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탈로니아 찬가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6
조지 오웰 지음, 정영목 옮김 / 민음사 / 200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간'보다 더 큰 그릇을 알지 못한다. 매 순간 지구에 사는 수십억 명의 기억을 담아내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것을 지구가 아닌 우주의 차원으로 넓힌다면 '시간'은 가늠할 수 없는 용량으로 늘어날 수도 있겠지만 말이다. '시간'에 담긴 인류의 과거 기억들을 찾아 여행을 떠나다 보면 장소와 시간은 다르지만 현재의 상황과 흡사한 어떤 사건들과 더러 마주치게 된다. 역사는 끝없이 반복되는 까닭에 실체적인 사실은 기록을 통해 확인한다고 하지만 기록되지 않은 개개인의 감정이나 느낌은 또 어찌하랴. 우리는 역사 속 실체가 업는 누군가의 감정이 그리울 때 그 시절에 쓰인 시를 읊거나 소설을 읽는다. 그렇게 우리가 시대를 오가며 감정을 공유하는 까닭은 변하지 않는 인간의 도리를 '시간' 속에서 배울 수 있기 때문이다. 조지 오웰의 <카탈로니아 찬가> 역시 그런 소설 중 한 권이 아닐까. 인간이라면 마땅히 읽어야 할, 스페인 내전에서 죽어간 어떤 순수한 영혼을 통해 밝혀진 불멸의 정의를 깨우치는 기회를 갖기 위해.


"나는 신문 기사를 쓸까 하는 생각으로 스페인에 갔다. 하지만 가자마자 의용군에 입대했다. 그 시기, 그 분위기에서는 그것이 해볼 만한 가치가 있는 유일한 일이었기 때문이다. 그때까지도 카탈로니아는 무정부주의자들이 실질적으로 장악하고 있었다. 혁명은 여전히 활발하게 진행중이었다."  (p.11)


일반 독자들이 하는 조지 오웰에 대한 가장 큰 오해는 그가 단지 <1984>나 <동물농장>과 같은 소설을 통해 문단에 진출했을 거라는 막연한 추측이다. 그러나 이튼을 졸업한 후 대학에 진학하지 않았던 그는 인도 제국경찰에 들어가 버마(미얀마)에 부임하였고, 그곳에서 제국주의의 모순과 한계를 절감하였던 그는 제국주의의 허상을 비판하는 일에 누구보다도 앞장서게 되는데 그것이 그가 문필 활동을 하게 된 계기였다고 한다. 파리에서 노숙자 생활을 경험했던 그가 그때의 기억을 되살려 쓴 르포르타주 <파리와 런던의 밑바닥 생활>, 잉글랜드 북부 노동자의 가난한 삶을 그린 <위건 부두로 가는 길>, 1937년 1월 스페인 통일노동자당 민병대 소속으로 스페인 내전에 참전하여 바르셀로나 전선에서 목에 총상을 입고 스페인을 탈출하여 프랑스로 건너간 후 그때 느꼈던 이데올로기에 대한 환멸을 기록한 <카탈로니아 찬가> 등은 기자 혹은 에세이스트로서의 그의 역량을 여실히 드러낸 작품으로서 많은 비평가들도 인정하는 바 나 역시 산문가로서 조지 오웰의 천재성을 실감하게 된다.


"아침 5시, 한쪽 구석에서 있었던 일이다. 아침 5시는 늘 위험한 시간이었다. 동이 트면서 해를 등지게 되기 때문이다. 흉벽 위로 머리를 내밀면 하늘을 배경으로 머리 윤곽이 뚜렷이 드러났다. 나는 보초들에게 교대 준비를 하라고 이야기하고 있었다. 무슨 말을 하는 도중이었는데 갑자기 어떤 느낌이 왔다. 아주 생생하게 기억하기는 하지만, 그 느낌을 말로 표현하기는 무척 어렵다. 대략적으로 말해서, 폭발 한가운데 서 있는 느낌이었다. 크게 꽝 하는 소리와 함께 사방으로 빛이 번쩍거려 앞이 보이지 않았다. 나는 엄청난 충격을 느꼈다." 통증은 없었다. 아주 격렬한 충격만 느꼈을 뿐이다. 전극에 몸이 닿았을 때의 느낌과 동시에 완전한 무력감을 느꼈다. 짓눌리고 움츠러들어 무(無)로 변해버리는 느낌이었다."  (p.238)


자신의 의용군 체험담과 아울러 스페인 공산당에 대한 고발을 담은 <카탈로니아 찬가>는 조지 오웰의 이력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소련이 연합국의 일원이었던 관계로 소련에 대한 비판을 쉬쉬하는 분위기였지만 오웰은 "서양의 사회주의 운동에 소련의 신화가 끼친 부정적 영향"에 맞서 싸우려 노력했다는 점이다. 조지 오웰은 자신이 왜 의용군에 입대해 싸웠는지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무엇을 위해 싸우느냐고 묻는다면 '공동의 품위를 위해서'라고 대답했을 것이다."라고. 어쩌면 우리는 민주주의의 핵심 가치인 '공동의 품위'를 너무 등한시하며 살아가고 있는지도 모른다. '법은 만인에게 평등하지 않고 만 명에게만 평등하다.'고 비꼬았던 고 노회찬 의원의 말이 지금도 생생하다.


"이상한 일이지만, 그 경험 전체를 통해 인간의 품위에 대한 나의 믿음은 약해지기는커녕 오히려 강해졌다. 내가 한 이야기가 사람들을 오도하지 않기 바란다. 이런 문제에 대해서는 누구도 완벽하게 진실하지도 않고 또 진실할 수도 없다고 생각한다. 자신의 눈으로 직접 본 것 외에는 그 어떤 것에 대해서도 확신하기 힘들며, 모두가 의식적이건 무의식적이건 당파적인 입장에서 글을 쓰게 된다."  (p.294)


조지 오웰을 떠올릴 때마다 나는 언제나 김훈 작가를 생각하곤 한다. 두 사람 모두 저널리스트로서 문단 활동을 시작했다는 점에서 글의 논리성이나 문장의 적확성을 따지는 면에서 무척이나 닮아 있다. 다만 자신이 살고 있는 시대의 맹점이나 허점을 적극적으로 비판하고자 했던 조지 오웰에 비해 김훈 작가는 너무나 나약한 측면이 있는 건 사실이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민간인 학살, 윤석열 정권의 민주주의 파괴 등 우리가 직면한 위기를 가장 먼저 감지하여야 하는 이가 모든 예술가라면 이에 가장 선봉에 서서 저항해야 할 사람들 역시 바로 그들일 것이다. 문학이, 그림이, 음악이 지구인의 아픔을 보듬지 않는다면 그것은 다만 헛된 노력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그 정도의 작품은 감정이 없는 인공지능에 맡겨도 충분할 테니까 말이다. 우리가 예술을 감상하는 까닭은 서로의 가슴으로 흐르는 감정을 공유할 수 있기 때문일 터 그것이 없다면 예술은 무슨 소용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