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어렸을 적엔 주변에서 많은 까마귀들을 볼 수 있었습니다.  그만큼 까마귀는 흔한 새였습니다.  반면에 까치는 자주 볼 수 있는 새가 아니었죠.  하여, 집 근처의 나무 위에서 까치라도 우는 날이면 좋은 소식이 오려나 생각하며 괜히 들뜨고 반겼던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요즘에는 그 반대가 된 듯합니다.  까치의 개체수가 어찌나 많은지 농촌에서는 까치를 유해조수로 지정하였고 힘들여 키운 농작물을 까치로부터 지켜내고자 안간힘을 쓰더군요.

 

까마귀는 예로부터 죽음을 상징하는 불길한 새로 여겼습니다.  그래서인지 제가 어렸을 적엔 온 마을에 죽음이 만연했었습니다.  죽음은 갓 태어난 아기서부터 나이 든 노인에 이르기까지 노소를 구분하지 않고 달려들었습니다.  역설적이게도 그렇게 죽음이 만연한 곳에서는 희망도 만연한 법이지요.  마을의 성황당에는 사람들이 수시로 드나들었고 어쩌다 보게 되는 까치와 같은 미물에게도 자신의 바람을 기원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저는 언제부턴가 희망은 '유한성을 인식하는 자의 조급함'이라고 규정하며 살고 있습니다.  조금 어렵지요?  죽지 않고 영원히 산다면 굳이 오늘 당장, 또는 가까운 시일 안에 무엇인가 이루어지기를 희망하는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삶은 끝이 보이지 않는 로프처럼 단조롭고 지루한 것이겠지요.  반면에 죽음이 코앞에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작든, 크든 무엇인가를 갈구하고 이루어지기를 간절히 바랄 것입니다.  유한성을 인식하는 것이죠.  더구나 시일이 촉박하니 조급해질 수밖에요.

 

까치만 보이는 요즘에는 우리의 삶에 오직 희망만 넘쳐나는 것처럼 보입니다.  예나 지금이나 사람이 사는 곳에 죽음이 아주 없어질 수는 없겠지요.  그러나 시대가 변하여 누구의 죽음, 아무개네 집 초상을 온 몸으로 느끼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병원의 장례식장이나 종교시설에서 치뤄지는 애도의 현장은 너와 나를 구분할 수 없는, 판에 박은 듯한 모습으로 변질되어 버렸습니다.  죽음을 터부시하는 요즘 사람들이 죽음을 그저 눈에 보이지 않도록 숨기거나 기피하기 때문이지요.  죽음은 이제 가까이서 느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한참이나 멀리 떨어진, 어쩌면 현재는 사라지거나 잊혀진 어떤 것이 되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죽음이 삶으로부터 멀어진 요즘, 기다렸다는 듯 까치가 온 산천을 뒤덮고 까마귀는 자취를 감추는 걸 보면서 느껴지는 게 많습니다.  그러나 말이죠.  이렇듯 희망만 있고, 죽음이 멀어진 시대가 좋기만 한 것일까요?  이제 희망이라는 단어는 너무도 흔한 것이 되었고, 죽음이라는 유한성을 인식하지 않는 사람들은 간절함이나 조급함을 갖지 않게 되었습니다.  희망은 이제 옛적의 희망이 아닙니다.  죽음은 없고 희망만 남은 까닭이지요.  간절함이 사라진 희망을 희망이라 말할 수 있을까요?  어쩌면 우리는 죽음을 잊음으로써 희망도 함께 잃었던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nine 2014-03-01 15: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유한성을 인식하는 자의 조급함', 희망에 대한 이런 멋진 정의는 처음 봅니다.

꼼쥐 2014-03-02 14:02   좋아요 0 | URL
에구구구. 부끄러워요.
hnine님의 글에 비하면 아무 생각없이 쓴 글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