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좋은 시체가 되고 싶어 - 유쾌하고 신랄한 여자 장의사의 시체 문화유산 탐방기 ㅣ 시체 시리즈
케이틀린 도티 지음, 임희근 옮김 / 반비 / 2020년 10월
평점 :
죽음에 관한 다양한 이야기들을 읽고 있습니다. 생기를 잃은 신체를 표현하는 여러 가지 단어가 있겠습니다만, 죽음의 산물이라는 점에서 주검이라는 우리말을 좋아하는 편입니다. 그럼에도 시체라는 단어를 넣어서 제목을 지었을까 싶기도 합니다.
<좋은 시체가 되고 싶어>는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장의사로 활동하고 있는 케이틀린 도티의 두 번째 책이라고 합니다. 어릴 적 백화점에 갔다가 어린아이기 추락해서 죽음을 맞는 사고를 목격하고는 죽음을 화두로 삼았다고 합니다. 대학에서는 중세사를 전공하면서 죽음에 관한 역사와 문화를 공부했다고 합니다. 대학을 졸업하고는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화장장에서 일하게 되었는데, 그때의 경험을 정리한 <잘 해봐야 시체가 되겠지만>을 썼다고 합니다. 미국의 장례문화가 개선이 필요하다는 생각에서 출발한 것이었습니다.
<좋은 시체가 되고 싶어>는 첫 번째 책의 후속으로 다른 문화권에서는 시체를 어떻게 다루는지를 살펴보았습니다. 미국에서도 다변화되는 장례문화를 소개하기 위하여 콜로라도의 크레스톤에서 하고 있는 야외화장, 노스캐롤라이나의 컬로위에서 하고 있는 인간 재구성 프로젝트, 캘리포니아주 조슈아트리에서 하고 있는 자연장을 비롯하여 인도네시아 남술라웨시 토라자에서의 마네네 의식, 멕시코 미초아칸의 망자의 날 축제, 스페인 바르셀로나의 알티마 장의사, 일본 도쿄에서의 고쓰아게부터 라스텔까지, 그리고 볼리비아 라파스에서의 냐티타 등, 다양한 지역을 방문하여 장례의식에 참여해본 경험을 소개합니다. 물론 세상은 넓기 때문에 여기 소개된 지역의 장례의식과는 또 다른 형태의 장례의식이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보면 우리나라에서도 불과 100년도 안 되는 사이에 장례문화가 확 달라졌습니다. 제가 처음 겪은 장례식은 지금으로부터 51년 전, 중학교 2학년 때 돌아가신 할머니의 장례식이었습니다. 살아오시던 집에서 임종을 맞았고, 장례까지 치렀습니다. 시골에서 3일장으로 치른 장례식 내내 안방에 모신 할머니의 주검 앞에 놓은 향로의 향불을 꺼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제가 맡은 임무였습니다. 마당에는 커다란 천막을 치고 찾아오시는 문상객을 대접했습니다. 장지는 집에서 불과 100미터도 떨어지지 않은 앞산이었습니다만, 발인하는 날에는 상여에 모시고 마을을 한 바퀴 돌아 사시던 동네와 작별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장례식이 끝나고도 1년 동안 매달 초하루와 보름에는 밥과 국을 올리는 삭망 차례를 지냈고, 1년 뒤에 탈상을 하였습니다. 삭망차례를 지내는 동안 부모님과 손자들은 같이 곡을 하면서 돌아가신 할머니를 기렸습니다.
고등학교를 졸업하던 해에 증조할머니께서 돌아가셨을 때도 장례는 같은 형식으로 치렀습니다. 하지만 20년 전에 선친께서 돌아가셨을 때는 장례식장에서 장례를 치렀고, 화장을 하여 화장터에 있는 납골당에 임시로 모셨습니다. 그리고 어머님께서 나서서 가족묘 형식의 납골당을 지어 모셨습니다. 어머님께서 돌아가셨을 때도 장례식장에서 상례를 치르고, 화장을 하여 가족묘인 납골당에 모셨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화장이 일상적인 것이 되었다는 것입니다. 3년상을 치렀고, 뼈대 있는 가문에서는 장손이 시묘살이까지 했던 조선시대의 장례문화와는 비교가 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지금 우리나라에서 하고 있는 용광로방식의 산업적인 화장은 1869년 이탈리아의 피렌체의 의사들이 매장이 비위생적이라고 주장하면서 시작된 것이라고 합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장례를 지낸 주검을 가매장하거나 집에 모셨다가 장례가 있는 날 유골을 닦아서 매장하는 본 장례식을 지낸다고 합니다. 종교나 장례 등과 같이 나름대로의 철학이 깃들어있는 분야에서는 어느 방식이 좋다거나 나쁘다고 할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작을 쌓은 위에 주검을 올려놓은 뒤에 화장하는 힌두교식 장례 절차를 다른 문명에서 따라하는 것은 힌두교도가 아니라면 적절치 않아 보입니다. 멕시코의 미초아칸에서 열리는 망자의 날 축제가 전통적인 것이 아니라 2016년에 개봉된 영화 <007 스펙터>의 영향으로 생긴 것이라 해서 놀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