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계선 지능을 가진 아이들 - 느린 학습자와 발맞춰 걷기 ㅣ 휴먼테라피 Human Therapy 83
박찬선.장세희 지음 / 이담북스 / 2018년 12월
평점 :
대학에 있을 때 학생 강의를 해보면 같은 수업을 들은 학생들 사이에서도 수업에 대한 이해에서 차이가 있더라는 기억이 분명 있습니다. 그때는 수업에 대한 몰입도의 차이일 것이라고 생각했었습니다. 의과대학생들이라면 수업을 이해하는 정도가 비슷할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제가 초등학교에 다니던 시절까지 기억을 거슬러 올라가면 학생들의 지능에서도 차이가 있었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요즘의 학교에서는 보통 아이들과 다르다고 해서 쉽게 왕따를 당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그때는 학생들 사이의 학습 성취의 차이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았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다른 분야에서 장점이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같이 어울릴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경계선 지능을 가진 아이들>은 흔히 IQ라고 하는 지능지수가 전체 아이들의 평균치에 미치지 못하는 아이들의 특성과 이런 아이들을 어떻게 보살펴서 정상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게 하는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경계선 지능이라 함은 ‘경계선 지적 기능(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 BIF)’이라고 미국 정신장애 진단 및 통계편람(DSM)-VI에 분류된 것으로 표중화 지능검사에서 IQ 70~80 사이에 속하는 아동들로 정의합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IQ 70~79 사이의 지능을 나타내는 경우라고 생각합니다.
그동안 ‘늦되는 아이, 답답한 아이, 공부를 못하는 아이, 눈치 없는 아이’라고 생각하던 아이들이 이 범주에 속합니다. 하지만 이런 아이들은 분명 학습장애나, 정신지체라고 할 수 없으며, ADHD(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장애)와는 다른 독특한 인지와 정서, 행동, 사회성의 발달 과정을 보인다고 하겠습니다. 제가 일하고 있는 기관에서는 마침 ADHD를 어떻게 치료하는지에 대하여 평가가 필요한지 검토하고 있어서 이 책을 읽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그동안 경계선 지능을 가진 아동들의 문제가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일이 쉽지가 않았기 때문에 부모와 교사는 물론 심지어는 심리치료사, 언어치료사, 소아정신과의사들까지도 혼란스럽게 만들어왔습니다. 이 책을 쓴 저자들은 아동심리와 교육을 전공하고 일찍부터 경계선 지능을 가진 아동들의 문제점을 잘 파악하고 제대로 이끌어 정상적인 어른으로 자라게 할 수 있을까를 고민해왔다고 합니다.
저자들은 오랜 기간을 통해 쌓아온 자신들의 경험을 경계선 지능을 가진 아동을 가진 부모와 이런 아동의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과 공유하고자 이 책을 썼던 것이고, 이번에 이를 보완하여 개정판을 내기에 이르렀다고 합니다.
이 책은 크게 경계선 지능의 본질을 이해하는 부분과 경계선 지능을 가진 아동을 어떻게 돌볼 것인가를 담은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부 ‘경계선 지능 알아보기’에는 1. 경계선 지능이란 무엇일까?, 2. 경계선 지능 아동의 성장과 발달 특성, 3. 경계선 지능을 어떻게 진단할까?, 4. 경계선 지능 아동을 어떻게 도와주어야 할까? 등을 담았고, 2부 ‘경계선 지능을 가진 아이와 함께 걷기’에는 5. 인지능력 향상시키기, 6. 꾸준한 학습지도가 필요한 이유, 7. 자신감과 사회성을 높이는 신체활동, 8. 모든 발달 영역을 자극하는 독서활동, 9. 정서적 유연성과 성취감을 주는 미술활동, 10 사회성 지도, 어떻게 해야 할까?, 11. 어른들의 역할 등을 다루었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학습장애, 학습부진, 지적장애 그리고 ADHD 등과의 차이도 분명하게 밝혀 돌봄의 방식을 달리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이러한 아동들을 돌보고 지도하는데 있어 꼭 이해할 필요가 있는 사항들도 적절하게 정리하고 있는데, 가장 관심이 클 부모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지, 또 이런 아동들을 직접 교육하는 교사들은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따로 정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