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 계획이라는 게 뭐 '작심삼일'을 염두에 둔 하나의 이벤트와 같은 것이지만 이것도 사실 매년 반복하다 보면 여간 귀찮은 게 아닙니다. 그렇다고 남들 다 하는데 나만 손도 까딱 않은 채 멀뚱멀뚱 시간만 보내는 것도 쑥스럽고 꽤나 머쓱한 일이어서 억지로 동참하게 됩니다. 예컨대 아침 운동을 계획한다거나 금연 혹은 금주, 다이어트 등 지키지도 못할 약속들이 줄줄이 사탕으로 올라오게 됩니다. 물론 처음부터 어길 수는 없고 적어도 삼일은 지켜야 예의인지라 작심이일은 넘기곤 하죠. 예의상 말입니다.


천성적으로 게으름이 몸에 밴 저로서는 그마저도 귀찮다 여겨질 때가 많고, 굳이 기록으로 남겨 '빼박' 증거가 되는, 그런 미련한 짓은 안 하는 게 상책이라는 지극히 이성적인 생각을 갖고 있는 까닭에 신년 계획을 세우느라 시간을 허비하는 대부분의 집단지성(?) 추종자에서 벗어난 반지성주의자 중 한 명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렇다고 그런 나 자신이 자랑스럽다거나 부끄럽다는 어떤 감정적 견해는 갖고 있지 않습니다. 그것은 다만 현실로서 존재할 뿐이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나는 연초에 읽을 책을 고르는 데는 비교적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편입니다. 그렇다고 몇 날 며칠을 끙끙대며 고민에 고민을 거듭하는 것은 아니지만 책의 제목이나 내용, 저자에 이르기까지 꼼꼼히 살피기는 합니다. 연초에 읽기에 적당한 책인지 아닌지 나름대로 판단을 하면서...


반전은 늘 있게 마련입니다. 신중하게 골랐다고 하는 책을 반도 읽지 못한 채 슬몃 책꽂이에 꽂아 넣는다거나 책 본연의 임무를 망각한 채 일 년 내내 냄비 받침대의 역할만 묵묵히 수행하다가 장렬히 전사하는 게 그런 예외에 속하는 경우이겠지요. 아무튼 내가 연초에 고르는 책은 기분을 업시키거나 뭔가 열정적으로 몰입할 수 있는 책보다는 삶에 대해 관조적이거나 죽음을 생각하는, 말하자면 어둡고 칙칙한 주제의 책을 고르곤 합니다. 그런 측면에서도 나는 반지성주의자가 분명해 보입니다. '아침에는 죽음을 생각하는 것이 좋다'고 했던 김영민 교수의 책 제목처럼 '연초에는 죽음을 공부하는 것이 좋다'는 게 저의 생각일지도 모릅니다.


나는 지금 이유진 정신과 전문의가 쓴 <죽음을 읽는 시간>을 읽고 있습니다. 생각해 보면 우리 모두는 언젠가 죽어 땅에 묻힌다고 믿고 있지만 실상은 다른 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우리가 쓰고 버린, 부패하지 않는 시간들이 서서히 차올라 발목을 덮고, 무릎을 덮고, 시나브로 정수리를 덮는 순간 우리는 자신이 쓰고 버린 시간에 묻혀 최후를 맞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던 것입니다. 말하자면 우리는 자신이 쓰고 버린 시간에 묻혀 죽는 게 아닐까 하고 말이지요.


"삶은 고통이다. 우리는 행복하기 위해서 태어난 것이 아니다. 태어나는 과정도, 살아가는 과정도, 죽어가는 과정도 모두 고통이다. 그러니 매 순간 행복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만큼 피곤한 인생도 없다. 삶이란 애초에 고통으로 가득 차 있는데 그 고통을 완화하며 사는 것이 인생이라고 생각하는 편이 낫다. 정신분석 치료 또한 행복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조금 덜 불행하기 위해서 받는 것이라고 프로이트는 말했다."  (p.331 '에필로그' 중에서)


나는 내가 아는 모든 이들에게 덕담을 나누고 싶다. 새해에는 덜 고통스럽기를, 그런 시간을 써버리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