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읽는 삶 - 타인의 눈으로 새로운 세계를 보는 독서의 즐거움
C. S. 루이스 지음, 윤종석 옮김 / 두란노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학적 경험은 개성이라는 특권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그 개성이 입은 상처를 치유해 준다. 상처를 치유해 주는 집단적 감정들도 있지만 그것들은 개성이라는 특권을 파괴한다. 집단적 감정 속에서는 우리 개개의 자아들이 서로 뭉뚱그려지면서 개성이 흐릿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훌륭한 문학을 읽으면 나는 천의 인물이 되면서도 여전히 나로 남아 있다. 그리스 시에 나오는 밤하늘처럼 나도 무수한 눈으로 보지만, 보는 주체는 여전히 나다. 예배할 때나 사랑할 때, 또 도덕적 행위를 할 때나 지식을 얻는 순간처럼, 독서를 통해서도 나는 나를 초월하되 이때처럼 나다운 때는 없다."  (p.22)

 

책을 읽는다는 건 '인간이 할 수 있는 가장 불가사의한 경험'이라고 생각할 때가 더러 있다. 책을 읽는다는 건 단순히 글자를 읽는 것을 넘어 머릿속에서 하나하나의 장면을 상상하고, 때로는 춥거나 무덥거나 습하거나 건조한 상황을 구체적으로 인식하기도 하며, 기쁘고 슬픈 감정을 현실에서와 같이 직접적으로 체험하기도 한다. 그것은 다른 어떠한 보조장치의 도움도 없이 순전히 자신의 독자적인 인식 체계만으로 구동된다는 점에서 가상현실(VR)이나 증강현실(AR)과 구별되며, 그 어떤 가상현실보다 훨씬 더 자유롭고 세밀하게 구현된다는 점에서 현대의 과학기술이 감히 범접할 수 없는 높은 차원의 가상현실이라는 점에서 유사성을 띤다고 하겠다.

 

독서의 이점은 사실 아무리 말해도 부족한 감이 없지는 않지만 독서가 우리에게 주는 혜택을 하나의 문장으로 말하기는 또 쉽지 않다. <나니아 연대기>로 우리에게 잘 알려진 C.S.루이스 역시 '당대에 책을 가장 많이 읽은 사람, 무엇이든 읽고, 읽은 것은 전부 기억한 사람'으로 평가될 정도로 독서가 몸에 배어 있었던 사람이지만 다양한 방식으로 독서의 이점을 설파하였던 것을 보면 그 역시 독서를 한마디로 설명한다는 게 쉽지 않았던 듯하다.

 

"요컨대 시 예술 전반에서 최고 경지는 결국 일종의 물러남이다. 거기에 도달하려면 시인의 눈에 비친 세상 전체가 그의 뇌리에 아주 깊숙이 들어와 있어야 한다. 그러면 이제 시인은 길을 비켜나기만 하면 된다. 가만히 있으면 파도가 밀려오고, 산들이 잎을 흔들고, 빛이 비쳐 들고, 천체가 회전한다. 이 모두가 시를 짓는 데 필요한 소재가 아니라 그 자체로 시다."  (p.157)

 

나는 사실 이 책, C.S.루이스의 <책 읽는 삶>을 두 번째 읽고 있다. 시간이 날 때 일부분을 읽었던 것까지 포함하면 여러 번이 되겠지만 말이다. 그럼에도 나는 군데군데 이해가 되지 않는 문장을 발견하기도 하고, 전에는 미처 깨닫지 못했던 것들을 마치 보물찾기를 하듯 새롭게 발견하기도 했다. 이 모든 게 그저 신기하기만 하다. 물론 독서라는 한정된 행위에서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것 역시 제한된 것일 테지만 나는 책을 읽는 내내 육체에 갇힌 나를 잊은 채 자유로운 영혼으로 자유로운 시간을 유영했던 것이다.

 

"여기 충격적 사실이 있다. 진실하지 않고는 글을 잘 쓰기가 치명적으로 어려울 수 있지만, 진실성 자체는 누구에게도 좋은 작법을 가르친 적이 없다. 진실성은 문학적 재능이 아니라 도덕적 덕목이다. 진실성에 대한 보상을 바랄 곳은 내세이지 문단이 아니다."  (p.130)

 

단지 한 권의 책만 갖고 하루를 이토록 즐겁게 보낼 수 있다는 건 소위 '가성비'의 측면에서 단연 '갑'이라고 말할 수 있다. 토네이도가 덮쳐 순식간에 나를 날려 보낸다고 할지라도 나는 두려움 없이 그 직전까지 즐겁게 책을 읽을 수 있을 테니 말이다. 책을 읽는 동안에는 몰랐는데 그 사이에 바깥 기온이 많이 떨어졌나 보다. 으슬으슬한 한기가 온몸으로 느껴지는 걸 보니... 보일러 온도를 높여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