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면 가장 보통의 인간 - SF 작가 최의택의 낯설고 익숙한 장애 체험기
최의택 지음 / 교양인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민족은 '정'이 많은 민족이라고 한다. 나도 그런 줄 알았다. 적어도 10여 년 전까지는 말이다. 엄밀히 말하자면 그 이전까지로 몇 년 더 거슬러 올라갈지도 모르겠지만. 대한민국을 다녀간 외국인이나 오랫동안 우리나라에 살았던 외국인들은 서로 입을 맞추기라도 한 것처럼 너도나도 한국인의 '정'에 대해 말해 왔으니까 나 역시 그런 줄 알았고, 그러리라고 믿어 의심치 않았던 게 사실이다. 나의 성장기를 뒤돌아보더라도 모두가 가난했던 그 시절의 사람들은 서로의 아픔을 그냥 지나치지 못했음은 물론 자신에게 있는 어떤 것을 타인에게 조금이라도 나누어 주고자 하는 마음이 일상이었으니까 지금도 여전히 그 오래전 풍습이 유지되고 있는 줄 알았다. 나는 그렇게 '옛날 사람'이었던 것이다. 영어 사전에도 없다는 '정'이 일종의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대한민국의 브랜드인 양 생각하며 살고 있었으니 말이다.


그러나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브랜드가 이제는 더 이상 '정'이 아니라는 사실을 나는 독서를 통해 배우고 있다. 자신의 아픔을 책으로 쓴 에세이를 읽고도 사람들은 더 이상 내 일인 양 아파하거나 눈물을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오히려 이런 마음일지도 모른다. '세상에는 이런 사람도 다 있구나.' 하는 호기심 혹은 동물원의 희귀 동물을 구경하는 듯한 신기함, 어쩌면 그런 마음에서 한 발짝도 더 나아가지 않으려 하는지도 모른다. 물론 그렇지 않은 사람들도 더러 있겠지만 말이다. 하지만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다수의 국민들이 그럴진대 대한민국의 브랜드가 더 이상 '정'이라고 말할 수도 없는 현실 아닌가. 나는 최의택 작가의 에세이 <어쩌면 가장 보통의 인간>을 읽는 내내 그런 생각이 머릿속에서 떠나지 않았다.


"나는 마지막으로 펜을 손가락 사이에 끼워 단단히 고정한 다음 자퇴서에 서명했다. 그리고 보조 선생님과 함께 엄마가 기다리고 있는 2층 교사 휴게실로 갔다. 2층 복도 저 끝에 가방을 들고 있는 인영이 보였다. 눈이 빛에 적응하자 엄마 얼굴이 보였는데 그 순간 나도 모르게 울음을 터뜨리고 말았다. 나는 온몸을 들썩이며 대성통곡을 했다. 엄마는 물론 보조 선생님까지 눈물을 보였다. 지금도 그때를 떠올리면 눈앞이 뿌예진다. 하지만 그 이유가 뭔지는 잘 모르겠다. 억억억 하면서 엄마랑 학교를 나서면서 그때 막연하게나마 느꼈던 건 딱 하나였다. 모든 것이 끝났다는 허망함. 그 허망함을 자초한 건 분명 나였다. 지금도 그 선택을 후회하지 않으며, 내가 살면서 내린 선택 중 가장 현명한 것이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돌이켜보면 아쉬운 부분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왜 어떤 사람의 인생은 스스로 내리치는 철퇴로 산산조각 내는 것이 최선일 수밖에 없을까."  (p.33~p.34)


근육병(선천성 근위축증)을 앓고 있는 작가는 지금까지 단 한 번도 걸어본 적 없이 오직 휠체어에 앉아 세상을 바라봐 왔고, 고등학교를 그만둔 뒤 세상과 단절된 채 집에서만 지냈다고 한다. 그렇지만 자신의 삶에 대해 쓰고 있는 책의 곳곳에는 유머가 넘치고, 이 사람이 과연 그와 같은 고통 속에서 사는 사람이 맞나 하는 의심이 들게 하는 대목도 여럿 등장한다. 책을 다 읽은 후 나는 '가장 깊은 슬픔이 가장 큰 웃음이 될 수도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뜬금없이.


"나뿐만이 아니라 우리 모두의 인생은 가까이서 볼 때, 전부는 아닐지라도 분명 비극적인 사건으로 점철돼 있다. 그러나 이 에세이처럼, 인생은 멀리서 조망하며 인생 자체를 개인이 감독으로서 재편집하는 작업을 통해 우리네 인생은 나름대로 재밌는 인생이 될 수 있을지도 모른다."  (p.222)


총 3장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 책은 작가가 세상과의 단절을 경험하면서 작가 지망생으로서의 삶을 살았던 10여 년의 기억이 담긴 1장과 2장에는 <슈뢰딩거의 아이들>로 문학상을 받고 세상에 나오기까지의 고군분투가, 그리고 3장에는 SF 소설가로서 작가가 체득한 글짓기 방법과 최의택이라는 한 인물의 세계가 그려진다. 나는 책을 읽는 동안 이따금 직장 동료들과 이 책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곤 했었다. '모든 것을 잃은 사람은 세상에 대한 기대가 크지 않기 때문에 오히려 더 긍정적인 삶을 살 수 있지 않을까요?'라고 말했던 어느 후배의 말이 아직도 귀에 쟁쟁하다.


"그럼에도 여전히 나의 마음 한 구석에는 두려움 같은 게 웅크리고 잇다. 나의 장애를 똑바로 응시함으로써 알게 되는 현실의 무게에 짓눌려버리는 게 아닐까 싶어서. 삶의 의욕 자체를 잃어버리게 되는 상황이 두렵긴 하다. 하지만 이제 와 멈출 수도 없다. 그러니 너무 무겁게 생각하지 않고 여행하는 것처럼 가볍게 가보려 한다."  (p.13 '프롤로그' 중에서)


우리는 이제 당신의 아픔이 나의 언어가 아닌, 이해도 할 수 없는 먼 이국의 언어가 되었음을 고백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그것은 당신의 아픔이 우리로부터 분리된 채 당신만의 아픔으로 남게 되었음을 의미하며, 먼지만 날리는 슬픈 내 마음의 풍경을 누군가에게 보여주는 부끄러운 현실의 한 장면이 아닐 수 없다. 그럼에도 나는 여전히 당신의 아픔이 오롯이 나의 언어로 이해되는 그날을 꿈꾸고 있다. 그날이 오면 대한민국의 브랜드도 다시 '정'으로 환원되지 않을까. 그날이 오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