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7 - 소돔과 고모라 1
마르셀 프루스트 지음, 김희영 옮김 / 민음사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7권과 8권은 당시 프랑스 사회의 중요한 모임형식이었던 살롱의 분위기를 묘사합니다. 7권은 게르망트 대공부인의 살롱을 무대로 파리의 살롱을, 8권에서는 발베크에 있는 베르뒤랭부인의 살롱을 무대로 합니다. 베르뒤랭부인의 살롱이 지방에 있다고는 하지만, 살롱에 초대받는 인물들은 파리에서도 생활을 하기도 하므로 파리와 지방이 특별히 달라보이지는 않습니다. 게르망트 대공부인의 살롱과 베르뒤랭부인의 살롱이 대비되는 것은 파리와 지방이라는 점보다도 대공부인의 살롱이 주인의 위치처럼 귀족 중심으로 움직이는데 반하여 베르뒤랭부인의 살롱은 당시 급부상한 부르주아 출신이 주도하는 살롱이었다는 점입니다. 살롱이 참석자를 만찬에 초대해서 다양한 주제로 대화를 나누는 형식이었기 때문에 살롱은 상당한 재력이 뒷받침되어야 했을 것입니다. 사건 당시 프랑스 사회를 두 편으로 나누었던 드레퓌스 사건은 살롱에서 나누는 주요 화제였으며, 살롱 역시 친 드레퓌스파와 반 드레퓌스파로 나뉘었던 모양입니다.

살롱의 참석자는 살롱의 주인의 초대가 있어야 참석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는데, 게르망트 대공 부인의 살롱에 간 마르셀이 대공에게 소개해줄 사람을 찾는 모습이 이상하게 느껴졌습니다. 프루스트는 살롱의 성격을 이렇게 규정하였습니다. ‘지적 진화를 조금이나마 진지하게 배우고 싶은 사교계 인사들이 품은 그런 새로운 것에 대한 취향이 그들로 하여금 그 진화를 좇아갈 수 있는 사회 그룹을 드나들거나, 또 그때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탁월한 정신 상태에 대한 희망을 아직 신선한 상태로 지닌 어느 안주인을 향해 기울어지게 하는 것이다.(255쪽)’ 하지만 세월이 흘러 살롱의 주인이 나이가 들면 살롱의 분위기도 조금씩 가라않기 마련이고, 살롱에 참여하는 사람들도 시들해지거나 다른 살롱을 찾기도 했을 것 같습니다.

마르셀이 발베크에 도착해서는 돌아가신 할머니에 대한 그리운 마음이 사무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죽음에 임박해서는 지병으로 고통스러워했기 때문에 어렸을 적에 기억하는 자상한 할머니의 모습만을 간직하고, 또 할머니가 돌아가셨다는 사실을 애써 무시하려는 생각 때문이었으며, 젊은이의 특성상 경박하고 쾌락을 뒤쫓기에 바쁜 것도 이유였던 모양입니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네 번째 주제인 동성애에 관해서는 예전에 정리를 했기 때문에 이번에는 별도로 이야기하지 않으려 합니다. 다만 알베르틴이 양성애적 성향을 가졌다는 점을 살짝 비치는데, 이는 위에 다룰 알베르틴과의 이별 장면에 대한 암시일 수도 있습니다. 심지어 집안일을 돌보아주는 프랑수아즈는 ‘도련님은 그 아가씨를 만나면 안돼요. 전 어떤 종류의 성격을 지닌 아가씨인지 잘 알아요. 도련님에게 슬픔을 안겨줄 사람이에요.(332쪽)’라고 말합니다. 사실 그동안 마르셀이 보여준 여성편력(?)을 보면 한 여성에게 집중하는 편은 아닌 듯합니다. ‘사랑은 움직이는 것’이라는 광고문구대로 말입니다. 이전에 연모했던 여성들의 경우는 마르셀의 짝사랑이었던 것과는 달리 육체적 관계를 갖게 되는 것도 마르셀이 성인이 되었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입니다.

어렸을 적 마르셀이 어머니가 잠자리를 보아주기를 간절하게 바랐던 것을 보면 소유욕이 만만치 않다는 느낌을 받았는데, 알베르틴과의 관계에서도 독점욕을 암시하는 대목이 나옵니다. “젊은 여자가 발베크에 도착하기만 해도 마음이 불안해져서는 알베르틴에게 그 여자와 사귀지 못하게 하고, 가능한 한 새로운 여자의 도착조차 알아채지 못하게 하려고 아주 먼 곳으로의 소풍을 제안했다.(421쪽)” 알베르틴 역시 처음에는 마르셀의 의심을 받지 않도록 조심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언젠가는 마르셀의 이런 모습이 오히려 화를 불러온 것 같기도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