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려함보다 단순함을 추구한다는 건 좋은 징조가 아닐지도 모릅니다. 화려함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남들보다 조금 더 발품을 팔아야 하고, 조금 더 욕심을 부려야 하고, 타인에 대한 배려보다는 자신의 만족을 더 우위에 두어야 한다는 걸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기운이 넘치지 않고서는 화려함을 추구하기 어렵다는 의미이겠지요. 박경리 작가의 유고시집 <버리고 갈 것만 남아서 참 홀가분하다>를 이따금 들춰보곤 합니다. 당신의 삶이 평탄했더라면 글을 쓰지 않았을 것이라던 작가는 삶이 문학보다 먼저라는 말씀도 덧붙이셨습니다.
자신의 삶에서 단순함을 찾는다는 건 나이가 들었다는 뜻입니다. 화려하고 오밀조밀 귀여운 것만 탐하기에는 정력이 부족한 탓입니다. 그러나 녹음이 무성한 한여름에는 숲의 본질을 볼 수 없는 것처럼 화려한 것만 눈에 띄던 젊은 시절에는 삶의 참뜻을 알기 어려운 법이지요. 기운이 없어서 삶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가재도구와 옷가지를 겨우 갖추고 살 나이가 되면 그제야 겨우 삶의 본모습이 보일지도 모르겠습니다. 흐리고 약하게 바람이 불던 오늘의 아침 날씨는 금세 변하여 무덥고 습한 날씨로 되돌아가고 말았습니다.
나는 환기를 하기 위해 베란다 창문을 열면서 가볍게 부는 바람이 반가워 <새벽 세시, 바람이 부나요?>를 문득 떠올렸습니다. 그렇습니다. 독일 작가 다니엘 글라타우어의 소설이지요. 처음부터 끝까지 두 사람의 이메일로 꾸려지는 독특한 형식의 소설이었습니다. 나는 이 소설을 생각할 때마다 삶의 쓸쓸함과 함께 서늘한 한기를 느끼곤 합니다. 그리고 소설의 형식 때문인지 헬렌 한프의 소설 <체링크로스 84번지>도 함께 떠올리는 건 나만의 습관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아주 이따금 존 버거의 소설 <A가 X에게>가 떠오르기도 합니다.
나도 이제 화려함보다는 단순함을 선호하는 쪽으로 취향이 변하고 있습니다. 화려하거나 복잡한 것을 감당하기에는 여력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예전의 어느 포스팅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나이가 들면서 귀가 어두워지고 눈이 나빠지는 건 어쩌면 타인의 단점을 젊은 시절처럼 세세히 보거나 듣지 말라는 신의 뜻일지도 모르겠습니다.
기온이 빠르게 오르고 있습니다. 오늘도 무더운 하루가 되겠지요. 나는 어쩌면 이 더위를 잊기 위해 다니엘 글란타우어의 소설 <새벽 세시, 바람이 부나요?>를 찾아 읽게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삶의 쓸쓸함과 서늘한 한기가 어깨 위로 가득 내려앉는 걸 기대하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