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픈 외국어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김진욱 옮김 / 문학사상사 / 199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없던 욕구도 스멀스멀 피어오르는 게 중독이라면 '활자중독'뿐 아니라 '작가중독'도 존재하는 게 아닐까 생각할 때가 있습니다. 그것이 물론 애연가의 흡연욕구에 비할 바는 아니겠지만 마냥 무시할 만한 것도 아니어서 (중독이 된)그 작가의 글을 읽지 않고 일정 시간이 흐르면 어느 순간 '이제는 정말 XX 작가의 책을 읽어야 할 시점이 온 것 같군.'하는 생각이 나도 모르게 드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욕구를 무시한 채 좀 더 오래 버티게 되면 제 아무리 재미있다는 책을 읽어도 그저 시큰둥할 뿐 별다른 감흥이 없고, 몸속의 열의란 열의는 모두 사라진 듯한 느낌에 빠지게 됩니다. 그렇다고 손을 떤다거나 조급해하면서 쉽게 짜증을 내는 식의 금단현상이 나타나는 건 아니지만 무시하고 모른 척하기에는 뭔가 께름칙한 구석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다가 문득 '이제 더 이상 못 배기겠는 걸.' 하는 생각이 들라치면 작가가 한참 전에 쓴 낡고 오래된 책이라도 빌려 읽어야지 그렇지 않았다가는 정말 금단현상이 생길지도 모르겠습니다. 저는 아직 그 단계까지 가 본 일이 없어서 진짜 그렇게 되는지 알 수 없지만 말입니다. 독자의 이런 심정을 알고 있는 작가라면 적어도 글을 쓰기 싫어 농땡이를 부리거나 책의 출간 시기를 저울질하며 차일피일 미루는 짓은 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독자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쉼 없이 작업하는 히가시노 게이고와 같은 작가도 있는가 하면 그렇지 않은 작가들도 많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출간 시기를 알 수 없어 이제나저제나 애태우다가 포기하고 이제 막 다른 작가의 작품으로 기우는 독자들이 하나 둘 늘어날 즈음 기다리던 작품이 비로소 나오기도 하지만 말입니다.

 

제게도 그런 작가가 몇 명 있습니다. 무라카미 하루키도 그 중 한 명입니다. 한동안 다른 작가의 작품에 빠져 지내다가도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문득 그리워지는 것이죠. '아직 신간이 나오려면 멀었으니 아쉽지만 예전에 읽었던 책이라도 한 권 다시 읽어야겠군.' 하는 생각에 이르게 되면 퇴근 후 발걸음은 항상 도서관으로 향하게 됩니다. 비록 작가로서 하루키는 상당히 성실한 편에 속하고 독자들의 심정을 나몰라라 하는 작가도 아니지만 근래에 들어 그의 작품은 상당히 부정기적으로 출간되고 있습니다.

 

제가 엊그제 읽었던 책은 <슬픈 외국어>입니다. 신간이 보이지 않을 때 제가 취하는 선택 기준은 전적으로 감에 의존하게 되는데 항상 그렇다는 것은 아니고 대체로 그렇다는 것입니다. 제가 제목만 보고 이 책을 고른 걸 보면 엊그제 도서관에 갔을 때의 제 느낌은 '약간 슬펐던' 게 아닌가 싶습니다. 조금 더 슬펐더라면 저는 어쩌면 <노르웨이의 숲>을 들고 나왔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지금 생각해 보면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그 정도까지 슬퍼지지 않았던 게 천만다행이라는 생각도 듭니다. 왜냐하면 <노르웨이의 숲>을 다시 읽는다면 그 우울하고 탁한 기분이 적어도 한 달쯤은 계속되지 않을까 싶기 때문입니다.

 

"나는사물을 머리로 생각하는 사람이다. 나는 몸을 움직여서 생각하고, 몸을 통하지 않고서는 아무것도 배울 수 없고, 아무것도 쓸 수 없는 사람이다. 내가 되도록 많은 나라의 말을 배워, 되도록 많은 나라에서 살거나 여행하며 작품을 쓰는 까닭은, 보다 참된, 그리고 보다 인간적인 글을 쓰고 싶기 때문이다." (p.201)

 

사실 이 책은 제목만 제외하면 '슬픔'과는 전혀 상관도 없는 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프린스턴 대학의 초청을 받아 미국에 체류하면서 그가 받았던 미국 체험의 느낌과 자신의 지난 삶을 솔직하게 드러내는 18편의 에세이가 이 책의 구성입니다. 제가 생각할 때 이 책이 그가 쓴 다른 에세이들과 확연히 구별된다고 느끼는 점은 하루키 특유의 유머가 아주 없다고는 할 수 없지만 상당히 절제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작가는 '자신의 자전적인 체험을 통한 삶과 세계관, 그리고 국제 관계와 문학 등에 관한 에세이'를 비교적 진지하게 쓰고 있습니다.

 

"한없는 그런 거리와 자연의 끝없는 연속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사람이 산다는 건 대체 어떤 의미를 갖는 것일까, 하는 생각에 문득 빠지게 된다. 그런 무력감은 미국에서만 맛볼 수 있는 종류의 감정이다. 유럽에서도 맛볼 수 없고, 일본에서도 맛볼 수 없는, 절대적인 아메리칸 오리지널이다." (p.192)

 

전업으로 글을 쓰는 작가라면 누구나 자신의 감정이나 사생활을 솔직하게 내보여야만 하는 어떤 순간에 직면하게 될 것입니다. 그것이 지면으로든 인터뷰를 통한 방송으로든 방법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말입니다. 작가는 이 책에서 자신의 생각이나 관점, 과거의 모습 등 어쩌면 밝히고 싶지 않을 수도 있는 이야기들을 아주 솔직하게 쓰고 있습니다.

 

"작가가 되어서 가장 기뻤던 건 이제는 하고 싶은 일을 하고 싶은 만큼 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물론 전업 작가가 되면 어느 정도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내키지 않는 일도 해야만 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건 오히려 생활 쪽을 조정하면 해결될 일이다. 이만큼 내게 잘 맞는 생활도 없기 때문이다. 처음 몇 년 간은 여러 가지로 시행 착오를 겪었지만, 그러는 사이에 점점 익숙해져서 내 나름대로의 작가 생활 시스템을 구축했다. 그 시스템의 근본 사상은 아까도 얘기했듯이 "하고 싶은 일만 자신의 페이스를 지키며 한다"는 한마디로 설명이 다된다." (p.235~p.236)

 

작가는 <슬픈 외국어>라는 책의 제목이 '절실한 울림을 갖고 다가온다'고 쓰고 있습니다. 막연히 무엇인가 쓰고 싶었던 작가는 카페를 운영하던 7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몸을 통하여 생각하는 경험을 했고 야구장에서 문득 소설을 쓰는 것도 괜찮겠다는 생각이 들어 소설가가 되었다고 합니다. 우리에게 미래는 어느 것 하나 확실한 게 없습니다. 그것이 누군가에게는 요행일 수도 있고, 또 다른 누군가에게는 참을 수 없는 불행일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오늘 불행했다고 하여 내일 또 불행하리라는 보장은 없습니다. 우리에게 매일매일은 모두가 기적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