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못은 우리 별에 있어
존 그린 지음, 김지원 옮김 / 북폴리오 / 201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운하가 바라다보이는 암스테르담의 멋진 식당에 당신과 당신이 사랑하는 사람이 함께 앉아 있어요. 음, 연인이거나 방금 전 첫눈에 반한 사람이거나. 아무튼 당신 앞의 그 사람으로부터 '나는 아직 당신의 아름다움에 익숙해지지 않았다.'는 말을 듣게 된다면 당신의 기분은 어땠을까요? 어쩌면 당신은 당신의 기분을 숨긴 채 도도한 척 자세를 흐트러뜨리지 않으려 노력할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그 커플이 당신과 당신의 연인이 아닌 말기 암을 앓고 있는 한 소녀와 골육종으로 한 쪽 다리를 잃은 소년의 대화라면, 운하 위로 미끄러지듯 석양이 흐르고 있다면...

 

존 그린의 소설 <잘못은 우리 별에 있어>는 드라마나 소설에서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비극적 스토리를 다룬, 말하자면 특별하지 않은 소설이라고 할 수도 있겠습니다. 다만 죽음을 앞둔 십대의 시각에서, 고통 속에서 남들보다 먼저 수동적 죽음을 맞이해야 하는, 그리고 얼마 남지 않은 삶에서 그들이 발견해야 하는 사랑과 죽음의 의미를 소설로 옮기기 위해 '노력'했다는 것이 이 소설이 다른 소설과 구분되는 점이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제가 '노력'이라고 썼던 이유를 굳이 설명하자면 소아암을 앓는 대부분의 십대들이 죽음이나 사랑의 의미를 제대로 깨닫기도 전에 세상과 결별하게 된다는 사실입니다. 적어도 작가는 자신의 소설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이 그런 무의미한 죽음을 맞는 꼴은 원하지 않았던 모양입니다. 아마도 작가는 자신이 깨달았거나 희미하게 눈치채고 있는 삶의 비의를 그들을 통하여 내보이고 싶었던 게 아닌가 싶습니다.

 

"난 지상에서 잊히는 게 두려워. 하지만 내 말은, 우리 부모님처럼 말하고 싶지는 않지만 난 사람이 영혼을 갖고 있다고 믿고, 영혼 간의 대화를 믿어. 망각에 대한 두려움은 다른 거야. 내가 목숨을 잃는 대가로 아무것도 내놓을 수 없을지 모른다는 게 두려운 거지. 위대한 선을 추구하는 삶을 살지 않았다면, 최소한 위대한 선을 위해서 죽어야 하지 않겠어? 난 내 삶도 죽음도 그렇게 의미있지 않을까 봐 두려워." (p.178)

 

소설에 등장하는 헤이즐은 열세 살에 4기 갑상선 암 판정을 받았고 암세포가 폐로 전이된 상태입니다. 집 밖으로 거의 나가지 않는 헤이즐이 걱정이 되었던 헤이즐의 엄마는 그녀에게 서포트 그룹 집회에 참석할 것을 권합니다. 그 모임은 암을 앓고 있는 십대들의 모임이었죠. 그곳에서 헤이즐은 맘에 드는 남자 아이를 만납니다. 그 소년의 이름은 어거스터스 워터스. 그는 비디오 게임을 좋아하고, 헥틱 글로우 밴드의 노래를 즐겨 듣는 열일곱 살의 소년으로서 여느 십대의 아이들과 크게 다르지는 않았지요. 농구 선수였던 그는 골육종을 앓는 바람에 다리 하나를 잃었습니다. 어거스터스는 헤이즐이 영화 <브이 포 벤데타>의 여주인공 나탈리 포트만을 닮았다며 자신의 집에서 영화를 보여줍니다. 그리고 책을 좋아하는 헤이즐에게 비디오 게임을 소설화한 <새벽의 대가>를 빌려주고 자신도 헤이즐이 좋아하는 <장엄한 고뇌>를 빌려 읽게 됩니다.

 

"제 이름은 헤이즐이에요. 어거스터스 워터스는 제 인생의 운명적이고 위대한 사랑이었습니다. 저희의 사랑은 웅장한 러브 스토리였고 아마 그 이야기를 한 마디라도 한다면 여기가 온통 눈물바다가 될 거예요. 거스도 알고 있어요. 알고 있죠. 전 저희들의 사랑 이야기는 하지 않을 겁니다. 왜냐하면 모든 진짜 사랑 이야기가 그렇듯 이건 저희와 함께 사라질 거고, 그래야 마땅하니까요. 전 그가 절 위해 추모사를 읽어 주길 바랐어요. 왜냐하면 달리 그래 주길 바라는 사람이 없으니까......" (p.272)

 

위에 인용한 문장은 헤이즐이 어거스터스의 장례식에서 읊었던 추모사입니다. 그들의 운명적이고 위대한 사랑은 아마도 은둔 작가 피터 반 호텐이 쓴 <장엄한 고뇌> 덕분이었을 것입니다. 미완성으로 끝난 <장엄한 고뇌>를 헤이즐이 특히 좋아했던 이유는 작가 피터 반 호텐이 죽는다는 게 어떤 것인지 누구보다도 잘 이해하고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었죠. 헤이즐은 <장엄한 고뇌>의 뒷부분이 무척이나 궁금했습니다. 그런 그녀를 위해 거스(어거스터스의 애칭)는 작가가 살고 있는 암스테르담으로의 여행을 성사시킵니다. 그러나 그들이 만난 피터 반 호텐은 술에 의지하여 사는 배뷸뚝이 아저씨에 불과했고, 그로부터 소설의 뒷이야기는 결코 들을 수 없었지요.

 

"물론 나도 피터 반 호텐이 제정신이기를 바라고는 있지만, 세상은 소원을 들어 주는 공장이 아니다. 중요한 건 문이 열렸다는 거고 내가『장엄한 고뇌 』 뒷이야기가 어떻게 되었는지를 알 수 있는 문지방을 넘어섰다는 거였다. 그걸로 충분했다" (p.193)

 

암스테르담으로 떠나기 전 사실 거스는 골육종이 재발한 상태였습니다. 같이 동행했던 헤이즐의 엄마와 집에 남아 있던 헤이즐의 아빠는 이미 거스의 부모님으로부터 들어 알고 있던 사실이었지만. 그 사실을 헤이즐만 까맣게 모르고 있었던 것입니다. 거스는 자신의 병을 숨긴 채 마지막이 될지도 모르는 헤이즐과의 특별한 여행을 위해 최선을 다합니다.

 

"사람들은 암환자들의 용기에 대해 이야기하고, 나도 그런 용기를 부정하지 않는다. 나 역시 몇 년이나 바늘로 찔리고 칼로 찢기고 약물을 투여당하면서 어떻게든 버텨왔으니까. 하지만 착각하지 마라. 그런 순간마다 나는 매우, 대단히 기쁘게 죽어 버리고 싶었다." (p.114)

 

소설의 결말은 누구나 에측할 수 있는 시시한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거스는 죽고 <장엄한 고뇌>의 뒷부분을 그토록 알고 싶어 했던 헤이즐을 위해 거스는 자신이 상상한 글을 작가 피터 반 호텐에게 보냅니다. 헤이즐의 추도문으로 말이죠. 죽어가면서도 거스는 홀로 남겨지게 될 헤이즐을 생각했던 것입니다. 다소 우울하고 칙칙할 듯한 소아암 환자들의 사랑 이야기를 제가 조금 특별하게 읽었던 이유는 따로 있었습니다. 작가는 이 소설 내내 십대들의 언어와 행동을 사실적으로 묘사함으로써 죽음에서 풍기는 우울한 분위기를 걷어내려고 부단히 '노력'했기 때문입니다. 군데군데 작가의 생각이 드러나긴 하지만 말입니다. 가령 헤이즐의 아빠가 헤이즐에게 들려 준 다음과 같은 문장이 그런 예이겠지요.

 

"대학 시절 수학 수업을 들은 적이 있단다. 작고 나이 든 여교수님이 가르치시는 굉장히 훌륭한 수학 수업이었지. 선생님께서는 푸리에 변환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시다가 말하던 중에 갑자기 멈추시고는 그러셨지. '가끔 우주는 자신을 알아주기를 바라곤 하는 것 같아.' 그게 내가 믿는 거란다. 난 우주가 자신을 알아채 주길 바란다고 믿는다. 우주가 의식에 대해 편견을 갖고 있지 않고, 지성에 대해 어느 정도 보상을 해 준다고 생각한단다. 우주는 그 우아함을 사람들이 관찰하는 것을 즐기기 때문이지. 그리고 유한한 시간 속에서 살고 있는 내가 도대체 뭐라고 우주가, 최소한 내가 본 우주가 일시적인 거라고 말하겠니?" (p.236)

 

남들은 평생을 두고(대략 칠,팔십 년은 되겠지만) 천천히 배워가는 삶의 의미를 소아암 환자들은 불과 몇 년 만에 압축해서 깨달아야 한다고 강요하는 것 같아 마음이 아플 때가 있습니다. 예컨대 가정 형편이 좋지 않은 아이가 고사리 같은 손으로 설거지를 하는 모습을 지켜볼 때의 마음이겠지요. 어쩌면 초등학생에게 미적분을 이해시키려 노력하는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세상에 두 종류의 어른들이 있다는 생각을 했다. 피터 반 호텐처럼 뭔가 상처를 줄 만한 존재를 찾아 세상을 헤집고 다니는 비참한 생명체들이 있다. 그리고 우리 부모님처럼 좀비처럼 세상을 돌아다니며 계속 걷기 위한 모든 일을 의무적으로 하는 어른들도 있다. 둘 중 어떤 미래도 그다지 매력적으로 느껴지지 않았다. 내가 이미 세상의 모든 순수하고 좋은 것들을 다 보았다는 생각이 들었고, 설령 죽음이 앞을 가로막지 않는다 해도 어거스터스와 내가 나눈 것 같은 종류의 사랑은 영원히 지속될 수 없는 게 아닐까 하는 의심이 들기 시작했다." (p.289)

 

가을비가 소리도 없이 내리고 있군요. 괜스레 쓸쓸해집니다. 누군가의 죽음이, 그 사람으로부터 받았던 사랑으로 인해 다른 누군가의 삶에 상처가 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치유되지 않는 깊은 상처로 남아 살아 있는 한 사람의 삶마저 파괴한다면 그것은 비극입니다. 그렇게 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문득 들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