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이보다 젊어지는 행복한 뇌 - 치매 없이 젊게 사는 7가지 뇌 건강 습관
서유헌 지음 / 비타북스 / 2014년 10월
평점 :
언제부턴가 9988이라는 숫자가 남의 얘기가 아닌듯이 다가온다. 시간은 되돌릴 수 없고 젊음또한 그 자리에 머무를 수
없기에 100세시대를 살아가려면 건강한 노년을 준비해야 할 것 같다. 몸과 마음이 건강한 노년을 바라는 우리의 바람은 생활습관에서부터
준비해야함을 느낀다.
특히나 신경써야 할 뇌건강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할 것 같다. 영유아기에 뇌발달이 거의 이루어진다는 설은 들었지만
뇌활력을 키우면 뇌도 젊어진다는 내용은 호기심이 간다.
노년에 찾아오기 쉬운 병으로 치매를 꼽는다. 몸이 아픈거에 비할바아닌 병으로 피해가고픈 병이지만 젊었을때부터 관리하지
않으면 장담할 수 없는 무서운 병이다.
뇌 운동하는 80대가 하지 않는 20대보다 청춘이다...우리는 우리의 뇌를
'창조'하고 있다. 각 개인의 노력과 독특한 인생 경험에 따라 신경세포들 사이의 어떤 회로는 강화되고 발다하나 어떤 회로는 약화되거나 사라지게
된다..... '아름다움, 용기, 기쁨, 영감,희망의 물결을 붙잡고 노력하는 한 80세라도 인간은 청춘으로 남게 된다'라는 사무엘 울만의
<청춘>이라는 시처럼 20대라도 이상과 열정을 잃어버리고 고뇌, 공포, 실망에 휩싸여 뇌를 잘 쓰지 않으면 빨리 늙어간다. 하지만
머리를 높이 치켜들고 희망의 물결을 붙잡는 한 뇌는 활성화되고 뇌력이 커져 젊음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p38 본문에서--
나이들면 당연히 뇌도 늙어간다고 생각하는데 늙지만 늙지 않는다고 말하니 귀가 솔깃해진다. 뇌활력을 유지하면서 꾸준히
'좋은'자극을 주어 젊음을 유지할 수 있다고 한다. 몸과 마음이 건강한 노년을 보내고 싶은 마음은 우리 모두의 바람이다. 몸이 아프면 약을 먹고
관리를 해주지만 마음이 아플때는 망설여진다. 치료를 기피하게 되고 치매의 위험에 노출될 수 밖에 없다니 미리미리 뇌력을 키우는 운동을
해줘야겠다.
아직은 우리 부모님세대에 치매로 가족이 고통받은 일은 없지만 앞으로 노령인구가
늘어나면서 부부가 85세까지 산다면 2명에 한명은 치매에 걸릴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노인 인구가 늘어나면서 치매로 고통받는 인구도 그만큼
늘어난다는 통계 자료를 보니 생활 습관부터 바꿔야 할 것 같다. 노력으로 미리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알아두는게 좋을 것
같다.
책을 읽다보니 치매에 대한 위험성이 마음을 무겁게했는데 뇌의 체력을 길러주고 좋은 자극에 노출시키면 뇌도
성장한다고하니 뇌를 쓰는 방법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겠다. 매일 반복되는 생활 패턴에서 벗어나 새로운 패턴에 관심을 가져보는 것도 좋은 것 같다.
뇌는 우리 몸을 지탱하는 중요한 부위면서 꾸준히 관리해야 할 의무가 있다. 오래도록 건강하고 활기찬 노후를 위해서라면.
국내 뇌과학 연구의 권위자인신 서유헌박사님이 우리가 놓치고 지나치기 쉬운 습관을 통해 치매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설명하고 뇌의 체력을 통해서 젊은이 못지 않은 삶을 살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유익한 책이었다. 여기에서 말하는 7가지 습관은 매일
한번씩 읽고 실천해야 할 필요성을 느낀다.