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근길 인문학 수업 : 관계 - 나를 바라보고 상대방을 이해하는 심리의 첫걸음 퇴근길 인문학 수업
백상경제연구원 외 지음 / 한빛비즈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문학에 대한 사람들의 갈증이 조금씩 생기는가 봅니다. 뒤늦게 인문학에 관심을 가지게 된 저도 나름대로는 인문학 분야의 책을 꽤 읽어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조금만 깊이가 있는 책을 읽게 되면 쉽게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많은 것 같습니다. 그래서인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을 해주는 인문학 서적에 관심이 가게 되는 것 같습니다.

<퇴근길 인문학수업>이 사람들의 관심을 받으면서 시즌1을 마무리하고 시즌2를 시작했다는 반가운 소식을 듣게 됩니다. 시즌 1의 경우 ‘바쁜 걸음을 멈추고 나를 둘러싼 세계와 마주하기’라는 부제로 하여 멈춤이라는 주제를 다룬 책을 읽으면서 주제에 쉽게 공감할 수 있었습니다. ‘지금과는 다른 시선으로 나를 돌아보기’를 부제로 한 전환과 ‘일상의 시간에서 세상 밖으로 나아가기’라는 부제를 단 전진의 경우는 아직 읽어보지 못했습니다. 그럼에도 시즌의 기획이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매일 한 꼭지의 글을 읽으면서 인문학적 소양을 넓혀가는 재미를 느끼다 보면 12주가 금세 지나갈 것 같습니다. 저처럼 책으로 묶어 나왔을 때 한 번에 읽는 사람들도 있을 것 같습니다.

시즌2의 시작은 ‘나를 바라보고 상대방을 이해하는 심리의 첫걸음’을 부제로 한 관계입니다. 분야는 심리, 경제, 사회, 문화, 신화, 과학, 역사, 문학, 고전 등의 분야에서 열두 분이 강의를 해주셨다는데, 그리고 보니 시즌1에서부터 계속 참여해주시는 분도 있는 것 같습니다. ‘적당한 분량에 쉬운 설명, 그리고 깊이 있는 내용. 그래서 공부를 했다는 느낌이 든다’는 느낌을 적어주신 분의 말씀에 저도 전적으로 공감합니다.

최근에 근무환경이 갑자기 바뀌면서 특히 관계를 재설정해야 하는 위기상황을 맞고 있기 때문인지 노주선박사님의 ‘다름의 심리학’이라는 주제가 특히 마음에 와 닿았습니다. 그동안 살아오면서 나름대로는 열린 가슴으로 일을 해왔다고 생각을 했는데, 변화해가는 환경은 제 생각과는 사뭇 다르게 움직이는 것 같습니다. 다들 자기중심적으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 같다는 느낌이 점점 커지고 있는 것입니다. 어쩌면 제가 오해를 하고 있는 탓일 수도 있겠습니다만....

얼마 전에 <취향의 발견; >이라는 제목의 책을 읽은 탓인지 김동훈님의 같은 제목의 강의도 쉽게 빠져들 수 있었습니다. 전자가 다소 취미에 가까운 내용을 다루었던 것에 비하여 김동훈님은 취향의 의미를 다른 각도에서 접근한 것도 신선했습니다. 마지막 강의에서 취향이란 ‘좋아하는 대상을 감각적으로 분별할 수 있는 것(347쪽)’이라고 정의하고서는 ‘De gustibus non est disputandum’이라는 라틴어 경구를 소개하였는데, ‘취향에는 정답이 없다’라는 뜻이라고 했습니다. 역시 취향은 각자 나름대로의 독특한 바가 있다는 것인데, 그렇기에 취향이라고 하는 것 아닐까 싶었습니다.

저 역시 책읽기, 글쓰기 그리고 여행을 좋아하는 편이라서인지 박일호님의 ‘현대인을 위한 여행인문학’이라는 강의도 집중해서 읽게 되었습니다. 여행을 그저 소확행으로만 이해하는 것도 여행이 가지는 다양한 의미를 축소시키는 것 아닐까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앞서 김동훈님께서 취향에는 정답이 없다고 한 것처럼 여행을 하는 이유에도 정답이 없는 것 아닐까 싶습니다. 물론 통계를 내기 위해서는 굵직굵직하게 나누어 개인들의 이유를 가급적이면 묶을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겠지만, 여행하는 이유까지 굳이 그럴 까닭이 없지 않을까요?

강의를 해주신 분들 모두 그 분야의 전문가들이시지만 간혹 정의나 개념이 분명치 않은 설명도 없지는 않은 듯합니다. 첫 강에서 사극의 영향 때문인지 무수리라는 표현을 일반화하여 사용한 듯한데, 무수리는 고려나 조선시대에는 왕실에서 일하던 계집종을 이르던 왕실용어였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일반화하여 사용하는 것은 너무 자기비하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특히 자존감을 이야기할 때는 말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