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굿 - 출간 30주년 스페셜 에디션
김초혜 지음 / 마음서재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순(耳順)을 넘기면서 살아온 날들을 자꾸 돌아보게 되는 것 같습니다. 격동의 세월을 살아오면서 많은 선택을 해야 했기 때문에 더욱 그러한 것 같습니다. ‘그때 내가 다른 선택을 했더라면 그 결과는 어땠을까?’하는 것들 말입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그때의 결정을 후회하지는 않습니다. 이제 와서 다른 선택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어쩌면 그때 그 상황을 만나게 된다면 같은 선택을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살아오면서 했던 선택들 가운데는 물론 사랑에 관한 것도 없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사랑과 관련된 선택이 가장 어려웠던 것 같습니다. 물론 혼자 하는 사랑도 있지만, 사랑은 근본적으로 사랑하는 상대가 있어야 하는 것이고, 또 그 사람과 공유하는 감정이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생각해보면 적어도 사랑에 있어서는 적극적이지 못했던 것 같습니다. 생각이 많다보니 사랑을 시작하는 것이 결코 쉽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김초혜 시인님의 시집 <사랑굿>을 읽으면서 젊었을 때의 사랑을 돌아보게 되었습니다. 아마도 당시 제가 가졌던 사랑 감정들과 참 닮았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재미있는 것은 세월이 흘렀음에도 불구하고 요즈음 젊은이들도 사랑굿 연작시를 좋아한다는 것입니다. 도저히 접근의 여지가 없는 세대의 차이를 뛰어넘어서 말입니다. 사랑이라는 주제는 영원불변의 무엇인 있어서일까요? 

무려 183편의 연작시를 써내셨다고 하니 참 대단한 일입니다. 이틀에 한 편씩 감상해도 한해를 넘겨야 가능한 일입니다. 물론 윤년인 경우는 꼭 한해면 되겠지요. 시들의 흐름이 일관성이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인지 대부분은 오래 전에 발표하신 작품들이 아닐까 싶습니다.

물론 옛날에도 저돌적인 사랑, 불타는 사랑이 없지는 않았다고 합니다만, 은근하거나 혹은 마음에만 담아두는 사랑이 더 많던 시절이 아닐까 싶습니다. 첫 번째 작품을 보면, ‘그대 내게 오지 않음은 / 만남이 싫어서가 아니라 / 떠남을 / 두려워함인 것을 압니다’라는 첫 번째 연부터 사랑의 달콤함보다는 혹시 그 사랑이 떠날지도 모르는 아픔을 두려워한 것 같습니다. 시인의 마음이 오롯하게 전해지는 듯한 이유는 아마도 같은 생각을 해보았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열여덟 번째 작품은 이렇게 시작합니다. ‘점을 쳐 괘를 푸니 / 욕심 따라 성급히 / 서둘지 말고 / 마음을 정히 닦아 / 푸닥거리나 하라 한다.’ 시인은 아직도 선뜻 사랑에 나설 결심이 서지 않았던가 봅니다. 그런데 사랑은 결코 기다려 주지 않더라는 것입니다. 마음을 정하고 사랑을 고백하러 나섰더니 이미 사랑은 떠나고 말았더라는 아픈 경험도 있습니다. 한 동안을 페티 페이지가 1952년에 발표한 노래 ‘I went to your wedding’을 부르면서 서글픈 마음을 달래야 했습니다. 물론 그녀의 결혼식에 갔었죠.

예순두 번째 작품에서는 ‘소리 없이 와서 / 흔적도 없이 갔건만 / 남은 세월은 / 눈물이다.’라고 노래한 것을 보면, 결코 시작도 해보지 못할 것 같은 사랑을 시인은 해보았던 것 같기도 합니다. 역시 시안이 예감한 것처럼 그 사람은 떠나갔던 모양이구요. 그래서 시인은 예순세 번째 작품에서는 ‘하루에도 / 몇 번씩 / 그대로 인해 / 죽을 수 있는 / 죽음은 / 다 죽어보았소’라고 노래합니다. 예견했던 슬픔을 삭여내면서도 그 사랑을 후회하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안타까운 것은 그 사랑에 매여 새로운 사랑을 만나지 못하는 듯한 느낌이 남습니다. 만날 때 헤어짐을 짐작하듯이 헤어질 때는 다시 만남을 짐작하던지, 아니면 새로운 만남을 짐작하면 될 터인데 말입니다. 사랑이 너무 지고지순해서였을까요? 젊은 날의 사랑이 그리운 분들이거나 옛날식 사랑이 궁금한 젊은이들 모두에게 묵직한 느낌을 안겨주는 시집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