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별 일로 잘 먹고삽니다 - 꿈업일치를 이뤄 낸 31명의 job톡
강이슬 지음 / 이담북스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취업하기 힘들다는 젊은이들의 비명이 들린 지도 꽤 되는 것 같습니다. 모든 정파가 젊은이들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주장했지만, 뾰족한 수는 없는 것 같기도 합니다. 특히 산업구조의 개편과 맞물려 전통적인 개념의 일자리는 줄어들기만 하는 것이 원인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런가 하면 최근에는 색다른 직업을 창조해내는 젊은이들의 이야기가 주목을 끌기도 합니다.

<별별 일로 잘 먹고 삽니다>는 제목 그대로 남들이 눈길을 주지 않았던 일을 먹고 사는 일로 만들어낸 사람들의 이야기를 모았습니다. 저자 역시 문예창작과를 졸업하고 방송작가로 활동하다가 뷰티 관련 분야에서 색다른 직업을 만들어낸 것이 성공을 거두었다고 합니다. 경쟁이 심할 때는 남이 하지 않는 일을 하라는 금언은 고금을 막론하고 통하는 것 같습니다.

저자는 뭘 해서 먹고살 것인가를 고민하는 젊은이들에게 다양한 분야에서 나름대로의 업을 찾아낸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려주고자 이 책을 썼다고 합니다. 저자가 주변에서 만난 31명의 사람들은 큰 부자나 대기업의 회장님 같은 분은 없지만, 나름대로의 독특한 업을 가지고 활발하게 살아가는 사람들인데, 그들이 지금 하고 있는 일에 뛰어든 계기가 무엇이었는지, 그리고 어떻게 이 자리에 올 수 있었는지 등을 소개합니다.

먼저 만난 분들과의 짧은 대담을 싣고 그 분들의 삶에서 주목해야 할 점들, 그리고 배워야 할 점을 저자 나름대로의 관점에서 정리해냈습니다. 물론 제목처럼 ‘별별 일’이라고 보기 어려운, 배우, 개그우먼, 모델, 필라테스 강사, 간호사, 한의사 등도 포함하고 있는데, 그 점에 관해서는 저자와의 친분이 한 몫을 한 것이라고 눈감아드리기로 했습니다.

그리고 저자의 활동 영역이 방송과 뷰티와 관련된 업이다 보니 그 분야의 사람들이 많은 것도 사실입니다. 읽다보니 재미있는 구절이 있어 소개합니다. 뮤직비디오를 찍는 이보영PD의 직업이 다양하다는 질문에 대하여 이런 답을 합니다. “사람들은 직업을 명사형으로 생각하는데, 그보다는 동사형으로 바라보고 꿈을 꾸다보면, 다양한 일을 하게 되고 새로운 경험들이 생겨난다.(174쪽)”는 것입니다. 저 역시 다양한 분야에서 일을 해보았습니다만, 직업을 동사형으로 바라본 것은 아니었던 것 같습니다. 그저 어려운 상황을 극복하기 위하여 대안을 만들다보니 여기에 이르렀던 것입니다.

김형민 한의사의 이야기 가운데 동의할 수 없는 부분도 있습니다. 한의학을 전공한 분이 어느 날 서양의학을 살펴보니 둘 사이에 공통점이 존재하더라는 것입니다. 사실 서양의학과 한의학은 기본 철학이 다르고 원리가 다르기 때문에 공통점이 존재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그리고 서양의학에 대한 기본적 이해가 충분하지 않은 가운데 근본이 다른 학문을 비교해서 공통점을 도출해낸다는 것이 언어도단일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이 책에 등장하는 분들 가운데는 블로그 등을 활용하여 성과를 올렸다는 분들도 많은 것 같습니다. 저 역시 블로그를 꽤 오래 해왔지만, 블로그를 상업적으로 발전시킬 생각보다는 제가 아는 것들을 나누는 기회로 자리매김했던 것 같습니다. 방문객이 천만을 넘던 그 블로그는 운영주체의 결정에 따라 폐쇄되는 바람에 그동아 쌓아왔던 자료가 공중 분해되고 말았습니다. 안타까운 일입니다. 그 중 일부만 남겨 블로그를 옮겼지만, 새로운 환경에서는 아무래도 타인의 관심을 끌어 모으는 일이 쉽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번듯한 직장에 들어가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만이 능사는 아닐 수도 있습니다.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가지고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면, 그것이 최선이 될 수도 있지 않을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