읽다보면 십대 소녀들이 이데올로기에 매몰되어 살았던 것 같지는 않습니다. 특히 소비에트 학교를 다니면서도 소련의 압제에 저항하는 움직임이 조금씩 커져갔던 것은 아닌가 싶습니다. 예를 들면, 학교에서 <레닌의 발자취를 찾아서>라는 영화를 보여주었을 때, 그리스에서 온 리차는 마리, 레닌은 꽤나 잘 살았나봐?’라고 물었다고 합니다. 노동자 농민의 해방을 역설한 레닌이 평생 동안 노동을 해본 적이 없고, 지주로서 소작료를 받아 살았다는 사실도 작가는 최근에서야 알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연예인이 될 것 같던 리차는 의사가 되어 독일에서 개업을 하고 있고, 열혈 애국주의자였던 아냐는 영국으로 유학하여 영국의 귀족출신 남자와 결혼하였다고 합니다. 그리고 유고슬라비아 동무 야스나는 아버지 라이프 디즈다레비치가 내전이 한창이던 유고연방의 마지막 대통령을 맡고 있었던 것입니다. 야스나는 유고내전에서 많은 피해를 입은 보스니아 출신이었던 것입니다. 어수선하기만 했던 베오그라드까지 찾아가 야스나를 만났던 작가입니다만, 1999년 나토군이 베오그라드를 폭격한 뒤의 야스나 이야기는 더 이어지지 않은 것을 보면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은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추억을 소환하고, 그 추억이 담긴 장소와 사람들을 찾아가는 적극적인 추억여행을 참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이 책 어디에도 이데올로기의 냄새도 없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