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 3국의 커피, 누들, 비어 - 프렌치 커넥션을 따라 떠나는
이영지 지음, 유병서 사진 / 이담북스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행이 참 묘한 구석이 있습니다. 같은 장소를 같이 다녀왔더라도 기억하는 것이 서로 다른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방문하는 장소를 인문학적 관점에서 들여다보는 경향입니다. 그래서 해당 지역은 물론 개별적인 대상과 관련된 역사는 물론 문학작품까지도 살펴보려 노력합니다. 그러다보니 구경을 다녀온 장소에 관하여 공부한 것들을 정리해놓은 것이 재미가 없는 편이라고들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익했다는 분들이 없지는 않습니다.

여행에 관한 책들은 여전히 많이 나오는 것 같습니다. 그런 책들을 보면 차별이 되는 독특한 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 제가 쓴 여행에 관한 글이 정보중심이다 보니 인터넷을 검색해보면 다 나온다는 평가를 받기도 합니다. 하지만 인터넷을 뒤지는 품을 파는 것이 그리 쉬운 노릇은 아닙니다. 그래서인지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 3국의 커피, 누들, 비어>를 읽고서는 느낀 점이 많습니다. 먼저 ‘이런 여행도 하는구나’하는 생각과 함께 ‘그래서 책을 내실 수 있구나’하는 생각이 들었던 것입니다.

저는 아직 라오스에는 가보지 못했고, 베트남과 캄보디아를 묶어서 며칠 다녀온 것이 전부입니다. 일과 무관하게 해외여행을 처음 가본 곳이기도 합니다. 이 책을 쓰신 이영지님은 상품 및 브랜드 마케팅 전문가로 일하면서 인문여행서를 출간하신 여행작가이기도 합니다. 제목에 들어가 있는 세 나라와 커피, 누들, 비어를 어떻게 엮어서 한권의 책으로 꾸며내신 것을 보면 기획능력이 출중하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먼저 세 나라는 뒤늦게 해외식민지 경영에 나섰던 프랑스의 식민지배를 받던 인도차이나를 구성하던 지역으로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 독립한 나라입니다. 따라서 프랑스풍의 문화가 많이 남아있는 곳이라고 합니다.

라오스는 아니더라도 베트남과 캄보디아를 여행하면서도 특별한 느낌이 없었던 커피와 누들, 그리고 비어가 인도차이나 지역과 어떻게 연관이 되는지는 저자 서문을 읽고서야 알게 되었습니다. 그러니까 커피와 비어는 19세기에 이 지역을 식민지배하던 프랑스가 경제적 착취를 목적으로 이식한 산업이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누들은 쌀국수로 대표되는데 이는 식민지배와 전쟁 그리고 공산화가 진행되면서 헤어날 수 없었던 가난 때문에 주식으로 자리를 잡게 된 것이라고 합니다. 베트남 하노이의 쌀국수 포(Pho)는 프랑스의 ‘포터포(Pot au Feu)라고 하는 소고기 국물요리에서 탄생한 것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밀가루이건 쌀가루이건 곡물의 가루를 반죽하여 뽑은 누들의 원조를 두고 동서양의 여러 나라가 자기네 음식이라고 주장하는 것을 보면 여전히 생각해볼 거리는 있는 것 같습니다.

사실 인도차이나지역은 쌀을 많이 재배하는 곳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프랑스 사람들이 보기에는 세 나라 사람들은 문화나 삶의 방식에서 차이가 있더라는 것입니다. 그 차이는 이렇게 표현된다고 합니다. “베트남인은 쌀을 심는다. 캄보디아인은 쌀이 자라는 것을 본다. 라오스인은 쌀이 잘하는 소리에 귀를 기울인다.(19쪽)” 그리고 보니 우리나라에서는 ’벼는 농부의 발소리를 듣고 자란다‘는 말이 있습니다. 벼는 농부가 애정을 쏟는 만큼 수확을 낸다는 것이겠지요. 그런데 작가가 소개하는 문장에서는 쌀이 아니라 벼라고 하는 게 옳겠습니다. 쌀은 가을에 수확한 벼를 정미해서 먹을 수 있도록 가공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저자의 여행을 따라가다 보면 베트남과 라오스에서는 세 가지 주제를 깊이 천착하는 느낌이 드는데 정작 캄보디아에서는 깊이가 느껴지지 않습니다. 커피에 관한 내용이 빠져있는 것 같습니다. 어쩌면 앙코르와트의 매력에 빠지는 바람에 주제에 집중하지 못한 것 아닐까 싶습니다. 세 나라를 여행하면서 이용한 숙소 또한 소피텔이라는 공통점이 있는데, 커피, 누들, 비어라는 주제를 고려하면 조금 서민적인 숙소를 이용했더라면 좋았겠다 싶었습니다. 숙소에 대한 지원이 있었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숙소에 관한 묘사의 비중이 적지 않은 듯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