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모든 신화
케네스 C. 데이비스 지음, 이충호 옮김 / 푸른숲 / 2008년 11월
평점 :
품절


지난해 이집트를 여행하고서 신화에 특히 관심이 많아진 것 같습니다. 신화라고 하면, 단군신화와 그리스-로마 신화 정도를 알고 있고, 남미를 여행하면서 마야와 잉카의 신화를 공부했지만 기억이 가물거릴 지경입니다. 그래서인지 세계의 모든 신화를 정리했다는 제목에 낚여 읽어보게 되었습니다.

이 책은 “상아탑 속의 ‘죽은 지식’에 반대하며 지식과 재미를 엮어 독자들의 관심을 끌어낸 케네스 C 데이비스의 ‘Don't Know Much About’ 기획의 일환으로 쓴 <Don't Know Much About Mythology>를 우리말로 옮긴 <세계의 모든 신화>입니다. 저자는 신화가 생겨난 것은 ‘주변 세계를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나아가 ‘신화가 종교로 변화하는 과정을 살펴보고, 그런 변화가 역사를 어떻게 변화시켰는가를 알아보는 것’을 목표로 이 책을 썼다는 것입니다. 그런 점에서 저자가 이미 발표한 <우리가 잘 몰랐던 성서 이야기, Don't Know Much About the Bible>의 후속편이라 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1장은 이 책의 목표에 관한 설명을 담았습니다. 신화란 무엇이고, 신화가 왜 만들어졌고, 신화, 전설, 우화, 설화의 차이는 무엇이며, 신화에 역사적 배경이 있는지, 신화와 종교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등을 설명합니다. 2장부터 9장까지는 세계의 모든 신화를 다루었습니다. 세계를 지역으로 나누어 해당 지역의 신화를 다루었다고는 하지만 모든 신화를 다루었다고 볼 수 있나 싶은 것은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중국과 일본의 신화는 다루면서 우리나라를 빠트렸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2장은 이집트, 3장은 메소포타미아, 4장은 그리스-로마, 5장은 켈트족과 북유럽, 6장은 인도, 7장은 중국과 일본, 8장은 아프리카, 9장은 아메리카와 태평양 섬 등입니다. 이 책에서 다룬 내용에 관한 저자의 솔직한 고백은 1. 세계의 주요 문명과 신화를 죽 훑어보는 가이드 동반 세계 여행으로 지나치게 꼼꼼하게 자세하게 살펴보지는 않았다는 것인데, 예를 들면 ‘프타의 영혼의 신전’을 의미하는 고대 이집트 문자(ḥwt-kȝ-ptḥ로 해석됩니다)가 고대 그리스어로 아이집토스(Αἴγυπτος)로 옮겨졌던 것이 로마시대에는 라틴어로 아에집프투스(Aegyptus)로 옮겨지고, 중세 프랑스에서는 이집트(Egypte)로 옮겨진 것에서 유래했다고 정리된 것을 개략적으로 “그리스인들이 ‘프타의 영혼의 신전’이란 뜻의 ‘헤웨트-카-프타(Hewet-ka-Ptah)’라는 이집트어 단어를 ‘아이굽토스(aesuptos)’로 번역했고, 이것이 결국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이집트(Egypt)’라는 단어가 되었다(99쪽)”고 정리했습니다.

2. 서양인의 시각에서 바라본 ‘유럽 중심적’ 역사 서술 관점에서 썼다는 것 등입니다. 책을 읽다보면 객관적이라고 보기에는 아전인수 격의 해석이 아닐까 싶었던 부분이 있었던 것도 이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혹은 사료를 해석함에 있어 다양한 자료를 비교검토하여 객관적인 입장을 견지할 필요도 있지 않았나 싶습니다.

각장의 말미에는 해당 지역의 역사연표를 요약해두었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일본신화의 이정표가 기원전 1만년경에 시작된다는 것입니다. 이집트는 기원전 5,000년, 메소포타미아가 기원전 9,000년, 그리스가 기원전 3,000년, 북유럽이 기원전 3,500년, 인도가 기원전 4,500년, 중국이 기원전 8,500년, 아프리카가 250만년전, 남아메리카의 경우 칠레에서 기원전 12,500년 등인 것과 비교해보면, 아프리카에 인류의 조상이라 할 고인류의 유적이 발굴된 바 있으니 당연하다치고, 칠레나 뉴멕시코의 경우 자연환경이 유적이 오래 전해질 수 있는 여건이 되었다고 하더라도, 일본의 경우는 설명에 신중할 필요가 있는 것 아닌가 싶습니다. 토기가 발견된 것이 곧 토기를 제작할 수 있는 문명이 존재했다고 해석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일 것 같습니다.

얼마 전에 읽은 홍익희님의 <문명으로 읽는 종교 이야기;

https://blog.naver.com/neuro412/221745591641>에서 미진했던 유대교의 시원과 이집트신화와의 관계를 가늠해볼 수 있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