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의 그림자 - 2010년 제43회 한국일보문학상 수상작 민음 경장편 4
황정은 지음 / 민음사 / 2010년 6월
평점 :
절판


흔하지 않은 일이지만 방금 읽은 책의 줄거리는커녕 주인공의 이름조차 생각나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머릿속은 성긴 부분이 점점 늘어만 가고 급기야는아무것도 없이 텅 빈 듯한 느낌, 무엇인가 떠올리기 위해 생각을 하면 할수록 점점 더 하얗게 변해가는 경험은 매번 낯설고 당혹스럽기만 합니다. 책에서 받는 이러한 느낌은 독자를 혼란스럽게 하려는 작가의 의도라기보다는 오히려 독자 개개인의 개별적인 독서 경험 내지는 개개인의 정서적 반영에 의한 것이겠지요. 이를테면 나는 황정은의 소설 <백의 그림자>를 읽고 어떤 알맹이도 손에 쥐지 못한 채 오롯이 따뜻한 느낌만 받았더랬습니다. 마치 내가 공들여 책을 읽었던 것이 아니라 그저 한 번 진하게 껴안았던 것처럼 말이죠. 아, 이것도 말이 되지 않는군요. 책이 살아 있는 생명체도 아닌데 체온을 가졌을 리 만무하니까요. 아무튼 나는 책에서 받은 느낌이 다른 무엇보다 소중할 것이라는 막연한 생각을 품게 되었고, 그 느낌이 금세라도 사라질까봐 서둘러 리뷰를 쓰게 된 것입니다.

 

"은교 씨, 나는 특별히 사후에 또 다른 세계가 이어진다고는 생각하지 않고요, 사람이란 어느 조건을 가지고 어느 상황에서 살아가건, 어느 정도로 공허한 것은 불가피한 일이라고 생각했거든요. 인생에도 성질이라는 것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면, 그것은 본래 허망하니, 허망하다며 유난해질 것도 없지 않은가, 하면서요. 그런데 요즘은 조금 다른 생각을 하고 잇어요. 어떤 생각을 하느냐고 나는 물었다. 이를테면 뒷집에 홀로 사는 할머니가 종이 박스를 줍는 일로 먹고 산다는 것은 애초부터 자연스러운 일일까, 하고. 무재씨가 말했다. 살다가 그러한 죽음을 맞이한다는 것은 오로지 개인의 사정일까, 하고 말이에요. 너무 숱한 것일 뿐, 그게 그다지 자연스럽지는 않은 일이었다고 하면, 본래 허망하다고 하는 것보다 더욱 허망한 일이 아니었을까, 하고요." (P.144)

 

소설의 배경이나 이야기의 뼈대는 하나도 중요하지 않았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처음부터 말이지요. 그림자가 일어선다는 이야기, 일어선 제 자신의 그림자를 쫓아 한참이나 따라간다는 이야기, 나는 예전에 읽었던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 <세계의 끝과 하드보일드 원더랜드>를 떠올렸습니다. 그리고 이 소설의 주인공인 은교와 무재가 기척도 없이 등장합니다. 두 사람은 도심 재개발 사업으로 철거를 목전에 둔 낡은 전자상가에서 근무합니다. 별다른 설명이 있었던 것은 아니지만 그곳에서 일하는 모든 사람들은 우리가 사는 도시와는 전혀 다른 부류의, 도심 속의 섬주민 같은 느낌을 받았습니다.

 

소설은 자세한 묘사보다는 오히려 간결한 설명과 대사 위주로 이야기를 전개시키고 있습니다. 게다가 은교와 무재가 나누는 대화는 어휘의 반복을 통한 운율감과 상징적인 특정 단어를 강하게 부각시킴으로써 주인공의 심리와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그것은 마치 길게 이어지는 산문시를 읽고 있는 듯한 느낌을 갖게 합니다. 그리스의 서사시 호메로스나 일리아스를 읽는 것처럼 문장 하나하나에서 정제된 아름다움과 여백을 느끼게 되는 것도 그런 까닭입니다.

 

"은교 씨, 뭘 그렇게 걱정하나요, 너무 어두워서요, 밤이니까 어둡죠, 그게 아니고요, 너무 어두워서, 정말로 밝은 곳에 당도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요, 왜 그런 말도 안 되는 생각을 해요, 말은 안 되는데요 무재 씨, 자꾸자꾸 드네요, 그런 생각이, 하고 대화를 나누다가 전방이 나루터임을 알리는 팻말의 반사광을 보았다." (P.163)

 

이상하게도 은교와 무재의 일상에서는 도시인의 맹목적성이 보이지 않습니다. 이를테면 언제쯤 결혼을 하고, 얼만큼의 돈을 모아 어떤 집을 사고, 몇 명의 아이를 낳아 어떻게 키우겠다는 식의 흔한 목적의식 말이지요. 그들의 하루하루는 그저 물 흐르듯 그렇게 흘러갈 뿐입니다. 노래 가사 속 '콩밭 매는 아낙'의 처지가 안쓰러워 '칠갑산'을 차마 부를 수 없다는 무재와 그만큼이나 순수한 심성을 지닌 은교의 연애담은 얼핏 한 편의 동화를 보는 듯 따뜻합니다. 그러나 스러져가는 전자상가에서 생계를 꾸리고 있는 은교와 무재를 둘러싼 환경은 비정하기 이를 데 없습니다. 주인공의 따뜻한 심성과 냉혹한 도시 생태계의 비정함이 극명하게 대비됩니다.

 

"문턱에 코를 댄 채로 나뭇결이라고 진작되는 어두운 얼룩을 들여다보며 젖은 듯 마른 듯한 문턱 냄새를 맡고 있었다. 차라리, 라고 생각했다. 어두운 것이 되면 이미 어두우니까, 어두운 것을 어둡다고 생각하거나, 무섭다고 생각하는 일은 없지 않을까, 아예 그렇지 않을까, 어둡고 무심한 것이 되면 어떨까, 그렇게 되고 나면 그것은 뭘까, 뭐라고 부를 수 있을까, 아 모르겠다, 모르겠어, 모르도록 어두워지자, 이참에, 라고 생각하며 눈을 뜨는데 전화벨이 울렸다." (P.90)

   

작가가 생각하는 도시 소시민의 삶은 절망과 무력감 속에 묶여 제 자신의 그림자, 자신이 만든 어둠에 하염없이 이끌려 가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들이 겪는 실존적 위기는 익숙한 어둠과 자포자기의 생활방식, 희망이 없는 현실이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메르스 사태가 벌써 두 달째를 맞고 있습니다. 무능한 정부 때문에 빚어진 국민들의 극심한 불안과 공포, 곳곳에서 예견되는 암울한 미래, 내 이웃의 지금 모습은 소설 속 은교와 무재의 모습과 조금도 다르지 않습니다. 우리는 어쩌면 다들 제 자신의 그림자를 쫓아 죽음을 향해 달려가고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아무런 목적도 없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