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온다 - 공간 장소 운명애
서영채 지음 / 나무나무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살아온 날들을 정리해보겠다는 생각을 오랫동안 간직하고 있습니다. 기억의 저장고 깊숙하게 가라앉아 있는 것들을 끌어내려면 집중을 해야 할 것 같아 선뜻 시작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써내려 갈 것인가도 문제였습니다.

얼마 전에 읽은 정기호 교수님의 <경관기행; https://blog.naver.com/neuro412/221525550038>에서 해답을 찾은 것 같습니다. ‘옛 사진에 담긴 시선과 기억’이라는 부제가 달린 이 책은 저자가 옛 앨범 속에서 찾은 사진의 현장을 다시 찾아다닌 여행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책을 읽으면서 제가 살던 곳이 지금은 어떻게 변했을까 궁금해졌습니다. 태어난 곳에서부터 지금 살고 있는 곳까지를 살펴가면서 무슨 생각을 하고, 어떤 일을 했는지 짚어보면 제가 살아온 삶이 정리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서영채 교수님의 <풍경이 온다>는 아마도 비슷한 느낌으로 읽게 된 것 같습니다. ‘공간, 장소, 운명애’라는 주제어들이 어떤 연관을 가지고 있는가 하는 것도 궁금했습니다. 적어도 공간과 장소는 연관을 지을 수 있을 것 같은데 생소해 보이는 운명애라는 단어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전혀 감이 잡히지 않았던 것입니다.

저자는 ‘이 책은 풍경에 관한 책이다’라고 책머리에의 운을 뗍니다. 공간과 장소에서 개념이 확대되는 셈입니다. 제목에 넣지 못한 ‘이 책은 또한 바로크 근대성에 관한 책’이라는 대목에서는 갑자기 무게감이 확 늘어납니다. 나아가 주제어로 삼은 공간의 의미가 ‘역사와 시간을 대체하면서 20세기 후반의 중요한 이론적 화두로 등장한 공간이라는 개념을 뜻한다(5쪽)’라는 설명을 읽으면서 지난한 책읽기가 될 것 같다는 예감이 들었습니다.

예감은 늘 틀리지 않습니다. 풍경으로 시작하여 공간과 장소에 대하여 설명한 뒤에 다시 공간과 풍경을 연결한 다음에 운명애로 이야기를 마무리합니다. 1장에서는 한 사람이 풍경과 만나는 순간을 묘사합니다. 2장에서는 근대초기 북유럽화가들의 풍경화 속에서 주체와 대상 간의 위계가 뒤바뀌고 있음을 설명합니다. 3장에서는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를 중심으로 바로크 근대에 들어 본격화된 신에 대한 관념을 분석합니다. 4장에서는 근대 자연과학자들이 발견한 우주의 모습을 바탕으로 철학자들이 도출해낸 절대공간의 개념을 다루었습니다. 5장에서는 신비 속에 감추어졌던 신이라는 존재의 정체가 드러나는 과정을 설명합니다. 6장에서는 장소가 지닌 상징성과 그 너머에 숨 쉬고 있는 윤리를 이야기합니다. 7장에서는 다시 풍경으로 돌아오는데, 그 풍경이란, ‘낯설고 특별한 경치’가 아니라 주체에 의해 평소와는 다른 시선으로 포착된 장소를 의미한다고 합니다. 8장에서는 근대인은 운명에 관한 문제를 윤리적 주체의 책임과 연관 짓습니다. 오늘날 운명이라는 것은 한 사람의 마음속에서 필연으로 받아들여진 우연을 뜻한는 것입니다.

우연을 운명으로 만드는 것이 바로 주관성의 힘인데, 시간적으로는 과거, 공간적으로는 장소를 바라보는 사람의 시선 속에 존재하며, 이것이 방향을 바꿔 미래를 향하게 될 때 운명에 대한 사랑, 곧 운명애가 생겨난다고 이야기의 매듭을 지었습니다.

제가 살아온 장소와 시간들을 되짚어 정리해내고자 하는 것이 곧 저의 운명에 대한 사랑을 완성하게 되는 길이라는 설명이 가능해질 것 같습니다. “운명애란 자기에게 주어져 있(다고 스스로 판단하)는 삶을 다시 한번 자신의 의지로 선택하는 사람의 마음을 뜻한다(378쪽)”라고 저자는 설명합니다. 즉 살아온 날들이 자신의 운명이었다고 한다면 같은 상황에서 같은 선택을 할 수 있다면 자신의 운명을 사랑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