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기서 끝나야 시작되는 여행인지 몰라
김현 외 28인 지음 / 알마 / 2020년 6월
평점 :
광복절을 기점으로 우한폐렴 확진자가 두 번째로 많아지는 상황을 맞아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되었습니다. 덕분에 동네 도서관이 문을 닫아 개천절이 지난 다음에서야 다시 문을 열었습니다. 다시 문을 연 동네 도서관은 꽤나 북적거려 책을 고르는 것도 쉽지는 않았습니다. 신간서적들 가운데 <여기서 끝나야 시작되는 여행인지 몰라>를 골라든 것은 제목이 주는 묘한 느낌 때문이었습니다. 여행 관련 서적인가? 우한폐렴사태로 국내외 여행이 어려운 상황인데, 어떤 여행에 초점을 맞춘 이야기일까 궁금했던 것입니다.
막상 책을 열어 읽으려다보니 헷갈리기 시작했습니다. 우선 구성은 달랐지만 앞 뒤 표지가 비슷해서 어느 쪽에서부터 읽어야 할지도 구분되지 않았습니다. 흔히 뒷표지나 책갈피에 정리해두는 책내용에 대한 소개도 없습니다. 뒤적이다 참여작가 목록을 발견했습니다. 29분이나 되었습니다. 그 가운데 직접 만나본 분은 신요조씨가 유일했고, 알만한 분으로는 장석주 시인이 유일했습니다. 그 분의 작품 가운데 읽어본 것이 있던가는 잘 모르겠습니다.
아마도 이 책을 기획하신 분 같습니다만 안지미님이 적은 ‘지금 우리가 사는 방법’이라는 제목의 시작하는 글을 보면, 금년 한해 우리네 일상은 우한폐렴 사태로 인하여 엄청난 변화가 있었던 것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무언가 하고 있다는 것을 느껴보려는 취지가 아니었나 싶습니다. 특히 ‘의지와 노력만으로 언제든지 누릴 수 있다고 믿었던 모든 것들이 송두리째 흔들리면서 불안과 우울, 무력감이 현실의 시간을 허공에 조각내버리는 듯 했다’라는 것입니다. 작가 주제 사마라구의 <눈먼 자들의 도시>에 나오는 ‘우리가 이루어낼 수 있는 유일한 기적은 계속 살아가는 것’이라는 구절을 인용한 것을 보면 알고 지내던 사람들에게 안부를 전하고 묻고 싶었던 것 같습니다.
앞뒤가 헷갈리더라는 말씀을 드렸습니다만, <여기서 끝나야 시작되는 여행인지 몰라>는 수필, 시 그리고 그림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열세분이 수필을, 열 분이 그린 18점의 그림, 8분이 쓴 11편의 시를 수록했습니다. 시인들이 쓴 수필도 있으니 참여하신 분들과 작품 수가 일치하지는 않습니다.
먼저 수필을 살펴보면, 열세편의 수필 가운데 열한편이 우한폐렴으로 인하여 뒤틀린 삶에 관한 글입니다. 아참! ‘우한에서 시작한 코로나’라고 적은 한 분을 제외하고는 많은 분들이 지금의 상황을 조성한 원인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지적하기를 꺼려하는 분위기입니다. 왜 그런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우한폐렴 사태와 관련하여 제게도 짧은 글을 쓸 기회가 있었다면 사태의 원인부터 방역대책 등에 관하여 궁금한 것들을 쏟아냈을 것 같습니다. 작가들 가운데 응급의학과를 전공하신 의사선생님이 계셨는데, 그저 사태에 적응해가고 있는 자신의 모습에만 관심을 두신 것 같아 조금 아쉬웠습니다. 어디엔가 코로나19가 사람과 공생을 시작했다는 구절도 있었습니다만, 코로나19는 아직 사람들과 공생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것 같습니다.
20세기 초 지구촌을 공포로 몰아넣었던 스페인독감 이후로 지구촌 규모로 확산된 바이러스 전염병으로는 거의 100년 만에 처음입니다. 스페인독감 때는 없던 세계보건기구도 생겼지만, 지구인들의 대응은 별반 차이가 없어 보입니다. 보건의료분야의 선진국도 우왕좌왕하기는 매한가지입니다. 방역정책을 결정함에 있어 전문가들의 조언을 듣기보다는 정치적 고려가 우선하는 경우도 속출했다고 하겠습니다. 심지어는 방역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듯한 나라도 있는 것 같습니다.
<여기서 끝나야 시작되는 여행인지 몰라>의 뒷장부터 읽을 수 있는 시의 경우는 다양한 형식을 취하고 있었고, 하나 같이 어려웠습니다. 비유도 난해했고 행간에 숨겨둔 의미도 쉽게 와닿지 않았습니다. 아마도 제가 시를 제대로 이해할 준비가 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인 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