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으름 예찬 - 숨 가쁜 세상을 살아가는 이들을 위한 품격 있는 휴식법
로버트 디세이 지음, 오숙은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주변에는 지독한 일 중독자이거나 그와 같은 부류의 사람들이 많다. 물론 내 주변만 그렇다고 단정 지을 수는 없지만 말이다. 어쩌면 대한민국의 성인 대부분이 그럴지도 모른다. 모처럼 여가 시간이 주어져도 도무지 어떻게 써야 할지 감이 없는 사람들. 그래서인지 노는 것보다 일하는 게 편하다는 말을 거침없이 하기도 하고, 일할 때가 좋을 때라는 말을 스스럼없이 내뱉기도 한다. 게다가 자신들의 말을 증명이나 하려는 듯 휴일이면 뒹굴뒹굴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보내도 될 것을 마치 누군가로부터 쫓기는 사람처럼 안절부절 갈피를 못 잡거나 맨정신으로는 불안한 마음을 도무지 진정시킬 수 없다는 듯 서둘러 술에 취하려 드는 경우가 많다.

 

오스트레일리아 출신의 러시아 문학 연구자이자 TV 프로그램 진행자, 소설가, 에세이스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로버트 디세이는 자신의 책 <게으름 예찬>에서 '바쁘다는 말은 자신이 노예 상태에 있음을 광고하는 것'이라고 쓰고 있다. 평소에 우리가 자랑처럼 또는 습관처럼 떠벌리는 '바쁘다'는 말이 결코 자랑이 아니라는 얘기다. 자신의 일이 아무리 즐겁고 유용하거나 필요해도, 일할 때 우리는 시간의 주인이 되지 못하기 때문에 그 시간만큼은 분명 누군가의 노예로 보내게 된다는 의미이다. 그러므로 오랜 세월 동안 지배계급이 주장해 온 '노동은 신성하다'는 말은 순전히 말장난에 불과하다고 단언한다. 자신들의 여가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지배계급을 제외한 모두가 뼈가 부서져라 일하도록 그런 논리를 만들었다는 것이다.

 

최근에 일(Work)과 삶(Life)에 있어서 균형(Balance)을 유지하려는 추세가 확산되고는 있지만 현대 자본주의 체제에서 게으름을 바라보는 시각은 여전히 부정적이다. 그러나 '워라밸' 문화의 확산 추세로 인해 일과 여가를 분리하려는 직장인들의 수가 증가하였고, 기업의 입장에서도 근로자에게 충분한 휴식을 제공함으로써 일의 능률과 생산성을 높인다는 측면에서 일과 여가를 분리하는 것은 결코 손해가 아니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그럼에도 일밖에 몰랐던 과거 베이비붐 시대의 관성은 목적이나 결과 없이 게으름을 피우는 일에 대해 죄책감을 느끼도록 하는 게 사실이다. 휴식을 통해 자신의 삶과 존재 가치를 깨닫는 게 아니라 일을 통해 존재의 의미를 찾으려는 사람이 여전히 많다는 얘기다.

 

"빈둥거리기는 재미있고 깃들이기는 뿌듯한 만족감을 주지만, 놀이야말로 최고의 여가 활동이다. 그것이 주는 즐거움 때문에 자유롭게 선택되었다는 전제만 있다면, 놀이는 가장 훌륭한 여가이며, 무엇에도 뒤지지 않을 좋은 삶이다." (p.202)

 

저자가 생각하는 게으름은 '아무것도 하지 않을 자유'가 아니라 '어떤 것이든 할 자유'이다. 말하자면 게으름은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을 수동적으로 수용하는 여분의 어떤 것이 아니라 자신이 하고 싶었던 일을 적극적으로 계획하고 의미 있게 보낼 수 있는 유용한 시간이라는 것이다. 예컨대 빈둥거림, 독서, 걷기, 여행, 놀이, 낮잠, 섹스, 목욕, 청소, 요리, 세탁, 아무것도 하지 않기 등 익숙했던 게으름의 방식을 주도적으로 선택하라는 것이다. 꼼짝하지 않은 채 모험을 하는 독서의 방식이든,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서 동시에 무언가를 한다는 느낌의 무작정 걷기의 방식이든 우리가 선택하는 게으름의 방식이 무뎌졌던 감각을 깨우고, 각자에게 삶을 누릴 수 있는 자유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우리가 게으름을 현명하게 활용하면 할수록 삶에 깊이가 생기고 행복에 한 발 더 가까워질 수 있다고 저자는 강조한다.

 

"슬프게도 좋은 놀이(초월적인 가벼움)는 우리 대부분의 손에 닿지 않는 곳으로 조금씩 멀어지고, 그러다 어느새 우리는 편안히 놀지 못할 만큼 늙어버린다. 밖에 나가기에는 눈이 침침하고 숨은 너무 금세 가빠오며 관절은 시큰거리고 동작은 굼뜨다. 뭐가 뭔지 헷갈리고 썩 내키지도 않는다. 대신 우리는 다른 사람들이 놀이하는 것을 텔레비전으로 보기도 하지만, 그때쯤 되면 그것조차 좀처럼 하지 않는다." (p.202)

 

우리는 대개 좋다고 생각하는 어떤 것, 이를테면 휴식이나 여행, 외식, 문화체험 등 자신의 삶을 깊이 있게 하는 것들을 '다음에'라는 말로 일축하거나 반복하여 유보하는 경향이 있다. '지금 당장'이라는 말은 일에서나 통용될 뿐 자신을 행복하게 하는 일에는 인색하다. '그리고 먹고살기 위해서'라는 말로 변명한다. 우리는 이렇듯 자신의 삶을 외면하거나 천대한다. 물웅덩이처럼 다양한 모양의 시간을 옮겨 다니며 순간순간을 자유롭고 주체적으로 사용해보라고 저자는 권한다. 미래를 위해 현재의 삶을 희생한다는 생각, 다음으로 유보되었던 행복, 바쁘다는 이유로 나를 되돌아보지 않는 삶은 결국 크나큰 후회를 우리에게 선물할지도 모른다. 자신의 삶을 희생하면서 평생 희생의 이유와 명목만 찾았던 게 우리 부모 세대의 삶이었다면 우리는 진정 다른 삶을 살아야 하지 않을까. 우리 다음 세대를 위해서라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