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도 천재는 아니었다
김상운 지음 / 명진출판사 / 2008년 9월
평점 :
품절



아들이 초등학교에 입학을 했다.
불과 일년  전만 하더라도 '애들은 열심히 놀고 건강하면 되지 공부하라고 들볶을 필요까지야....' 했던 내가 막상 아들이 초등학교에 입학하면서 조금씩 생각이 바뀌는 걸 보면 나도 영락없는 한국의 학부형이다.
동네의 작은 서점에 들러 이 책, 저 책을 뒤적이다 눈에 들어온 것이 겨우 '아버지도 천재는 아니었다' 라니....
예전의 내 모습을 기억하는 지인들은 그럴 것이다.
"너도 별 수 없구나.  학년이 올라갈수록 애보다 부모가 더 몸이 달을테니 두고 봐라." 
서점을 나서는 내 뒷꼭지가 불편하다 느꼈던 것은 괜한 자격지심이었을 게다.
책의 내용은 우리가 흔히 보았던 성인용 자기계발서에서 더 나아간 것이 없다.
방송기자로 일하는 저자가 "왜 나를 천재로 낳아주지 않았냐?"는 딸의 푸념에 이 책을 쓰게 되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저자 자신이 딸과 대화를 하듯 다정한  문체로 자신이 겪었던 에피소드를 섞어 조곤조곤 이야기를 풀어가고 있다.
생각의 힘과 몰입의 중요성, 목표의식과  마음관리의 방법 등 우리가 흔히 접하는 자기계발서의 내용과 특별한 차이를 느끼기 어렵지만 딸에 대한 아버지의 사랑을 읽을 수는 있겠다.
공부에 대한 자신만의 철학이 없는 사람이 있을까마는 내가 느끼는 공부의 핵심은 동기의식과 지속성이었다.  공부를 왜 해야 하는지 그 분명한 이유를 납득해야 하고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공부가 재밌어야 한다는 것이다.  자랑같지만 나는 학창시절에도 공부가 재밌었고 지금도 여전히 공부는 재밌는 오락처럼 느끼고 있다.
아마도 내가 중학교  1학년 시절이지 싶다.
당시 내가 다녔던 남자 중학교에는 유난히 여선생님의 수가 적었다.   지금이야 오히려 남자 선생님의 수가 적다고 아우성이지만 그때는 예체능 과목을 빼면 여선생님을 구경하기 힘들었다.   그래서 교생 실습을 나오시는 선생님들 중에 여선생님이 있으면 모든 학생들의 관심이 그분께 집중될 수 밖에 없었다.
어느 날 사회 과목을 담당하는 교생 선생님이 실습을 나왔다.
늘 뒤에서 담당 선생님의 수업을 참관만 하시더니 하루는 교생 선생님이 직접 수업을 하신단다.  사춘기 사내아이들이 다 그렇겠지만 싱글벙글 하는 아이들 표정에서 들뜬 분위기를 느낄 수 있었다.  교생 선생님의 자기 소개와 짧은 수업 그리고 이어지는 질문 시간.
나는 기회가 왔다고 내심 쾌재를 불렀다. 

더구나 선생님은 어떤 질문이라도 상관없다고 말씀 하지 않으셨던가. 
"선생님, 코샤크족이 뭐예요?"
일순 교실이 조용해지고 선생님의 얼굴이 빨갛게 변하더니 말조차 더듬으셨다.
조금 경력이 있는 분들이라면 대충 얼버무리고 마셨을테지만 처음 강단에 서신 그 선생님은 그럴만한 융통성이 없었다.   선생님은 종이 울리기도 전에 출석부 챙기는 것도 잊은 채 교실을 뛰쳐나가셨다.  그 이후 수업이 몇번 더 있었지만 질문은 받지 않으셨고 책을 읽으실 때는 나를 요주의 학생으로 생각하셨던지 강단을 내려와 내 주위를 맴돌았다.
가끔 퇴근시간에 나와 몇몇 친구들을 불러 학교 앞 빵집에서 빵을 사주시기도 하며 가깝게 지낼 수 있었던 것도 따지고 보면 다 그때의 질문 덕분이었다.
물론 나는 질문을 하기 전에 이미 그 답을 알고 있었다.  고골리의 < 대장  불리바>나  미하일 숄로호프의 <고요한 돈강>을 여러 번 읽었던 나는 코샤크족에 대하여 누구보다도 잘 설명할 수 있었다.   그 이후 나는 '공부는 정말 재밌는 것이구나' 라고 진심으로 느꼈다.
비록 공부가 인생의 전부는 아닐지라도 공부에 한번쯤 미쳐본 사람만이 그 말을 할 자격이 있다고 나는 믿는다.
나는 아직도 공부가 재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