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정과 열정사이 Rosso (리커버) 냉정과 열정 사이
에쿠니 가오리 지음, 김난주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들 대부분이 알고 있는 톨스토이의 명대사 '행복한 가정은 모두 서로 비슷하고, 불행한 가정은 각기 달리 불행하다.'의 의미에 대하여 이따금 생각할 때가 있다. 그러다 보니 다른 일을 하다가도 불현듯 습관처럼 떠오르곤 하는 것이다. 톨스토이의 소설 <안나 카레니나>의 첫 문장이기도 한 이 대목은 소설을 읽은 사람이건 읽지 않은 사람이건 입에서 입으로 회자되며 제법 유명세를 타기도 했지만 톨스토이 자신이 어떤 의미에서 이 문장을 꺼내 들었을까 하는 작가의 의도 또는 작가의 철학적 기반에 대해서는 이것이다 하고 답을 내기 어려운 게 사실이기 때문이다. 그런 까닭에 수많은 독자의 한 사람으로서 나는 작가가 생각했던 그 말의 진의에 대해서 곰곰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에쿠니 가오리의 소설 <냉정과 열정 사이 ROSSO>를 읽으면서도 나는 아주 오래된 습관처럼 그 문장을 떠올렸다. 바삭바삭 부서질 것처럼 건조하고 짧은 호흡의 문체에 소설 속 주인공 아오이의 행복한 일상이 얹히는 것은 꽤나 이질적인 조합으로 읽혔기 때문이었다. 일본 교포 출신의 주인공이 이탈리아라는 특별한 공간에 거주하는 것도, 그곳에서 포도주 수입상을 하는 미국인 남자친구 마빈을 만나 동거를 시작하는 것도, 자신에게 거의 모든 것을 허락하고 헌신적으로 대하는 남자친구 덕분에 행복한 일상을 이어가는 것도 행복의 무작위성을 보여주는 하나의 작은 사례쯤으로 여겨졌다. 사실 현실에서의 행복은 우리가 누군가로부터 무작위로 받게 되는 하나의 작은 선물과 같은 것이며 우리가 의도한다고 해서 작위적으로 성취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반면에 현실에서의 불행은 부지불식간에 일어나는 일이긴 하지만 그것은 모두 자신의 선택에 의한 결과물임을 알게 된다. 비록 우리는 자신의 불행이 스스로의 선택에 의한 것이라는 사실을 극구 부인하곤 하지만 말이다. 톨스토이는 어쩌면 행복의 이러한 무작위성과 불행의 개별성에 대해 말하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믿을 수 없을 정도로 가는 비가 잎을 흔들고, 공기를 흔들고, 7월의 거리를 적시고 있다. 사륵사륵 희미한 빗소리가 끊임없이 들리고, 시간도, 장소도, 모든 것이 형태를 빼앗기고 만다. "따분하지 않아?" 태산목을 지나, 오른쪽 정원을 따라 이어지는 검정색 철책을 손가락으로 만지면서 걷고 있던 안젤라가 조그만 목소리로 물었다."  (p.65)


교포 출신의 아오이는 일본에서 밀라노로 다시 돌아온 지 삼 년째이다. 주택가의 작은 보석 가게에서 일주일에 사흘만 일하면서 한가하고 조용한 생활을 이어가고 있다. 밀라노에서 사업을 하는 마빈은 보석 가게의 손님으로 왔다가 아오이와 사랑에 빠져 동거를 하게 된다. 무엇 하나 부족한 게 없는 마빈이지만 아오이의 가슴 한켠에는 채워지지 않는 어떤 것이 자리하고 있다. 도쿄의 대학에서 만나 연인으로 발전했던 쥰세이에 대한 그리움이 그것이다. 마빈과의 행복하고 조용한 생활이 이어지던 어느 날 마빈의 누나인 안젤라가 찾아오고 아오이의 삶에 균형을 깨는 묘한 긴장감을 던진다.


"마빈에게 등을 보인 채, 콸콸 소리를 내며 쏟아지는 뜨거운 물에 손을 대고 말했다. "나에게는 나의 생활이 있어요." 물소리, 물 냄새. "그거야 알지(I know.)." 소름이 끼칠 정도로 쓸쓸한 목소리가 들려 나도 모르게 뒤돌아보았다. "마빈." "알고 있었어. 아오이에게는 아오이의 인생이 있고, 나는 근접할 수조차 없다는 것을." 상처 입은 목소리였다. 마빈은 절망적으로 피식 웃으며 "I know"를 반복한다. 나는 후회했다."  (p.160)


마빈과의 사랑에 조금씩 균열이 생기기 시작하던 어느 날 쥰세이가 보낸 한 통의 편지가 배달된다. 완전히 털어냈다고 생각했던 쥰세이에 대한 기억은 그날 이후 조금씩 되살아났다. 그리고 마빈과 함께 시작했던 새로운 생활 속으로 되돌리기 위해 무던히도 노력했다. 그러나 모든 게 허사였다. 결국 아오이는 자신의 짐을 싸서 나와 방을 따로 얻고 보석 가게에서도 풀타임 아르바이트로 전환했다. 그럼에도 마빈은 아오이를 포기하지 않았고...


"엄마와 달리, 나는 이 도시의 인간이다. 국적이야 어떻든 간에. 창밖에는 여전히 비가 내리고 있다. 소리도 없이. 그러면서도 전혀 그칠 기미가 없다. "아오이." 페데리카의 방은 기묘하다. 방 전체가 페데리카 같다. "네?" 담배를 낀 손가락에, 오늘도 남편에게 선물 받은 묘안석 반지를 끼고 있다. "사람의 있을 곳이란, 누군가의 가슴속밖에 없는 것이란다." 페데리카는 내 얼굴도 보지 않고, 그렇게 말했다. 거의 혼자 중얼거리듯."  (p.196~p.197)


우리의 사랑이 엇갈리는 것도, 간절히 원하던 어떤 것도 결국에는 아무런 소득도 없이 무위로 돌아갈 수밖에 없는 까닭은 우리에게 주어지는 행복이 랜덤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가 누리는 행복의 형태는 서로 비슷하다. 비슷할 수밖에 없다. 우리들 각자가 만들어낸 개별적인 어떤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가 겪는 불행은 각각의 선택이 도출한 개별적인 결과물일 뿐이다. 우리는 서로 자신이 선택하지 않았노라고 자신이 믿는 신 앞에서 열 번이고 백 번이고 거짓을 고백하곤 하겠지만 말이다. 십 년 후 5월 25일 피렌체의 두오모를 함께 오르자고 했던 쥰세이와의 약속을 아오이가 기억하고 로마행 열차를 타야 했던 것처럼.


명절 연휴의 피로가 대기중에 떠도는 미세먼지처럼 탁하기만 하다. 며칠 지나면 다시 다람쥐 쳇바퀴 돌듯 비슷한 날들이 예전처럼 이어지겠지만 지금 당장의 피로를 떨쳐낼 수만 있다면 악마의 유혹에 쉽게 넘어갈 수 있을 듯하다. 우리의 불행은 언제나 우리와 가까운 곳에서 달콤한 목소리로 우리를 유혹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